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척수"(으)로 총 23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배아 발달 중 신경관이 제대로 닫히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오른쪽 그림). 이 경우 척수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돼 심한 경우 보행 장애, 배변 장애를 일으킵니다. 이렇게 신경관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생기는 질병은 배아의 선천성 결함 중 꽤 높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영국에서는 평균적으로 매일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를 바탕으로 각각의 신경에 정확하게 순차적으로 자극을 가할 수 있도록 환자들의 척수에 전기자극을 주는 무선 기기를 이식했다. 그 결과 세 명 모두 일주일 만에 다리를 움직였고, 보조 장비를 이용해 보행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를 이끈 그레고르 쿠틴 로잔연방공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4D로 촬영한 배아 발달과정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추적해 영상으로 촬영했다. 이를 통해 창자가 형성되는 과정뿐만 아니라 뇌와 척수를 형성하는 신경관, 심장 세포의 첫 박동까지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그동안 쥐 배아는 빛에 의해 쉽게 손상되고, 크기와 모양이 급격하게 변하기 때문에 사진을 찍기가 매우 어려웠다. 하지만 연구팀은 세포 ... ...
- [Culture] 과학으로 들여다본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캐나다 워털루대 신체역학과 교수팀이 2006년 ‘척수의학저널’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척수 손상으로 마비가 발생한 환자들의 근육량은 마비 이후 6주 동안 18%에서 많게는 46%까지 감소했으며, 이후 6개월간 평균 16% 정도의 근육량이 추가로 감소했다.doi:10.1080/10790268.2006.11753898변성은 분당차병원 ...
- [과학뉴스] 백혈병, 뇌로 전이되는 경로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약물을 주입해 림프구의 지주막하강 침입을 억제하자 암세포가 뇌로 전이되지 않고 척수에 남아 있었다”며 “이 병의 전이 과정이 림프구의 면역 감시나 염증 반응과 관련이 있는지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doi:10.1038/s41586-018-0342- ...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이런 맞춤형 장비는 장애인 선수에게 더욱 중요하다. 똑같이 휠체어를 타더라도 척수가 손상된 선수는 몸이 앞으로 기우는 등 선수마다 자세와 체형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행히도 우리나라 컬링 국가대표팀은 이번 대회를 계기로 자기 몸에 맞는 휠체어 의자를 쓰게 됐다. 자신도 휠체어를 타는 ... ...
- [프리미엄 리포트] 미국, 진통제와의 전쟁 선포! 진통제 알고 먹자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영향을 준다. 수도관주위 회색질에서 내려온 신경은 솔기핵을 활성화시켜 솔기핵이 척수 부위에 세로토닌을 분비하도록 한다. ‘행복 호르몬’으로 불리는 세로토닌은 척수-뇌의 통증 시스템에서도 신호전달물질로 쓰인다. 농도가 증가하면 통증 신호를 억제한다. 오피오이드는 이렇게 뇌간에서 ...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분자 대사학’ 8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뇌척수액에서 당을 인식해 뇌로 신호를 전달하는 띠뇌실막세포(tanycyte)라는 뇌세포에집중했다. 연구 결과 이 세포가 당뿐만 아니라 아미노산도 인식할 수 있으며, 이때 뇌로 보내는 신호가 포만감과 관련 있다는 사실을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두개골이 뇌를 감싸고 있다. 그 안에는 뇌수막이 둘러져 있고, 다시 그 안에는 뇌 척수액이 가득 들어 있다. 그러니까 뇌는 물에 둥둥 떠있는 구조로 돼 있고, 그 덕분에 바깥에서 충격을 받아도 그 여파를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는 셈이다. 대뇌에 있는 모세혈관에서는 혈액 속 병균이나 유해물질이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중에는 특정 세포가 퇴화하거나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생기는 것들이 있습니다. 사고로 척수가 손상된다든지, 염증으로 간 기능이 저하된다든지, 유전자 돌연변이로 근육이 급격히 퇴화한다든지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겠는데요. 이때 병을 치료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문제가 되는 세포들을 정상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