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떨어짐
iban
ivan
ivana
레즈비언
래즈비언
레즈비안
d라이브러리
"
이반
"(으)로 총 47건 검색되었습니다.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줄기세포 연구의 가능성이 과장돼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번햄연구소
이반
스나이더 박사는 “아직까지 줄기세포는 손상되거나 잘못된 세포를 다시 회복시키는 단백질인 ‘샤페론’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라며 “세포를 아예 대체한단 뜻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래도 불과 몇 년 ... ...
더울 때는 열 막는 똑똑한 유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햇빛의 열기는 적외선 때문이다. 영국 리버풀대의 트로이 매닝 박사와 런던대의
이반
파킨 박사는 29℃보다 높을 때는 적외선을 반사시키고 이보다 낮을 때는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스마트 유리’ 만들었다고 ‘재료화학 저널’ 최신호에 발표했다.스마트 유리의 비밀은 텅스텐이 가미된 ... ...
배움은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학습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개가 종소리만 들리면 침을 흘리게 했던 러시아 과학자
이반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는 종소리라는 청각정보와 음식이라는 자극이 학습을 통해 연계된 결과다.또한 미국 컬럼비아대의 쏜다이크 교수는 보상에 대한 반응과 자극이 연계되는 작동적 조건화라는 학습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불타 사라졌다.라이카보다 앞서 과학계에 데뷔한 개 역시 러시아산이었다. 러시아의
이반
페트로비치 파블로프 박사는 위액분비를 눈으로 관찰하려고 개의 소화기에 창문을 다는 다소 괴이한 실험을 통해 소화의 메커니즘을 밝혀내 1904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파블로프는 이어 밥을 줄 ... ...
1. 몸은 남성 마음은 여성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구분하고 있다는 문제 제기로 최근 사용하지 않는 추세다. 한국에서는 특히 동성애자를
이반
(二般, 異般)이라고 부른다. 종로 등지에서 유래된 이말은 처음에는 일반(一般)보다 못한 자, 즉 계급상 하위라는 자기비하적 의미였으나 점차 적극적이고 긍정적 의미로 확대돼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 ...
입는 컴퓨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사람들의 끊임없는 노력이 입는 컴퓨터를 탄생시킨 것이다.입는 컴퓨터의 효시는 1968년
이반
서더랜드가 장식했다. 그는 입는 컴퓨터의 필수 장비로 알려진 HMD를 설계해 착용자가 가상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즉 헬멧 모양으로 생긴 HMD를 머리에 쓰고, 눈 앞에 보이도록 한 작은 크기의 화면을 ... ...
먹으면 행복해지는 약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수도 있는 사소한 불편에까지 의료행위를 확대하는 경향이 있음을 잊어서는 안된다.이는
이반
일리히가 그의 책 ‘병원이 병을 만든다’에서 주장한 관점과 상통한다. 의료화라는 관점에서 영역을 확대해가는 병원과 제약회사의 교묘한 선전과 의학적 권위에 눌려 일반인은 삶에서 불요불급하지 ... ...
인터넷으로 떠나는 수학퍼즐여행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1년 후에 토끼의 총수는 얼마인가?아주 오래된 체스퍼즐 가운데 하나로 아랍 수학자
이반
칼리칸이 1256년 만든 밀알문제가 있다. '체스판의 첫째칸에는 1개를, 두번째 칸에는 2개를, 세번째는 4개를, 네번째는 8개를 놓는다면...' 하는 식이다. 또하나 오래된 문제중 하나인 체스 말을 이용한 방법은 15 ... ...
(1) 컴퓨터로 인간 5감(五感)입력 가상공간을 현실로 느낀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무리가 없을 것이다.가상현실에 대한 연구는 60년대 중반 CAD의 원조로 불리는 MIT의
이반
서덜랜드 교수에 의해 시작된다. 넓은 의미의 컴퓨터 그래픽 기술인 CAD가 VR의 모태가 된 것은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컴퓨터 그래픽은 대상물을 수치화시켜 실시간 내에 표현하고자 하는데, 3차원의 실세계를 ... ...
첨단기술 갖고 한국 찾은 옛 소련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우즈베크 등 세나라에 한인과학기술자조직이 만들어져 있다. 카자크고려인과학기술협회
이반
박회장은 "교포 과학자들이 누구나 한국을 한번 와보고 싶어한다. 그래서 협회 일에도 매우 협조적이며 한국어를 배우려는 움직임도 활발하다'고 소개한다.수학을 전공한 그는 2년전 한국을 처음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