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
다양
각종
몇몇
d라이브러리
"
여러
"(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개과천선한 놀부, 다시 화낸 사연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전체를 커튼처럼 덮으며 역동적이고 화려한 모습을 나타내요. 녹색과 보라색, 빨간색 등
여러
색깔로 나타나 더 아름답게 보이죠. 오로라의 색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로라의 색은 태양풍 입자가 대기 중 어떤 기체와 어떤 높이에서 부딪히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지구 대기의 7 ... ...
미리 알고 태풍 피해 막기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처리해 태풍에 대해 예보한다. 슈퍼컴퓨터의 예측 결과는 예보관에게 전해진다. 이후
여러
명의 예보관이 결과를 보면서 각 지역의 날씨에 대한 경험 등을 종합해 최종 기상예보를 내놓는다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딱딱한 칩 대신 유연한 실을 사용해 뇌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64개의 실 가닥을
여러
부위에 심어 뇌파 측정 반경을 넓힐 수 있다. 김성필 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는 “BCI는 성장 속도가 빠른 기술 분야 중 하나였는데, 기존 하드웨어로 얻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제한적이라 어느 순간 ...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통해 완벽히 검증된 이론입니다. 하지만 표준모형은 아직 설명하지 못하는 것들이 많고,
여러
면에서 불완전합니다. 표준모형은 이미 발견된 대륙입니다. 우리의 관심사는 표준모형을 기반으로 또다른 신대륙을 찾는 겁니다.” 3월 12일 대전 기초과학연구원(IBS) 본원에서 만난 최기운 IBS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어려운 이유 치아 전체를 재생하는 연구가 이토록 어려운 이유는 뭘까요. 정 교수는 “
여러
구성요소로 이뤄진 하나의 기관을 만들어내는 일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치아는 저작기관이자 감각기관으로, 새로 만들어낸 치아 역시 두 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치아의 모든 ... ...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수 있어야 하죠.그동안 ‘마인드 더 갭(Mind the Gap)’, ‘구글 여성 소프트웨어 캠프’ 등
여러
프로그램을 통해 선순환이 일어나는 생태계 조성에 힘썼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 여성 개발자 비율은 아직도 전체의 20% 전후입니다. 뿐만 아니라 리더 개발자 자리로 올라서는 비율은 굉장히 낮죠. 앞으로도 ... ...
[과동키즈] “우리의 목소리를 외계로 전하는 과학을 상상합니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예술로서 아주 매력적으로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외계의 존재를 향한 메시지 개발이
여러
학문을 아우른다는 점도 과학을 좋아하는 예술가인 제겐 매력적이었습니다. 저의 이런 취향이 만들어진 데는 어릴 때부터 즐겼던 SF 작품의 영향도 컸습니다. 그중에서도 ‘외계와의 접촉(First Contact)’을 ... ...
[과학뉴스] 130억 살 넘은 블랙홀, 기존 이론 뒤집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성장했거든요. 연구팀은 초기 우주에서 블랙홀이 애초에 크게 생성됐을 가능성 등
여러
가설을 연구하고 있어요. GN-z11 은하는 우리은하의 100분의 1 크기로 작은 편인데, 거대하게 탄생한 블랙홀이 은하의 성장을 막고 있을 수도 있다고 보는 거죠. 연구팀은 제임스웹 우주 망원경을 활용해 우주의 ... ...
[이달의 과학사] 갈릴레오 갈릴레이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당시 지구가 돈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이단 행위로 간주했기 때문이에요. 갈릴레이는
여러
차례 재판을 받고 지동설에 대해 언급하지 말라는 경고를 받습니다. 결국 갈릴레이는 이단 행위를 하지 않겠다며 지동설을 철회하고 작은 시골에서 살아가다가 1642년 숨졌습니다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가장 빠르고 똑똑한 로봇 쥐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단번에 미로를 풀어내는 로봇 쥐를 본 적 있니? 1등과 2등 로봇 쥐의 기록 차이는 불과 0.1초! 로봇 쥐가 복잡한 미로를 푸는 비결과 귀여운 햄스터에 대한 모든 정 ... 뒤 손을 씻지 않는 것처럼 양치하고 입을 헹구지 않죠. 그런데 왜 우리나라에서는 양치하고 입을
여러
번 헹구라고 할까요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