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악의
울화
원한
앙심
히스테리
외고집
d라이브러리
"
심술
"(으)로 총 41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추위에 대한 두려움 없이 밤하늘을 대할 수 있다. 새벽에 망원경 렌즈나 거울에 생기는
심술
쟁이 이슬도 좀처럼 나타나지 않는다.더구나 올해는 1백35년만에 지구를 방문한 스위프트-터털혜성이 남기고 간 잔해들이 지구의 대기권과 충돌하며 빛을 발하는 별똥들의 화려한 천체쇼가 펼쳐진다. 또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계속되는 '공기의 바다' 밑바닥에 위치하고 있다. 천체관측에 있어서 대기의 상태는
심술
쟁이다. 드문 경우지만 모든 기층이 안정되어 천체가 고배율에서도 안정되게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마치 공기가 없는 것과 같다. 이러한 밤에 상은 아주 안정돼 시상이 완벽한 것으로 측정된다.어느 ... ...
과학캠프 교사로 맹활약하는 이화여대 아마추어 천문회 폴라리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날씨가 청명하면 그해 신입생 농사는 별노력 없이도 풍년이지만, 시커먼 먹구름이
심술
을 부리면 세미나를 열심히 개최하고 후배들을 감언이설로 아무리 꼬드겨도(?) 몇명 남지 않는다. 그래도 해마다 평균 20명씩은 남아 끊임없이 폴라리스의 맥을 굵게굵게 이어나가고 있다.폴라리스가 가지고 있는 ... ...
콜레스테롤의 정체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갑작스럽게 바꿔 과다한 육류섭취를 하면 마치 급체하듯이 덜컥 콜레스테롤의 '
심술
'에 걸려들기 십상이라는 것이다.NCEP는 20세 이상의 성인은 매 5년마다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점검해야 한다고 권한다. 물론 수치가 2백 이상인 사람은 매년 콜레스테롤치를 체크해야 한다.그런데 국내사정은 너무도 ... ...
물속에 들어가지 않고 수중촬영 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미국 캘리포니아에 있는 스크립스 해양연구소의 줄스 자페박사는 최근 물고기TV를 발명해 냈다. 해양생물의 연구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이 TV는 ... 받게 될 것이다. 이 TV만 갖고 있으면 애써 설치한 참치그물을 물어뜯어놓기 일쑤인 '
심술
쟁이' 돌고래를 따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 ...
돌고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날씨가 무덥고 주위가 시끄러우면 돌고래들도 사람처럼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때는 괜히
심술
을 부리기도 한다. 고리양의 죽음을 애도하며수중서커스의 스타로 각광받던 돌고래가족들에게 뜻하지 않은 사고가 일어났다. 돌고래쇼가 시작된지 2년 뒤인 86년 초에 3남매중 둘째 고리양이 병사한 ... ...
최근에 개발된 명약 이야기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길항약은 열쇠처럼 자물쇠 속으로 들어가기는 하지만 자물쇠를 열지는 못한다. 게다가 '
심술
'까지 부린다. 길항약이란 열쇠가 꼽혀 있으면 진짜 열쇠가 들어갈 구멍이 없어져 자물쇠를 열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열쇠의 비유에서 알 수 있듯이 자물쇠 속으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길항약도 작동약과 ... ...
경오(庚午)년을 달리는 에쿠우스 말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때문에 가축으로 기르기 쉽지만 워낙 꾀가 많아 불만이 있을 때는 사람에게 공격하는
심술
을 갖고 있다. 줄무늬는 교란용(?)야생의 말과에 속한 무리가 줄어든 것은 두 말할 나위없이 사냥이나 농업때문이었다. 특히 농경지의 개발로 산얼룩말은 살던 장소에서 쫓겨나 점점 멸종상태에 놓이게 ... ...
PARTⅠ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나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플레어가 나타나자 일시에 1만1천여 목표물의 위치를 놓쳐버린 것.하지만 이 정도로 '
심술
'을 부린 것은 '많이 봐준 것'이라는 게 태양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특히 지난 3월의 대형 플레어가 지구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태양의 오른쪽(우리가 볼 때는 왼쪽) 가장자리에서 발생했기에 ... ...
세계 최강 합금개발, 과연 쓸모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우수한 금속일까? 강하고 잘 녹슬지 않은 금속이 여기 해당할 것이다. 그러나 금속은
심술
장이다. 강도를 높일수록 반대로 내식성은 떨어지게 돼 있다.따라서 합금을 연구하는 학자들의 소망은 강하고 내식성도 우수한 합금을 제조하는 일이다. 다시 말해 모순을 깨는 작업인 것이다. 과거에는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