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산"(으)로 총 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METAVERSE] 메타버스에서 ‘갓생’ 산 당신, 현실에서 누려라!과학동아 l2022년 02호
- Token)’의 준말로, 디지털 정보에 붙일 수 있는 진품확인서. NFT 토큰으로 만든 디지털 자산은 복제가 어렵다는 장점이 있어. 게다가 과거 소유주부터 현재 소유주까지 거래 이력이 모두 기록되기 때문에 더 믿음직한 거래를 할 수 있지 ...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그래픽 예술이 되다! 픽셀 아트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발전으로 원본이 어떤 것인지 가릴 수 있게 되어 활발하게 판매되고 있어요. NFT는 디지털 자산에 소유주를 알 수 있게 고윳값을 부여한 일종의 증서예요. 이런 디지털 작품 중에 가장 인기 있는 스타일이 픽셀 아트예요. 왜 사람들은 픽셀 아트를 좋아할까요? 픽셀 아트는 대상의 핵심만 남기고, 모든 ... ...
- [특집] 암호화폐 새로운 세계를 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암호화폐로 거래할 수 있는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어요. 이렇게 되면 메타버스 속 가상 자산에 대한 소유권이 블록에 남아 유지되고, 블록의 기록으로 소유권 변화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또 이전에는 내가 하던 게임의 서비스가 종료되면, 캐릭터나 아이템이 사라져 버렸지만, 블록체인을 ... ...
- [기획] 부자 되기 미션완료 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때문이에요. 그래서 전문가들은 ‘100-나이’ 방법을 추천해요. ‘100-나이’ 방법은 전 자산이 100이라면 100에서 자신의 나이를 뺀 만큼의 비율은 위험하지만 수익률이 높은 주식 같은 곳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정기예금이나 채권에 안전한 투자를 하는 겁니다. ... ...
-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 숨겨진 공로자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발사를 경험했다. 그는 그중에서도 러시아와 국제협력한 나로호 프로젝트 경험이 큰 자산이 됐다고 말한다.“KSR-III를 개발하던 당시에는 우리가 뭘 알고 뭘 모르는지조차 모르는 수준이었다면, 나로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어떤 걸 모르고 있었는지 알게 됐어요. 이후 ‘이만큼 알게 된 것을 ... ...
- [기획] ESG 성적,과학적으로 매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안 준다?!“넷제로 경제는 모든 기업에 영향을 줄 겁니다.” 지난 1월, 세계 최대 자산운용회사* ‘블랙록’ 의 CEO 래리 핑크가 전 세계 기업에 보낸 편지에 서 쓴 말이에요. 블랙록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9600조 원을 기업에 투자할 정도로 규모가 큰 투 자회사예요. 기업들이 생존을 위해 관심을 둘 수 ... ...
- 그들은 왜 암호화폐를 샀을까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사토시라 불리는 사람이 개발한 디지털 화폐이자, 시중에서 상용화돼 쓰인 첫 가상자산(암호화폐)이다. 현재는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암호화폐 9000여 개의 기축통화로 자리매김했다. 물 한 병도 살 수 없는 가격이지만, 비트코인은 개발 뒤 약 1년 동안 ‘0원 굴욕’을 맛보고 있었기에 이는 ... ...
- 놀라운 직업의 세계, JOB랜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세상의 다양한 직업을 체험할 수 있는 ‘JOB랜드’에 오신 여러분 환영해요! 하고 싶은 게 너무 많나요? 어떤 일들이 있는지 궁금한가요? 잘 왔습니다. JOB랜드에서 놀다 보면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는지,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해답을 찾게 될 테니까요. 그럼 다 함께 놀러 가볼까요? 출발~.☞놀이북 ... ...
- JOB 돋보기, 어떤 일을 하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거든요. 과거 자료를 많이 보유할수록 예측 정확도는 높아집니다.자산 운용가는 돈을 잃을 위험이 적으면서도 수익을 많이 가져다주는 곳에 투자해서 기업의 돈을 불려요. 투자하기 적합한 곳을 찾을 때 ‘통계’를 활용해요. 의사 │사람을 살리려면 ‘수학’이 ... ...
- [인터뷰] 핵융합 에너지는 후손에게 남길 자랑스러운 유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설정하고, 서로의 기술력과 경험을 공유하는 프로젝트가 바로 ITER다. 과학기술도 국가의 자산인 만큼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지금까지 많은 경쟁이 있었다. ITER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다른 분야의 연구에서도 국제협력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 Q. 한국이 ITER에 기여한 바를 평가한다면?→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