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어른"(으)로 총 1,060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어린이를 위한 즐거운 OTT 이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볼 수 있으니 안심하고 봐도 됩니다. 그리고 12세와 15세 관람가 영상물을 꼭 보고 싶다면 어른 보호자의 안내와 함께 볼 수 있어요. 하지만 될 수 있으면 나의 연령 등급에 맞는 영상을 보는 것이 좋아요. 왜냐하면 이러한 기준들은 어린이의 나이와 관심사를 고려해서 많은 분야의 전문가들이 ... ...
- [과학동아 키즈] "힘든 양자통신에 도전한 이유요? 그냥 좋아하니까요"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포기하지 않을 수 있었다. 대학은 공대로 진학했다. 물리학은 먹고 살기 힘들다는 어른들 말씀에 막연히 공대에 가야겠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물리학과 연관이 있어 보이는 기계공학과와 전자공학과 중에서 고민하다가, 고등학교 물리에서 역학보다 전자기학 파트가 좀 더 재밌었다는 이유로 ... ...
- [일타 수맨스] 일타 강사가 말하는 ★수학 공부해야 하는 이유★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제 수업을 듣는 학생은 일찌감치 현실을 깨닫고 자신의 인생을 준비했으면 했어요. 주변 어른이 대학만 가면, 어학연수만 가면, 취직만 하면 행복할 거라고 이야기를 하잖아요. 저는 고등학교 때 가졌던 꿈을 이룬 사람입니다. 그런데도 여러 일을 겪으면서 전화 통화 공포증이 생겼을 만큼 사람을 ... ...
- [가상인터뷰] 갈매기가 새우깡 낚아채는 비결? '눈치’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가 사람이 들고 있는 것과 같은 색의 감자칩 봉지에 다가가 과자를 쪼아먹었대요. 86.36%는 어른 재갈매기였고요. Q 원래 이렇게 관찰로 맛집을 알아내나요? 재갈매기는 사회적 학습을 잘하기로 유명해요. 성체가 되기까지 발달 단계가 긴 동물의 공통점이죠. 우리는 수명이 30년 이상으로 긴 데다, 다 ... ...
- [기획] 믿었던 킬러 T 세포가 고장 나면 어떻게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그런데 어린이는 상대적으로 여러 질병에 노출된 횟수가 어른보다 적어요. 따라서 어른보다 킬러 T 세포의 종류도 적습니다. 방관자 T 세포들이 그만큼 적다는 뜻이에요. 그래서 어린이는 과도한 면역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A형 간염만 말끔히 완치될 수 있는 거예요. 그동안 킬러 T 세포 중에 잘못된 ... ...
- 생물학자가 본 바이오컴퓨터의 미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뿐만 아니라 이런 바이오컴퓨터는 시간에 따라 성능이 변화할 가능성도 가진다. 아이와 어른, 노인은 세상을 다르게 파악한다. 즉 같은 입력값에 대해서도 나이대에 따라 출력값이 다르다. 이러한 차이는 경험치의 차이에서 오기도 하지만, 뇌 자체의 성숙도에 따른 영향도 못지않게 크다. 뇌는 ... ...
- [냠냠! 어수잼] 전설의 각을 찾아라 1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마을의 어른들은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온 각의 이야기를 저마다 들려주었지요. 마을 어른들의 이야기를 모두 들은 네모네우스는 머릿속으로 각의 모습을 떠올리며 각이 살고 있다고 소문이 난 전설의 산으로 향했어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Part1. [냠냠! 어수잼] 전설의 각을 찾아라 ... ...
- [기획] 아프면 어디로…? 소아과가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어린이의 건강을 책임지는 소아청소년과가 사라진다는 뉴스가 연일 쏟아지고 있습니다. 소아청소년과가 앞으로 10년간 어둠의 터널을 걸을 것이란 무서운 예 ... 기획]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없다?Part2. [기획] 소아청소년과 왜 꼭 필요할까?Part3. [기획] 어린이 VS 어른, 앓는 질병도 다르다 ... ...
- [기획] 어린이 VS 어른, 앓는 질병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소아에게서 특징적인 질병은 소아청소년과에 특화돼 있다”고 말했어요. 이어 “어른들의 결혼 시기가 늦는 사회적 현상으로 출산율이 줄고 중증질환이나 장애를 갖는 아이, 미숙아로 태어나는 비중이 증가하고 있어, 소아청소년과에서 추적관찰이 필요한 사례가 느는 만큼 이들의 안전망이 잘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호기심에는 나이도, 종도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수 있다. 아기들은 왜 무언가를 빤히 쳐다볼까그동안 호기심에 대한 연구는 인간, 특히 어른에게 집중됐다. 아직 소리 내 말을 하는 능력이 발달하지 않은 인간 영유아는 그들의 행동을 관찰할 수는 있지만 성인처럼 문답하기가 어렵고, 문답하더라도 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 자연스럽게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