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담"(으)로 총 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루기(Loogy·Lefty One-Out Guy)’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상대팀의 왼손 강타자를 전담 마크하기 위한 좌완 스페셜리스트를 이르는 말이다. 이들은 경기 중후반 중요한 상황에서 짧게 등장해 주로 왼손 타자들을 상대하고 내려간다. 단 한 명만을 상대하는 경우도 흔하다. 국내 LG 트윈스의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샬루트, 스카이랩, 미르는한 국가가 건설하고 운영을 전담했다. 반면 ISS는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러시아연방우주청(ROSCOSMOS)을 중심으로 전 세계 16개국의 우주기술이 한데 어우러진 결과물이다. 이처럼 ISS는 우주개발에서 냉전과 경쟁의 시대가 끝나고 협력의 시대가 ... ...
-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과학동아 l2017년 10호
- 6명을 모집해 이들 제품 사용 전후 소변 성분 분석을 진행했다. 소변 검사는 고 교수팀이 전담했다. 참가자들은 실험 전 3일간은 제품 사용을 멈췄다. 그리고 제품 사용 전 소변 샘플을 두 차례 채취했다. 이후 제품을 사용하면서 사용 뒤 소변 샘플을 이틀간 두 차례 채취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 ...
- Part 3. “화장품, 직접 발라봤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경희대 피부생명공학센터 임상연구팀장이 참가자들의 피부 측정과 체험 뒤 피부 분석을 전담했다. 피부 측정은 최대한 동일한 조건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섭씨 22도의 온도와 습도 50% 조건에서 얼굴을 깨끗이 씻은 뒤 30분이 지난 시점에 실시했다. 피부 측정을 마친 뒤 참가자들에게 화장품을 ... ...
-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할 때 시각효과에서 VR 작업을 따로 해 달라는 항목을 넣고 있다. 웨타디지털에서 VR 전담팀이 따로 있고, 내가 담당했던 ‘정글북’ 같은 영화는 VR 작업을 한 영상을 유튜브에서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영화와 관련해서 VR은 테스트 단계에 있다. VR을 섣불리 썼다가 영화에서 주는 감동을 해칠 ... ...
- [News & Issue] 최순실 PC,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기반의 태블릿 PC부터 알아보자. 데이터 복구 전문기업 명정보기술에서 갤럭시 PC 복구를 전담하는 윤영종 엔지니어는 “버전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안드로이드 기기를 초기화시켰다면 99% 복구가 불가능하다”며 “높은 버전의 안드로이드는 초기화를 시키면 저장된 파일의 헥사코드를 모두 0으로 ...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당시 빌 게이츠는 하루 평균 400만 통의 메일을 받곤 했습니다. 스팸메일 거르는 업무를 전담으로 하는 부서가 있을 정도였습니다. 빌 게이츠의 측근이었던 스티브 발머 전 마이크로소프트 회장은 “빌 게이츠가 아마 전 세계에서 스팸메일을 가장 많이 받는 사람일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운영하며, 사용하는 사람들이 원활하게 소통하게 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현재 소통을 전담하는 물리학자를 뽑아서 그 역할을 맡기고 있다.➔ 그는 CERN에 대한 자부심이 컸다. 특히 CERN의 성공 비결로 ‘장기적인 연구 안정성’을 꼽았다. 5년 단위로 엄격하게 연구를 계획하지만, 한번 정한 목표는 ... ...
- [소프트웨어] 클래스팅으로 하나 되는 우리 반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토대가 됐다.“한 명의 담임선생님이 30명 이상의 학생을 지도해야 하고, 교과를 전담하는 선생님은 400명 이상을 가르쳐야 합니다. 이 때문에 학생 모두를 수업에 참여시키기는 힘들어요. 학생들의 수준과 관심사, 적성을 고려해 수업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지요. 이런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20만 배 이상 에너지가 더 필요하다. 진핵세포가 미토콘드리아를 흡수해 에너지 생산을 전담시키지 않았다면, 유전자 숫자를 늘리는 것은 불가능했을 것이다.WHO, HOW? : 리케차목 + 로키아르카이오타 = 진핵생물또 하나의 궁금증은 미토콘드리아와 진핵생물의 조상이 누구냐는 것이다. 미토콘드리아의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