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말"(으)로 총 3,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기자단] 시상식 취재와 MIT 과학자 인터뷰를 한 번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지난 10월 11일, 제37회 인촌상 시상식이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렸어요. 어린이과학동아 독자 기자단이 과학기술 분야 수상자인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물리학과 최순원 교수를 만나고 왔습니다. 시상식부터 인터뷰 현장까지, 독자 기자단이 치열하게 취재한 현장으로 함께해 볼까요? ... ...
- 윷놀이, ‘개’가 제일 많이 나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2호
- 우리나라의 전통놀이인 윷놀이는 윷가락이 몇 개 뒤집혔는지에 따라 게임판 위의 말을 이동하는 게임이에요. 그런데 윷가락이 뒤집히는 다섯 가지의 모양은 나올 확률★이 각각 달라요. 윷가락 1개를 던졌을 때 나오는 경우의 수★는 앞면, 뒷면 으로 2가지예요. 윷가락 4개를 한꺼번에 던졌을 때의 ... ...
- [현장취재] 해조류로 예술작품을 만들다! 하코다테 해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지난 8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 21명이 수산해양 연구로 유명한 일본 하코다테에 가서 해양탐사를 했습니다. 대원들은 해조류로 예술작품도 만들고, 국제과학제에도 참가해 일본 학생들과 교류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지요. 해양탐사대의 3박 4일 여정을 살펴볼까요? 해조류 천국, 하코다테! ... ...
- 해녀의 맨몸 잠수 비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물질이 끝난 후 탈의장으로 향하는 길, 기자는 추위라는 강적을 만났습니다.젖은 잠수복을 입은 채 바람을 뚫고 걷자니 몸이 덜덜 떨렸죠. 그런데 해녀들은 한겨울에도 평균 4시간 동안 바닷속과 수면 위를 오가는 물질을 한다는데요…? 그 비법이 뭘까요? 오랜 기간 물질로 추위에 적응한 해녀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글루텐, 핵융햡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푸푸와 빵을 먹으려고 오랜만에 베이킹을 했는데, 빵의 상태가 조금 이상해.박력 있게 만들고 싶어서 박력분으로 반죽했는데…. 밀가루마다 글루텐 함량이 다르다는 게 무슨 말이야? 밀가루를 물에 갠 뒤 손으로 주무르면 점점 끈끈하고 쫀득한 밀가루 반죽이 됩니다. 이는 밀가루 속의 글루테 ... ...
- 물리박사 김상욱의 수상한 연구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떡볶이집 김상욱 아저씨의 비밀은?“물리보다 떡볶이 만들기가 더 어렵잖아!”햇빛 마을의 떡볶이집 ‘또만나 떡볶이’에 새 주인장이 나타납니다. 떡볶이집 주인이면서 떡볶이는 못 만들고, 이상한 말만 하는 김상욱 아저씨! 그의 수상쩍은 등장에 의문을 품은 ‘매콤달콤’의 멤버 태리, 해나 ... ...
- 1초 보다 더 짧은 시간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8호
- 난 1초 안에 많은 일을 할 수 있다고 했잖아. 만약 내가 1초 동안 양치질을 1000번 할 수 있다면, 양치질을 1번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일까? 맞아, 1/1000초야! 1초보다 더 짧은 시간들을 나타내는 말들을 함께 살펴볼래? 1밀리초(ms) 1밀리초는 1초를 1000으로 나눈 시간이에요. 우리 눈으로 확인할 ...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노란 유채꽃을 닮았다! 꾀꼬리버섯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저는 버섯을 볼 때 가슴이 뛰곤 해요. 특히 새로운 버섯을 만났을 때, 버섯이 자연과 어우러져 멋진 풍경을 만들어 낼 때 말이죠. 무엇보다 맛있는 식용버섯 군락지가 광활하게 펼쳐져 있으면 기대감으로 마음이 가득 부푼답니다. 버섯에서 향긋한 과일향이? 꾀꼬리버섯은 부드러운 식감으로 전 ... ...
- [통합과학 교과서] 다가오는 태풍, 뱃머리는 어디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저기다! 저기예요, 꿀록 탐정님!”태풍이 북상하고 있다는 소식에 바다 위의 모든 어선에 대피하라는 명령이 떨어졌어요. 꿀록 탐정도 대피를 돕기 위해 바다로 나가보니, 벌써 파고는 거침없이 높아지고 경비선도 몰아치는 거센 바람에 춤을 추듯 흔들거렸지요. 그런데 바다 위 한가운데, 한 어 ... ...
- [출동, 슈퍼M] 가구 크기는 어떻게 재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이사를 하면서 침대, 책상, 의자, 장롱 같은 가구를 새로 샀어요. 제 취향에 맞는 색으로 골랐지요. 그런데, 책상의 모양만 보고 샀더니 책상이 너무 커서 방에 들어가지 않네요. 가구의 크기는 도대체 어떻게 재야 하나요? 옛날에는 길이를 어떻게 쟀을까? 가구를 사러 가면 종종 ‘6자 장롱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