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질"(으)로 총 5,005건 검색되었습니다.
- [Chapter5] 우리 곁에 늘 있는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걸까. 2018년 토르콰토 는 초균일성 물질인 준결정에 X선을 비췄다. 화학자들은 물질의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 X선 촬영을 한다. 그 결과 X선이 산란하며 만드는 독특한 모양(회절 영상)에서 나타나는 특정 지점들 사이의 간격과 자연수에서 소수가 나타나는 간격이 비슷하다는 걸 알아냈다. 이 분야 ... ...
- [칼럼] AI 판사에게 꼭 필요한 능력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생성(RAG)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 이것은 GPT란 뇌에 최신 정보를 외부 기억처럼 결합해서, 질문을 받으면 관계 있는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근거로 답하게 하는 기술이다. 국민들이 신뢰할 수 있는 AI 판사는 방대한 이미지, 사운드, 텍스트를 동시에 이해, 생성할 수 있는 멀티모달 특성(시각, ... ...
- 현대 정수론의 선구자 페르마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남긴 편지와 쪽지를 모아 1679년에 책을 만든 덕분에 그의 업적이 오늘날까지 전해질 수 있었다. 문제는 페르마가 종이에 남긴 추측을 증명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래서 혹자는 페르마가 수학적 아이디어를 떠올린 뒤 증명을 하지 못해서 수학적 결과를 발표할 수 없었던 것이라고 짐작한다. ...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있어야 한다. 그리고 다수의 동일한 로봇이 있는 장소에서 사건사고가 발생할 시 책임을 질 주체를 파악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 로봇에 번호판이나 색깔 등을 부여해 개별 식별이 가능하도록 만드는 게 방법이 될 수 있다. 로봇과 AI 강소국인 한국은 이제 영화 속에서 봤던 로봇과 ... ...
- 원숭이가 책을 쓴다고? 무한 원숭이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사람들도 무한히 많은 시간 동안 타자기를 무작위로 치면 읽을 수 있는 문장이 만들어질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1782년 조너선 스위너프가 출간한 에 이와 비슷한 상황이 나오는데, 그럴듯해 보였기 때문이다. 소설에선 신비로운 교수가 학생들을 시켜 인쇄 기계로 무작위한 문자열을 ... ...
- 더 강해져서 돌아왔다...빈대의 습격과학동아 l2024년 01호
- “I WILL BE BACK” 영화 터미네이터의 명대사입니다. 2023년 이 명대사가 전세계에 울려 퍼졌습니다. 주인공은 싹 잡아 죽인 줄 알았던 흡혈 곤충 빈대. 다시 돌아온 빈대가 ... 지역에 다녀온다면 특별히 조심하는 것. 이런 사소하고 기본적인 행동이 빈대로부터 멀어질 수 있는 방법입니다 ... ...
- [시사기획] 카이스트에서 의전원을? 의사공학자 탄생할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결심하는 사람들이 많아져야만 한국의 의사과학자 양성이 본래의 목표와 계획대로 이뤄질 수 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주치의였던 고 허갑범 연세대 의대 교수는 1998년 “의사과학자를 배출하기 위한 의대 개혁 및 학제의 개편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냈다. 높은 부가가치를 가진 생명과학 ... ...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바로 잡아주는 이들이 많더라고 했다. “대학원이 기쁘거나 즐거울 순 없냐”는 기자의 질문에 작가는 “대학원은 고통스러운 곳이다” 잘라 말했다. 대학원은 일정 수준의 연구자가 되기 위해 수련 및 단련을 하러 가는 곳이기 때문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과정이 고통스럽지 않다면 그건 ... ...
- [커리어] 매일 전기 1kWh를 아끼면 무슨 일이? 지역 청소년 에너지 교육 '2023 신바람 에너지 스쿨 '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에너지 위기는 지금도 심각하지만, 지금의 청소년 세대가 살아갈 시대는 더욱 심각해 질 거예요.” 김 강사는 에너지 위기는 인류가 넘어야하는 큰 산이라고 강조했다. 인류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를 이용해 문명을 일궜다. 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폭염, ... ...
- 참가자 모두 짝이 된다! 게일-섀플리 알고리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의미다. 게일과 섀플리는 ‘협력적 게임이론’의 대가로, 협력이 어떤 상황에서 이뤄질 수 있는지를 연구한 선구자로 꼽힌다. 특히 섀플리는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은 수학자이자 경제학자로, 1960대 초에 ‘안정적인 배분 이론’을 집대성했다. 안정적인 배분 이론이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