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바지"(으)로 총 1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아리탐방]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G.O.M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동아리 활동을 통해 수학을 나누는 활동이 즐겁다는 점을 깨달았고 수학으로 사회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방법을 깊이 고민했다”며, “이런 생각을 제대로 이야기해서 꿈을 이룰 수 있던 것 같다”고 말했다.하 군은 여전히 학교에 찾아와 후배들에게 조언하며, 수학 문제도 만들어 준다. G.O.M에 ... ...
- 후보3. 소수의 비밀 열쇠는 닭의 눈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데 도움을 줄 거라고 조심스럽게 예측하고 있어요. 어때요? 이 정도는 돼야 수학 발전에 이바지했다고 할 수 있지 않겠어요? 행여 우리 눈에 나타나는 초균일성으로 수학자의 오랜 숙원을 푼다면 의심할 바 없이 제가 수학왕입니다 ... ...
- [3·1운동 100주년] 읽고, 깨어나시오. 시대를 비춘 과학의 등불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과학 행사인 ‘과학데이’를 처음으로 진행하는 등 조선의 과학 보급과 계몽에 크게 이바지했다. 김 교수는 “많은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내 최초의 종합과학잡지라고 할 수 있다”며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조선에 과학의 중요성을 전파했다는 점에서 특히 큰 의미가 있는 잡지”라고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된 것은 제2차 조선교육령 발효 이후였다.3·1운동은 조선에 제국대학이 세워지는 데 이바지했다. 조선인들의 높아진 교육열을 수용하기 위해 1920년부터 민립대학 설립 운동이 일어났다. 비록 이 운동이 뜻대로 성사되지는 못했지만, 1926년 경성제국대학이 설립되는 주된 계기가 됐다. 경성제국대학은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덧붙였다.조선식물향명집은 지역마다 다르게 불리던 식물의 이름을 표준화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특히 눈여겨봐야 할 점은 일률적으로 서울말을 따라 표준화한 것이 아니라, 각 식물이 서식하던 지역을 기준으로 표준 이름을 정했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큰쥐방울’ ‘긴쥐방울’ ‘등칡’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 여성과 과학에 대한 고정 관념을 막아야 여성이 과학에 이바지할 수 있다. 위키백과에 올라온 인물 정보의 80%가 남성이다. 우리가 당연히 옳다고 여기는 온라인 자료인 위키백과를 참조하면 할수록 역사에서 과소대표(under-representation)된 사람들을 지우는 셈이 된다. Q ... ...
- 빛으로 세균을 잡는다고?! 노벨상 2018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가장 큰 이바지를 한 사람들에게 상을 줄 것’올해도 어김없이 세계에서 가장 명예로운 상으로 손꼽히는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됐어요. 노벨상은 1800년대 스웨덴의 과학자이자 다이너마이트의 아버지로 알려진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1901년부터 인류의 복지에 공헌한 사람 또는 단체에 ...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과학동아 l2018년 11호
-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명단에는 없었지만, 필자는 면역 항암 치료 연구에 크게 이바지한 과학자를 한 명 더 소개하려고 한다. 현재 미국 예일대 의대에서 면역 항암 치료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리핑 첸 교수다. 그는 1999년 미국 미네소타주에 위치한 메이요 클리닉의 한 연구실에서 T세포의 ... ...
- [Origin] 인간을 지키는 방패, 오존층과학동아 l2018년 10호
- 970년대 중반,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UC어바인) 화학과 마리오 몰리나 박사와 프랭크 롤런드 박사는 스프레이(분무제)와 냉장고, 에어컨 등의 냉매로 사용되 ... 수행해오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반도 상공 오존의 특징 분석 및 예측 기술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 ...
- [서울대 건축학과] 세상을 담는 공학, 건축학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실력을 뽐냈다. 건축공학전공 교수들은 다양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건축 공법 발전에 이바지 하고 있다. 홍성걸 교수는 시멘트 없이 물로 굳히는 친환경 콘크리트를 개발했다. 기존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모래에 물을 섞어 만드는데, 시멘트를 제조할 때 온실가스가 대량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