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름길"(으)로 총 21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1주일 만에 환자맞춤형 신경줄기세포 만든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성공적으로 적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직접교차분화는 일종의 ‘지름길 기술’로, 테라토마(종양)를 만들 위험이 있는 전분화능 줄기세포까지 완전히 거슬러 올라가지 않고 중간단계인 신경줄기세포로 체세포를 바로 전환한다.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만드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에 비해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웜홀을 지나 화이트홀로 나오는 것이다. 영화의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웜홀은 일종의 지름길이다. 판타지 소설에 나오는 ‘포털’과 비슷하다. 문을 통과해 나가면 아주 멀리 떨어진 장소에 나타나는 식이다. 영화 속 탐사대는 웜홀을 지나 다른 은하계로 건너가 지구를 대체할 새로운 행성을 찾는다 ...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하나로 합쳐진 것이 인류 역사에서 성공적인 진화로 기록될지, 아니면 멸망을 향한 지름길이 될지 누구도 알 수 없다. 최근에는 Y 염색체가 사라졌던 위치에서 새로운 염색체가 발견되고 있다는 소식이 들린다. 이 염색체가 어떤 역할을 할지는 아직 미지수지만, 여성성을 나타내는 X 염색체와 짝을 ...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수학동아 l2014년 10호
- 가령 내가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과 연결되는 과정에는 뉴욕에 사는 내 친구 알렉스라는 지름길이 존재하기 마련이다.사람들 간의 관계를 유심히 살펴보면 유난히 많은 사람과 친분을 맺고 있는, 소위 ‘마당발’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당발이 생기는 이유를 연결망의 진화 관점에서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좀 더 유사하게 만드는 것이다. 세포의 운명을 좀 더 간편하게 바꿀 수 있는 ‘지름길 기술’인 직접교차분화, 앞으로 유도만능줄기세포 이후의 리프로그래밍 기술을 주도할 것이다.“99.99% 이상 분화시켜서 극복할 겁니다.” 체세포복제 배아줄기세포에서 테라토마가 생길 위험을 어떻게 극복할 ...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단백질을 결정으로 만들어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노벨화학상에 바짝 다가서는 지름길이었다. 1958년에는 프레데릭 생어가 인슐린 분자의 구조를 해석했으며, 1962년에는 존 켄드루와 막스 페루츠가 헤모글로빈을 결정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 뒤로도 비타민 B12(도로시 호지카), 광합성 단백질(요한 ...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디자인 할 수도 있을 거야. 어딘가에 있을 신소재를 찾아 하염없이 헤매는 것 보다 지름길을 이용하는 것처럼 더 쉽고 빠르게 필요한 신소재를 찾을 수 있는 길이지. 결정구조가 열쇠?단백질도 구조를 알면 기능을 알 수 있어. 우리 몸속에서 우리 몸을 구성하고, 조절하는 단백질의 기능을 아는 것은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그는 “노벨상 수상의 비법은 ‘탁월한 연구 성과(excellence only)’라는 정답 외에 어떠한 지름길도 없다”며 “아시아 대학 및 학자들의 연구 수준이 많이 향상됐지만 아직 세계 정상에는 부족하다”고 쓴 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다음은 앤더슨 총장과의 일문일답.오랫동안 노벨상 수상자 선정에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상당히 발전했다는 것입니다. 한 나라가 어려워지는 건 순식간의 일인데 가장 빠른 지름길은 목적에 위반되거나 스스로를 불안하게 만들면서 어디에 종속되게 만들어갈 때입니다.” 행복함을 느끼지도 못하면서 일이나 시험, 공부에 매여서 불행하게 스스로를 학대하는 수준으로 하고 있다는 게 ... ...
- [체험] 세상을 이끄는 수학 고수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아직 배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한국은 교육을 좋은 대학을 가는 지름길로 생각하는 경향이 큽니다. 물론 교육열을 탓할 수는 없지요. 하지만 지나친 압박으로 인해 지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IMO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IMO에서 금메달을 따는 것이 목표가 돼선 안 됩니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