d라이브러리
"시공"(으)로 총 25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수학으로 쌓아올린 미래도시, 초고층건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멀리서 보면 얼핏 땅바닥에 꽂힌 가느다란 막대기처럼 보이는 초고층건물. 하늘을 찌를 듯이 높이 솟아있는 건물이 어떻게 똑바로 서 있는 걸까? 안전하기는 한 걸까? 혹시 대기권을 넘어 우주까지 높이 지을 수는 없는 걸까? 초고층건물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고,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 ... ...
- Part 3. 지진으로 인한 ‘공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이용한 트러스 구조를 활용해 지진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기도 한다. 대우건설이 시공한 초고층건물인 말레이시아 IB타워는 10층 높이에 이르는 거대한 삼각형으로 거대한 트러스를 세로로 세우고, 그 안에 58층 초고층건물을 집어넣은 모양이다. 트러스는 건물의 무게를 안전하게 지탱하고 지진 같은 ... ...
- Part 2. 메가기둥 구조로 중력을 거스르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초고층건물은 무게가 엄청나다. 이 무게는 지구가 초고층건물을 끌어당기는 중력 때문에 지구 중심 방향으로 생긴다. 초고층건물이 중력을 견디려면 기둥이나 벽 같이 수직으로 세우는 부재★의 크기를 키워 튼튼하게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이런 부재가 너무 커지면 실제로 쓸 수 있는 공간이 부 ...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초고층건물은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 이볼로 2018 미래 초고층건물 아이디어 공모전에 선정된 작품도 당장은 힘들더라도 충분히 실현될 가능성이 있다. 정 센터장은 “SF에 나오는 여러 디자인이 결국 실현되는 것처럼, 이 공모전은 미래 건축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 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상 123층, 높이 555m의 마천루. 국내에서는 1번째, 세계에서는 5번째로 높은 초고층건물 롯데월드타워의 전망대로 가기 위해 엘리베이터에 올랐다. 엘리베이터가 분당 480m의 속도로 빠르게 위로 솟구치자 가슴이 두근거렸다. 어느새 도착한 123층에서 본 서울의 풍경은 지금까지 봤던 서울과는 사뭇 ... ...
- Part 4. 바람에 넘어가진 않을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실 초고층건물을 가장 위협하는 건 지진보다 바람이다. 바람의 세기는 땅에서 위로 올라갈수록 급격히 커지기 때문이다. 바람의 영향을 덜 받기 위해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건, 초고층건물을 위로 갈수록 뾰족하게 설계하는 것이다. 위로 갈수록 강해지는 바람에 닿는 면적을 줄이는 것이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정맥 교통 인프라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외국의 운전자들도 이해할 수 있는 도로 시설을 구축해야 한다”며 “실증실험을 통해 시공절차나 도로기준을 결정하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북한 경유하는 수천 m 자원이송관 건설SOC실증연구센터에는 북한 고위도 지역, 러시아와 같은 극한지에 자원이송망을 건설할 때 필요한 핵심 ...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존재, 인공지능(AI) 등 일반인이 관심을 가질 주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내곤 했다. 그는 시공간의 양자 상태에 따른 시간여행 가능성에 대해 설명하면서 “(시간여행이) 물리학자들이 비웃음이나 조롱을 걱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질문이어야 한다. 설령 불가능하다고 밝혀 지더라도 왜 ... ...
- [아파트] 외벽타고 상승하는 불, 불연성 외장재가 해답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팀이 가로 3m, 세로 6m 외벽에 드라이비트 공법으로 외장재를 시공해 벽 안쪽에서 불을 붙여보니, 불과 1분 30초 만에 불이 외벽으로 번졌다. 이후 불은 급격히 상승하며 약 2분 만에 벽 전체를 태웠다. 정부는 2015년 1월 경기도 의정부시 아파트 화재 참사 이후 6층 이상의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세부적으로는 철근 콘크리트, PVC 접합 유리, 탄소섬유 케이블 등 다양한 건축 자재와 시공 과정, 지하도를 들여다보고 우리가 발 딛고 선 이 도시의 기반을 탐험할 수 있다. 미래에는 거대 도시가 어디까지 확장될까. 책에서 답을 가늠해 보자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