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아들"(으)로 총 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보]양자역학과 예술의 만남, 나노 조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Cupid and Psyche: The Second Kiss_ 큐피드와 프시케남아프리카공화국 출신 작가 존티 허위츠의 ‘큐피드와 프시케’는 전체 길이가 약 15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다. 작가는 이 작품을 1cm 정도인 개미 이마에 올려 촬영했다(오른쪽 박스). 이 작품은 18세기 이탈리아 조각가 안토니오 카노바의 작 ...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올해 노벨 화학상은 효소, 항체 등 생물 분자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연구자들에게 돌아갔다. 효소의 방향적 진화(directed evolution of enzymes)를 연구한 프랜시스 아놀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교수와 ‘파지 디스플레이(phage display)’를 연구한 조지 스미스 미국 미주리대 교수, 치료용 항체 개 ...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2018년 9월 24일, 1966년 필즈상 수상자인 마이클 아티야 교수가 수학계 최고 난제인 ‘리만 가설’을 증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후 SNS에는 리만 가설이 풀렸으니 마침내 소수의 비밀이 풀렸고 심지어 인터넷 거래를 할 때 쓰는 암호 체계가 무너질 거라는 소문이 퍼졌습니다. 과연 사실일까요? 리만 ... ...
- [Origin] 인간 이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국제학술지 ‘네이처’ 8월 22일자에 흥미로운 논문 한 편이 실렸다. 그간 존재 가능성만 알려져 있던 초기 인류 사이의 이종교배를 입증할 수 있는 화석이 발견된 것이다. 말 그대로 가능성 수준에 머물러 있던 초기 인류의 이종교배가 DNA 수준에서 처음 확인됐다. DNA에 남아있는 인간 이종교배 ... ...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곡물에 잘한다, 곡물이 자란다 한적한 시골길, 느닷없이 초가 두 채와 대나무 다리가 보입니다. 지금까지 단단한 다리만 건넌 사람은 삐걱삐걱 대나무 다리 소리가 무섭게 들릴지도 몰라요. 조심조심, 느리게 걷게 되는 모습이 사뭇 잘 어울리는 이곳은 ‘사완본딘 농장’입니다. 사완본딘은 ‘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월면(月面)연합은 고요의 바다 전역을 폐쇄한 이유가 원자력발전소 고장으로 방사능 누출 사고가 일어났기 때문이라고 발표했다. 중국령 소행성대 자치정부는 세레스에서 일어난 대규모 폭발이 운석 충돌 때문에 빚어진 것이라고 밝혔다. 화성 산업관리 당국은 올림포스 산 일대에서 일어난 ‘로 ... ...
- [Future]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2012년.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는 시속 1200km로 비행기보다 빠른 ‘꿈의 열차’에 대한 아이디어를 냈다. 이른바 ‘하이퍼루프(Hyperloop)’다. 그리고 5년이 지난 올해 5월 12일, 하이퍼루프원이라는 회사가 첫 시험 주행에 성공했다. 2km 달리면 시속 1100km 도달“발사 5초 전. 4초, 3초, 2초, 1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언제부터였는지 이제 와서는 잘 모르겠다. 너는 초음파에 영 잡히지 않아서 한동안 우리를 애태웠거든. 분명 아기집은 잘 생겨있는데, 네가 보이질 않는다는 거야. 혹시나 몰라서 오줌 검사를 하고 피 검사를 하면 분명 임신이라고 나오는데 말이지. 네 형체가 명확하게 초음파 검사에 잡히기 시작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10평 남짓 될까. 말 그대로 아수라장이었다. 책상만 8개, 각양각색의 스티로폼 모형이 놓여 있었다. 어떤 건 미완성이라 깨끗한 반면, 어떤 건 누군가 애써 붙여 놓았을 나무와 사람 모형이 다 쓰러져 달랑거리고 있었다. 모형일 뿐인데, 실제 도시의 흥망성쇠가 보이는 듯 했다. 소신있게 건축학도 ... ...
- [Origin] 악의는 왜 태어나는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지금까지 우리는 협력의 진화에 대해 알아봤다. 그런데 자연에는 또다른 행동이 있다. 내게 굳이 도움이 되지 않음에도 ‘너 죽고 나 죽자’며 상대를 해치는 악의적인 행동이다. 인간 사회에서도 종종 발견되는 이 악의는 과연 진화적으로 탄생할 수 있을까. 무척 흥미롭게도, 프라이스가 재해석한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