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착색
채색
색조
혈색
보호색
자연색
원색
d라이브러리
"
천연색
"(으)로 총 6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이보다 더 얇고 가벼울 수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정도여야 한다.또한 전하량을 조절할 수 있는 빛의 세기 폭이 넓어야 디스플레이에서 총
천연색
을 좀더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다. 현재 OTFT의 성능은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모니터의 TFT-LCD의 수준을 만족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단위소자 수준으로 실제로 상용화를 위한 디스플레이를 제작하는데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부피의 약 5분의 1을 눈이 차지하고 있을 정도다. 뿐만 아니라 시력도 사람보다 월등해 총
천연색
을 구별한다. 황조롱이는 심지어 자외선까지 구별해낼 수 있다고 한다.다섯째날 아침 탐사팀이 찾은 곳은 전북 부안군 진서면 운호리 운호저수지와 줄포면 만화동 반계선생유적지 입구. 팀원들은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본격적인 유기EL 시대가 열릴 것을 예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삼성SDI에서 15.1인치
천연색
유기EL 디스플레이를 발표했고, LG전자, LG 필립스 LCD, 오리온 전기 등에서 유기EL과 관련된 우수한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디스플레이는 반도체와 함께 우리나라의 주력산업이다. 세계 디스플레이 산업의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걸려 있는 전광판은이 기술을 이용한 것이다. 잠실 올림픽 스타디움에 처음 설치됐던 총
천연색
대형전광판은 바로 형광램프를 이용한 대형 전광판이었다 ... ...
대우받는 기술자로 남기 위한 청색 혁명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2원색의 표현력은 시각적 한계를 강요한다. 청색만 있다면 빛의 3원색이 갖춰짐으로써 총
천연색
의 표현이 가능할텐데….● ● 푸르름을 간절히 원했지만 어째 쉬운 기술이 아니었다. 청색 발광의 꿈은 20세기 중에는 무리라는 것이 지론이었다. 교차로에서 지하도에서 푸르름의 결핍에 시달리던 2 ... ...
ST - 우주개척의 시대 서곡 울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0kg이며 큰 빌딩을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인 해상도 13.5m급(13.5m 이상만 식별이 가능하다)의
천연색
사진을 찍는 우주과학실험용 위성으로 현재도 정상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우리별 프로그램은 우리별 3호를 끝으로 막을 내렸으며 과학위성 프로그램이 그 뒤를 이었다.과학위성 1호는 1998년 가을 1백1 ... ...
이毛저毛 털이야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않다. 반면 서양인의 경우 머리털에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적색모에서 금발까지
천연색
의 다양한 머리색깔이 나타난다. 이런 머리털의 자연색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털의 색깔은 모낭의 멜라닌세포에서 멜라닌색소를 만들어 모낭세포로 전달시킴으로써 나타난다. 멜라닌세포는 두가지 ... ...
Ⅱ. 한국과학자가 계기 마련한 올해화학상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희귀한 현상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다행히도 그때는 이미 피비거가 죽은 뒤였다.
천연색
사진으로 1908년 물리학상을 수상한 가브리엘 리프만의 경우도 선정위원회의 오류로 기억되고 있다. 리프만은 소르본느에서 수리물리학을 가르친 물리학자. 1891년 그는 빛의 간섭현상을 이용해서 최초로 ... ...
2. 슈퍼금속들의 화려한 변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있다. 또 빨강, 초록, 파랑의 발광다이오드 상대 강도를 조절하면 하나의 전구를 총
천연색
으로 만들 수 있다.자외선을 발생하도록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이 자외선이 다시 백색형광물질을 활성화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현재 이런 방법으로 백색을 내는 발광다이오드가 개발되어 있다. 이제 곧 ... ...
1. 인간은 색을 어떻게 구별하나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영화의 포스터에는 총
천연색
영화라는 표시가 뚜렷이 있었다. 우리가 보는 색을 바로
천연색
또는 자연색이라 한다. 우리는 어떻게 이러한 색깔을 느낄 수 있을까?사람의 망막(그림1)에 있는 시세포에는 간상세포와 원추세포가 있다. 시세포는 빛을 감지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특별히 분화된 세포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