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직 다 밝히지 못한 정체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부여했다. 그중 약수를 중요하게 여겼다. 당시 약수와 관련해 특이한 성질이 있는 수는 천문학, 점성술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런데 모든 자연수의 약수 개수가 같지 않다. 8의 경우는 약수가 1, 2, 4, 8로 4개고, 12는 1, 2, 3, 4, 6, 12로 6개다. 자연수 중에는 약수의 개수가 단 2개뿐인 수가 있다.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정통했고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이론과 개념을 만들었다. 수학을 비롯해 의학식물학화학천문학 등 많은 분야를 연구했다. 메르센과 비슷하게 어렸을 때는 목사가 되고 싶어 스위스 바젤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그러다 과학자, 수학자를 많이 배출한 베르누이 집안 사람들과 만나면서 수학에 ... ...
- [과학뉴스] 해왕성, 생각보다 파랗지 않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연구팀은 해왕성의 정확한 색 스펙트럼을 알아내기 위해 허블 우주망원경과 유럽남방천문대의 초거대망원경(VLT)으로 관측한 자료를 사용했다. 두 망원경은 색을 연속된 스펙트럼으로 관측할 수 있어 해왕성의 실제 색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연구팀은 관측된 색상을 바탕으로 보이저 2호가 찍은 ... ...
- [4컷만화] 우주에서 명중! 레이저로 통신 성공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교신할까요? 2023년 11월 16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에서 보낸 레이저를 미국 팔로마 천문대에서 수신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2023년 10월 발사되어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으로 향하는 프시케 탐사선에서 레이저를 보낸 거였죠. 현재 우주선과 교신하는 방법은 인터넷처럼 ... ...
- [과학뉴스] 초은하 평면에는 왜 주로 타원은하만 있을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차가운 암흑물질 모형(ΛCDM)’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2023년 11월 20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50-023-02130-6 ΛCDM은 우주의 진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 그리고 보통 물질로 오늘날 우주의 다양한 모습을 설명한다.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은 ... ...
- [천문학자] 다 같이 돌자, 지구 한 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천문학자들은 지구를 넘어 우주 곳곳을 파헤치고 있지요. 앞으로 매월 15일 자마다 천문학자가 알아낸 신비로운 우주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그럼 다음 화도 기대해 주세요 ... ...
- 나무로 만든 인공위성이 온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83iA06p02637 케슬러 박사의 우려는 50년도 채 지나지 않아 현실로 다가왔다. 2023년 4월, 한국천문연구원이 김영주 국회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구 궤도에는 약 1억 9000만 개에 달하는 우주 쓰레기가 떠돌고 있다. 과학자들은 우주 쓰레기를 지구 대기권으로 끌어내려 태워 없앨 계획이지만 ... ...
- 운명의 상대 만날 확률은? 배커스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왜 여자친구가 없는가’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드레이크 방정식은 미국의 천문학자 프랭크 드레이크가 외계인을 찾을 때 어떤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지 과학자들과 논의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사람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 정도로 똑똑한 외계인의 수가 얼마나 있을지를 추정하는 ... ...
- 수학에 사랑스러움이 가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해답으로 단위 구를 배치하면 입맞춤 수를 알 수 있다. 케플러 추측은 1600년대 초 독일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 연구가 시작됐다. 그는 ‘육각형 눈송이에 관한 글’에서 3차원 공간에서 단위 구를 가장 밀도 높게 쌓는 방법을 제안했다. 과일가게에서는 사과나 귤과 같은 둥근 모양의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많아 취미로 연구를 하던가요. 후원을 받은 대표적인 인물은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였던 갈릴레오 갈릴레이입니다. 갈릴레이는 망원경을 이용해 목성 주변을 도는 위성 4개를 최초로 발견하고, 그 위성의 이름을 자신을 후원하던 메디치 가문의 이름을 따 ‘메디치의 별’로 지었습니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