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혹성
d라이브러리
"
주성
"(으)로 총 49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에서 발견된 얼음 저수지
과학동아
l
2002년 09호
에 대해 나선식 회전을 하면서 전진하는 운동 보류
주성
(保留走性)의 결과로 나타난다보류
주성
은 동물이 망막의 일정한 곳에 내린 광점 또는 상(像)을 망막상의 일정한 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행동에 규제를 받은 결과 광원(光源)이 가까이 있고 광선이 방사상이면 광원을 중심으로 하여 점차 광원에 ... ...
혜성의 비밀 밝히는 나사의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자극이 전달돼 통증을 느낀다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쌍성 가운데 밝게 보이는 별은
주성
, 가볍고 어두운 별은 동반성이라 불린다 1834년 베셀은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가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 동반성을 가지고 있음을 고유운동으로 밝혀냈다천체의 궤도가 원이 아닌 타원형으로 찌그러진 ... ...
바이러스 복제 차단하는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성립하지 않는다는 뜻 1964년 미국 브룩헤이븐연구소의 과학자 4명이 처음 발견했다
주성
분이 메탄이라 '메탄하이드레이트'라고도 부른다 축구공 모양으로 배열한 물 분자가 메탄이나 프로판, 이산화탄소 같은 탄화수소 기체 분자를 하나씩 담고 있다 지구상에 있는 가스하이드레이트 속 탄화수소 ... ...
우주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없다. 알골의 경우는 변광주기가 2일 20시간 48분 56초이고 태양보다 1백배나 밝은
주성
이,
주성
보다 약간 더 크지만 어두운 반성에 의해 76%가 가려진다. 두별은 지구와 태양 거리의 1/15정도로 너무 가까이 붙어있기 때문에 망원경으로도 반성이 보이지 않는다. 알골은 변광주기가 짧기 때문에 가까이 ... ...
밤하늘의 유혹, 숨겨진 짝별 찾기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별이다. 3.1등급의 별과 5.1등급의 별이 34초 떨어져 있다. 투명한 토파즈같은 노란색을 띤
주성
과 사파이어빛 연푸른 반성의 모습이 매우 인상적이다. 20 배 정도의 쌍안경에서는 떨어질듯 말듯 절묘하게 분리된 모습이 설레임을 가득 안겨준다.길잡이 별 북극성북극성은 생각보다 그리 밝지 않은 ... ...
엄마는 큰곰 아들은 작은곰
과학동아
l
1998년 04호
미자르에서 14초 떨어진 동반성을 찾아냈다. 그 후 미자르의 스펙르럼을 조사해
주성
과 반성이 모두 분광쌍성이라는 것이 알려졌다. 맨눈으로는 하나의 별로 보이는 미자르가 실은 여러개의 별 집단으로 이루어진 대가족인 것이다.북극성은 진짜 북극 아니다북극성은 작은곰자리에 속하는데, 이 ... ...
마차를 발명한 아테네의 왕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1백배나 큰 적색거성 주위를 작고 푸른별이 돌고 있다. 태양보다 4배 큰 푸른별은 크기는
주성
보다 작지만 밝기는 5배나 된다.마차부자리에는 3개의 밝은 산개성단 M36, M37, M38이 있다. 이들은 모두 맨눈으로도 희미하게나마 알아볼 수 있다. 가장 밝은 M37은 1백50여개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작은 ... ...
11월의 밤하늘 페르세우스자리의 보석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패러독스'라는 수수께끼로 천문학자들이 한동안 골치를 앓은 적이 있다. 알골은 청백색
주성
과 노랑색 동반별로 이뤄진 쌍성계다. 사흘에 한번 질량 중심을 공전하기 때문에 밝았다 어두워졌다 하는 변화가 빠르게 되풀이된다. 재미있는 사실은 두 별의 밝기 차이가 1등급이 넘는다는 것. 알골의 ... ...
태양 닮은 주변의 별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있다.◆ 61 시그니백조자리 61번 별로 오렌지색의 쌍성(거리는 상당히 떨어져 있음).
주성
의 질량은 태양의 0.6배이며 반성은 0.5배. 이 별을 관측하면 4.8년 주기로 작은 섭동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원인은 목성 질량의 8배나 되는 행성이 있기 때문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이 사실로 ... ...
하늘에 떠있는 별들의 절반은 짝별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시야에는 쉽게 별을 넣었으나 분해되어 보이지 않았다. 여러 번의 관측 시도 끝에 어느날
주성
의 빛살 사이에서 작은 반성을 보았다. 그 뒤로는 계속 관측할 수 있었다. 리겔 관측은 날씨의 영향도 많은 것 같다. 그러나 일단 관측에 성공하고 나면 두번째부터는 눈이 숙련되어서인지 좀더 쉽게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