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싸움터
전장
교전구역
전투장
전쟁장
전선
제일선
d라이브러리
"
전쟁터
"(으)로 총 15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하고 있다. 기존의 줄기세포 치료, 즉 환자의 몸에 줄기세포를 직접 주사하는 방식은
전쟁터
에 총과 식량 없이 병사를 떨어뜨리는 셈이다. 면역세포의 공격으로 절반이 죽고 손상된 장기까지 가는 동안 또 상당수가 죽는다. 심 교수는 “줄기세포를 스캐폴드 안에 넣어 이식했을 때 치료 확률이 ... ...
Epilogue. “북한 악성코드는 사이코패스”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피를 흘리는 부상자도 없었다. 하지만 이곳은 매일 수십만 회 이상 전투가 벌어지는
전쟁터
다. 최근 해킹 위협을 받은 한국수력원자력을 포함해 국내 수많은 기업과 기관의 보안을 지키고 있는 잉카인터넷사의 실시간 대응센터를 찾아 세상에서 가장 조용한 전쟁을 직접 지켜봤다. ... ...
[과학뉴스] “내가 평범한 개로 보이니?”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것처럼. 다만 시간이 관건이다. 영원한 비밀은 없지만 오래 버티는 비밀은 가능하다.
전쟁터
에서 적지를 공격하기 위해 보내는 암호는 공격이 이뤄지기 전까지만 풀리지 않으면 된다. 결국 암호는 풀리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필요할 때까지 버틸 수 있느냐란 뜻이다.‘KAIST 명강 4-수학으로 IT ... ...
쌍잠자리는 왜 같이 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잠자리 암컷은 수초가 있는 습지를 산란장소로 선호한답니다.습지 위는 수컷들의
전쟁터
수초나 습지 근처의 식물, 또는 물위에 솟아 오른 물체에 가만히 앉아 있는 잠자리는 대부분 수컷이에요. 습지에서 자신의 영역을 만들고 방어하는 거죠. 암컷을 관찰하기 좋은 곳을 선정하기 위해 여러 장소를 ... ...
Part 1. 테러도 공식을 따른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만나면 더 강해지거나 반대로 적에 대응하지 못하고 사라져 버린다. 이 원리가 어느
전쟁터
에서나 똑같이 일어나면서 수학적으로 같은 패턴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토대로 테러 가능성을 예측하는 방정식도 만들었다. α값이 2.5로 유지되면 끊임없는 테러로 전쟁이 계속되고,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로봇의 성능을 개선하는 것도 가능하다”며 “윤리적인 로봇 시스템을 도입하면
전쟁터
에서 발생하는 민간인의 희생을 줄일 수 있다”고 반박한다. 그의 말을 증명하려는 듯, 5월 14일 미군은 로봇에 도덕을 가르치는 연구를 위해 미국 예일대와 조지타운대에 5년간 미화 750만 달러(한화 약 79억 원)를 ... ...
마음에 드는 옷, 2시간 만에 받을 수 있는 비결은?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문제를 수식으로 나타내고자 했기 때문이다.실제로 당시 영국은 식량을 배를 이용해
전쟁터
로 운송했는데, 독일의 공격으로 빈번히 실패해 식량 부족이 심각했다. 이에 영국에서는 되도록 적은 수의 함선으로 가능한 많은 배를 지키는 문제를 ‘선형계획법’이라고 불리는 연립방정식으로 ... ...
총에 맞아도 15초면 지혈 끝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피를 막으려고 애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주인공은 장렬히 죽고 만다. 이런 일이 오늘도
전쟁터
에서는 비일비재하다.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와 레프메덱스 사 공동연구팀이 15초 만에 총상을 지혈할 수 있는 특수 스펀지 ‘엑스타트’를 개발했다. 이 연구를 이끈 존 스테인바흐는 미국 특수부대 ... ...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난 상처를 보호막처럼 감싸 출혈을 약 3시간 정도 막을 수 있어요. 교통사고 환자나
전쟁터
에서 부상당한 군인처럼 당장 지혈이 필요한 사람을 더 많이 살릴 수 있겠지요.꽁꽁 얼어 있는 얼음거품 캐나다 로키산맥에 있는 에이브러햄 호수에는 신비스런 얼음거품이 있어요. 이 호수는 바닥에 살고 ... ...
Part 1. 그들은 안다! 당신의 모든 것을…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상대 진영을 살폈다는 기록이 있다. 또 1608년 네덜란드에서 망원경이 개발된 이후,
전쟁터
에서 많이 사용됐다.엿듣는 기술은 18세기 들어 본격적으로 발달한다. 전보가 발명된 것은 1831년, 전화의 등장은 1860년, 니콜라 테슬라가 무선전신으로 특허를 받은 것은 1897년이다. 그리고 1920년 미국에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