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이 종"(으)로 총 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참을성 있게 기다리는 갑오징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마시멜로 두 개를 먹고, 그전에 먹고 싶으면 종을 울리고 하나만 먹는 거야. 일부 아이들은 연구자가 나 가자마자 종을 울리고 마시멜로를 먹었고, 또 어떤 아이들은 참고 기다렸지. 더 큰 보상을 위해 얼마나 기다릴 수 있는지 알아본 거야. 그걸 네가 통과했다고? 3월 3일, 미국 시카고대학교 ... ...
- [SF 소설] 당신의 신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했다. 아버지가 입원한 병원은 겉은 종합병원이었으나 사실 지방의 작은 ... 끼리릭끼리릭 움직여야 할 아이가 끼릭끼릭끼릭 움직이는 소리를 ... 어머니는 지구를 떠났다. 결혼하고 아이까지 있었으므로 얼마든지 승전국인 ... ~~~. 영어에서 주어는 대개 I를 쓰고, 종결어미는 am을 쓰는 것처럼 ... ...
- [특집] 식물, 이젠 피부에 양보하세요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시행 중인 동물대체시험법은 총 24종이다. 이 중 3종은 실험에 필요한 동물 수와 고통을 덜어 주는 ... 광독성, 피부흡수, 피부자극, 안자극 시험 등 21종이다. 임경민 이화여대 약학과 교수는 ... 동물성 색소다. 붉은색이 자주 쓰이는 립스틱, 아이섀도우 등 색조 화장품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원료이며 ...
- 한 끼 대충 먹는다고 뭐 달라질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이 시기에 제대로 영양을 공급받지 못한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장내 미생물의 종 다양성이 떨이지고, 이는 근육과 뼈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미국 워싱턴대 의대, 방글라데시 다카 국제 설사성 질환 연구센터(icddr,b)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2016년 심각한 영양실조를 겪은 2 ...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이전 고인류보다 더 작은 두뇌와 몸집을 가진 화석이 발견되고 있다.어린아이 크기의 두뇌, 도구와 함께 발견되다 2003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섬 ... 리앙부아 화석에게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Homo floresiensis)라는 새로운 종명이 생겼다. 기존에 이 정도의 몸집과 머리 크기를 가진 성인 고인류가 ...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일을 하게 된 거죠.”이후 식물원에 있는 수백 종의 식물을 공부하고 정원 가꾸기에 필요한 각종 ... 일했다. 현재는 지난해 10월 개장한 국립세종수목원에서 전시기획운영을 책임지고 있다 ... 한순간에 시들면 농부들은 열병이 난 갓난아이를 병원에 데려오듯 식물병원에 가져오곤 한다.“한번은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내뱉었다. 하지만 말이 쉽나. 줄줄이 떠오르는 투자 상품이며 주식 추천 종목을 보면서 나는 고개를 절레절레 저었다. 오천 원을 투자하면 12개월 이후 ... 시간쯤 되고 4시간만 자고도 쌩쌩한 몸이라면 몰라도, 스트레칭 할 때마다 아이고야 신음이 절로 나는 몸으로 밤을 새면 결국 약값이 더 ... ...
-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함께 스러진 마을의 터줏대감황새 하면 떠오르는 말이 두 개가 있다. ‘아이를 물어다 준다’는 서양 민담과 ‘뱁새가 황새 따라가다 가랑이 ... 지역에 서식하는 황새(Ciconia boyciana)는 유럽황새(Ciconia ciconia)와 근연종이기 때문이다. 둘을 구분하는 특징은 덩치와 부리 색이다. 동아시아의 황새는 ... ...
- [인터뷰] 지사탐 덕분에 대한민국 인재상 받았다!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특히, 중부지역에만 산다고 알려졌던 멸종위기종 수원청개구리의 최남단 서식지가 ... 학생의 어머니 최윤정 씨는 “지구사랑탐사대는 아이들이 혼자하기엔 어려운 일”이라며 “부모의 ... 활동을 하며 꾸준히 좋아하는 생물종을 관찰해 보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어요. 다은 학생은 어떤 생물종을 ... ...
- 새로운 적에 대항할 ‘슈퍼약물’이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토양세균의 99%가 기존 실험실에서 키울 수 있는 종이 아니어서 항생제 후보물질을 찾는 데 한계가 ... 99% 토양세균이 만드는 물질을 이용하기 위해 ‘아이칩’이라는 특수 장치로 세균을 키웠어요. 이렇게 얻은 항생 물질을 총 1만여 종의 세균에 각각 실험해 어느 병원 세균에게도 내성을 일으키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