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별"(으)로 총 528건 검색되었습니다.
-
- [엣지사이언스] 인공지능 개발, 진짜보다 나은 가짜 데이터과학동아 l2022년 05호
- 고객이나 환자의 민감정보를 포함한 경우가 많아 문제가 됩니다. 이때 민감한 변수, 식별 변수가 배제된 합성데이터가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살짝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도 유리한 점입니다. 우리는 지난해 AI 챗봇 이루다 논란*을 통해 실제 데이터 세트가 전체를 대변하거나, 공정하지 않다는 ... ...
-
- [특집] 데이터가 보여주는 식량 위기의 이유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 식량 위기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해볼 수 있다. 자동선박식별시스템(AIS)을 이용해 전 세계 물동량을 파악할 수도 있고 농작물을 키우는 데 필요한 비료의 생산량, 에너지 가격 등 다양한 데이터 모두 작물 생산과 연관된다. 밀가루, 지난해보다 20~30% 올라 이렇듯 여러 ... ...
-
- [SF 소설] 방 안의 호랑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MRI 2000대를 압축한 기구라고 할 수 있었다. 과장을 좀 보태면 세포 하나하나까지 식별이 되는 수준이다. 400년 넘게 걸릴 연산이 4분 안에 끝난다. 탄소, 물감, 붓털 등의 잔존 재료 그러니까 그림에 희뿌옇게 남은 흔적을 힘겹게 채집하던 시기가 지났다는 말, 묘하게 나른했던 그림과의 추격전이 ...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소중한 물건은 여기에! 나만의 비밀 상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생체인식 기술 중에서도 신체를 인식기에 직접 대지 않고 일정 거리에서 촬영해 식별하는 ‘비접촉 생체인식’이 더욱 주목받고 있어요. 홍채 인식이나 얼굴 인식 등이 비접촉 생체인식에 속합니다. 나만의 비밀 상자, 이렇게 만들자! ➊ 비밀 상자의 뚜껑 뒷면에 잠금장치 틀을 끼우고 ... ...
-
- 과학│오렌지 향에는 오렌지가 없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미국의 리처드 액설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와 린다 벅 교수가 후각세포에서 향기 분자를 식별하는 수용체가 G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임을 밝혔다. 두 사람은 이 공로로 2004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그렇게 밝혀진 코의 후각수용체의 종류가 무려 400종이다. 미각수용체 30종(이 가운데 25종이 ... ...
-
- [SF소설] 계산하는 우주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달려 있었고, 각 손가락은 다섯 의미를 표시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다온어에는 이론적으로 식별 가능한 39만 625개의 어휘가 존재했다. 개인차가 있지만 다온인은 그 중 30만 개 가량을 사용했고, 장만은 25만 8400개 어휘를 조합해 사용할 수 있었다. 물론 장만의 신체는 제작자인 지구인과 구조가 같았기 ... ...
-
- [기획] 더 빠르게 반응하자! 비대칭 유기촉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2호
- ‘효소’, ‘유기촉매’ 등이 있어요. 이 중에서 효소는 화학 반응에 필요한 분자를 식별하는 능력이 굉장히 뛰어나요. 우리 삶에 필요한 화학 제품을 만들기 위해선 효소의 능력을 닮은 촉매가 필요하죠. 하지만 효소는 구조가 복잡하고, 몸 밖에선 불안정해 금방 분해돼 만들기 어렵다는 문제가 ... ...
-
- 문화 산업 지키는 파수꾼, 디지털 보안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중요하다. 온라인상에 유포된 영상 콘텐츠 파일을 찾아내고 각 프레임의 워터마크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쉽게 추출하거나 이를 지울 수 없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최근에는 파일의 불법 유포를 알아낼 수 있는 것은 물론, 누가 어떤 경로로 불법 파일을 유통하는지까지 확인할 수 있는 ‘포렌식 ... ...
-
- [인터뷰] "나에게 상처주지 않길" 황유경 GC녹십자랩셀 세포치료연구소장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창의력, 행운 그리고 사명감황 소장이 처음 연구한 바이오의약품은 폐암을 선택적으로 식별하는 표적항암제였다. 대학원에서 배운 항체 제작 경험이 바탕이 됐다. 세포성 면역반응을 유도해 바이러스성 만성 간염을 치료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에도 참여했다. 황 소장은 “독일의 세균학자 파울 ... ...
-
- [특집] 피타고라스 정리로 증명한 독도는 우리땅!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간 가시거리를 측정했어요. 그리고 겐조는 “울릉도의 어느 높이에서도 독도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다”며 “한국인은 독도의 존재 자체를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1454년 세종실록지리지에 울릉도에서 독도가 보인다는 기록을 반박하는 내용이었죠. 이후 이 주장은 오랫동안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