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디밴드
남빛
남색
indie
d라이브러리
"
인디
"(으)로 총 47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작곡 어렵지 않아요! 음악 만드는 소프트웨어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꿈꾸는 작곡 SW게임에 나오는 음악 중에는 컴퓨터가 작곡한 곡이 많이 있다. 우리나라
인디
게임 개발사 터틀크림이 만든 ‘6180 the Moon’의 배경음악이 컴퓨터의 작품이다. 이렇게 컴퓨터가 작곡한 음악을 알고리즘 작곡이라고 부른다. 보통 특정한 공식이나 함수를 이용해 알고리즘을 짜면 컴퓨터가 ... ...
손목에 차는 구명 밴드 나왔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누구나 착용 가능하다. 이 제품은 현재 개발 금액을 모으기 위해 크라우드펀딩 사이트 ‘
인디
고고 (Indiegogo)’에 올라와 있다. 모금 18일째인 7월 17일에 목표 금액 749%를 달성했다. 이산화탄소 카트리지 2개를 포함한 가격은 69달러(약 7만9000원)이다 ... ...
자동차와 달팽이의 대결, 누가 이길까? 터보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370km라고 했을 때, 이 빠르기를 분속으로 변환해 터보의 빠르기와 비교해 보자. 실제로
인디
500에 출전하는 선수들이 한 바퀴 코스를 주행하는 데 걸리는 평균속도는 약 시속 370km이다.370km/1시간 = 370000m/60분 = 37000000cm/60분 ≑ 약 분속 616,667cm ★ 1km=1000m ★ 1m=100cm터보의 ...
더 넓은 세상에서 진짜 꿈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서 웹의 콘텐츠를 공유하는 코드를 제작해 경연에 참가했다.
인디
게임 개발자가 목표인 한 군은 이번 대회 참가를 계기로 자신만의 꿈을 실현시켜 나갈 계획이다.철을 이용해 재활용이 가능한 촉매용 나노복합체를 연구한 대구과학고 3학년 배재성·김기배 군도 “다른 ... ...
여성이 공학에 빠질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때문에 남녀의 협동을 더욱 촉진할 수 있었다고 임 씨는 전했다.이수미 씨가 수강한 ‘
인디
비주얼 스터디’는 그가 건축공학도로서 자기 확신을 가질 수 있게 한 전환점이었다. “이 수업의 골자는 전공을 살려 취직한 여자 동문들을 강사로 모셔 얘기를 듣는 것이었어요. 여학생들의 질문은 대부분 ... ...
별난 과학, 별난 이름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이름이다. 미국 코네티컷대 블랑카 로지나 박사팀은 세포막에서 물질수송을 담당하는
인디
유전자(Indy)를 발견했다.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초파리의 수명이 연장되는 모습을 보고 ‘나는 아직 죽지 않았다’(I'm not dead yet)의 머리글자를 연결해 재치 있는 이름을 만들었다.2005년 1월 미국 ... ...
자연의 색을 돌려 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0호
뿌리로부터 붉은색, 페니키아 지방에서는 뿔고둥에서 보라색을 얻었다. 15세기 경에는
인디
고나 레드우드 같은 염료가 동양에 서 서양으로 전파되었다. 고대인들은 악마를 쫓거나 질병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염색한 천을 두르거나 몸에 색칠을 했다. 사회가 점점 복잡해지면서 색은 사회적 ... ...
무한질주 슈퍼카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안전한 운전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F1, 카트,
인디
레이싱 등에 사용되는 첨단 가스 유압식 충격흡수장치도 필수. 운전자로 하여금 차량 높이를 자동으로 높이도록 하는 전자 조절 시스템과 연결돼 주행중 지면에서 받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빠른 제동 ... ...
박테리아가 만든 황제의 상징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전망입니다. 지난해 미국의 한 생명공학기업은 대장균의 유전자를 변형시켜
인디
고를 생합성하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쯤 되면 아우렐리우스가살아 돌아와‘자포는 저 고마운 박테리아의 공’이라고 칭송할 법도 하겠지요 ... ...
과학과 인문학 사이 다리 놓은 과학기술학자 송상용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실망이었죠.”국내의 여건이 마땅치 않아 1967년 송 교수는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그는
인디
애너대 과학사·과학철학과에서 2년간 공부를 했다. 거기서는 과학사를 주로 전공했다.송 교수는 미국에서의 생활이 자신의 일생에 중요한 전기가 됐다고 말한다. 무엇보다도 달라진 것은 과학을 보는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