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주
탐라
삼다도
삼무
탐라국
d라이브러리
"
제주도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지] 시민과학 풀씨 지사탐 심화 탐사도 놓치지 마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0호
해양과학과 차다현)
제주도
의 미끈망둑은 지하수인 용천수에 사는 물고기예요. 하지만
제주도
의 용천수는 가축의 분뇨나 비료 등으로 오염되고 있습니다. 어떤 조건에서 미끈망둑들이 잘 살 수 있을지 조사해 봐요. 기후변화로 거미가 앗, 뜨거!앗뜨거미 팀(한림대학교 정재욱 외 1명 ... ...
[과학뉴스] 제돌이, 춘삼이, 삼팔이 … 그리고 비봉이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환경 적응 훈련을 받는다. 이 과정에서 야생 돌고래 무리와의 접촉 및 교감을 시도한다.
제주도
연안에는 남방큰돌고래 약 120여 마리가 살고 있다. 훈련 과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비봉이는 고향으로 돌아가게 된다 ... ...
[특집] 어린이가 더 행복한 사회를 위하여!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계속 그리고 쓰다 보니 지금처럼 여러 권의 책을 만들었어요. Q최근에는 빙하를 타고
제주도
에 떠내려온 곰이 겪는 이야기를 담은 을 내셨어요.저는 동생들과 일주일에 한 번씩 산이나 바닷가에서 쓰레기를 주워요. 어떤 곳은 정말 주워도 주워도 끝이 없을 정도로 쓰레기가 많지만,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제주도
에 풍력발전기를 세워 바람을 재생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있거든요. 그런데
제주도
풍력발전기 중 몇 개는 자주 작동을 중단한다는데요. 그 이유가 뭘까요? 기후위기 및 재생에너지와 관련이 있다는데…. 영상에서 재생에너지의 가능성에 대해 알아봐요! 추천! 동아사이언스 영상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우리나라 최고의 화석 지층,
제주도
서귀포층!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있었던 것이죠. 한편 간빙기가 되어 수온이 올라가면 따뜻한 남쪽 바다에 살던 생물들이
제주도
부근까지 올라왔습니다. 여러 차례의 빙하기와 간빙기를 거치면서 여러 기후에서 자라는 생물들이 얕은 바다에서 함께 쌓여 다양한 화석이 발견되는 거지요. 기후 변화를 알려주는 서귀포층의 ... ...
[생태관광] 지역주민과 자연이 어우러지는 여행을 고민합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보호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한거죠. doi: 10.1371/journal.pone.0147988마을 삼촌이 들려주는 민요
제주도
동백동산의 곶자왈에서 생태관광을 위해 노력하는 사회적협동조합 선흘곶의 김호선 총괄팀장은 “주민들이 주체가 돼 ‘삼촌 해설사’로 활약한다”며 “동백동산을 거니는 체험 프로그램에서는 지역 ... ...
“모든 해안이 그 지역의 영웅을 가질 수 있도록”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연결된다”고 했다. 이어 “현재 새우를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며 “
제주도
와 같은 자연을 보러 갈 때는 자연보호를 항상 염두에 두며 에코투어리즘을 실천해달라”고 했다. 에코투어리즘은 친환경 관광을 통해 도시와 지역사회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새로운 관광 형태다. 여행으로 인한 ... ...
미개방 동굴에서 박쥐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다가가야 한다. 박쥐는 사람과 달리 스스로 사는 곳을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제주도
용암동굴은 땅과 바다를 잇고 있다. 동굴의 변화가 바다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탐험가 벤 호튼은 “현장 탐사를 통해 실제로 생태계가 연결돼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며 “용암동굴의 쓰레기가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위치
제주도
제주시 하정주 매니저위쪽 지역보다 비교적 따뜻한 기후의
제주도
에 있는 참새는 겨울 솜털이 적은 것 같아요! 조류 김예담 대원 | 딱정이 팀탐사 생물 나팔고니발견 위치 캐나다 델타 하정주 매니저멀리 캐나다에서도 탐사 기록을 남겨주었네요!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 ...
제주도
의 모든 생물을 기록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노력했다. 과학동아와 내셔널지오그래픽은 과학동아 독자들과 함께 5월 21일~22일
제주도
의 미개방 동굴도 탐험했다. 이 내용은 과학동아 7월호에 실릴 예정이다. 이번 ‘제주 바이오블리츠 캠프’에서 기록한 생물들은 iNaturalist 웹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