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촉발"(으)로 총 1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인간의 활동이 지진 발생에 직접적인 역할을 한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을 각각 촉발지진(triggered earthquake)과 유발지진(induced earthquake)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그 구분이 매우 어려우므로 이 글에서는 인간의 활동과 관련된 지진을 모두 유발지진이라고 부르겠다. 지진을 일으키는 인간의 ... ...
- 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물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오른쪽 QR코드를 스캔하면 관련 내용이 담긴 강연을 볼 수 있다), 호킹 열복사로 인해 촉발된 이론물리학의 위기가 학자들에게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지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흔히 양자적 물리학은 미시세계에서, 그리고 고전적 물리학은 거시세계에서 잘 맞는 것으로 알려져 ...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사십춘기 부모가 겪은 사회와 사춘기 자녀가 겪는 사회가 다르다는 점이 갈등을 촉발하는 주요 원인이다. 만화영화 ‘태권 V’를 보며 자란 부모와 미드(미국 드라마)를 보고 자란 아이의 가치관과 생각이 일치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게 오히려 이상한 일이다. ‘중2병의 비밀’이라는 책을 펴낸 ... ...
- [Photo] 천연 내비게이션, 자철석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인류의 4대 발명품 중 하나로 꼽힌다. 나침반은 미지의 세계를 향한 인류의 모험을 촉발 시켰고 대항해시대를 열어 세계화의 물꼬를 튼 일등 공신으로 평가 받는다. 인간의 뇌에도 자철석이?과학자들은 자철석이 생체 내비게이션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철새 등 일부 조류와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고정돼 있을 때보다 온도가 2~3.5배 높아진다.FACT B허 교수는 이런 수증기 되먹임을 촉발하는 ‘트리거(방아쇠)’가 바로 이산화탄소라고 설명했다. 수증기보다는 양도 적고 효과도 미미하지만, 어쨌든 최초에 지표면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때문이다. 그는 “이산화탄소를 지금처럼 계속 배출한다면 ... ...
- Part 2. 강화된 온실효과가 기후변화의 주범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한다. 여기까지는 자연적인 현상이다. 기후변화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이산화탄소로 촉발된 강화된 온실효과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떠내려가는 회의론 기후변화는 왜 사실인가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Part 2. 강화된 온실효과가 기후변화의 주범Part 3, 기후변화 최대 ...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유르트시버와 함께 발표한 ‘웜홀, 타임머신, 약한 에너지 조건’이라는 논문으로 촉발된 논쟁이다(690쪽). 그는 당시 논문 제목에 타임머신이라는 단어를 넣으면 전도유망한 제자들의 명성에 먹칠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걱정을 했다고 회고했다.아주 명망 있는 과학자의 책을 읽는 것은 역시 ... ...
- [Tech & Fun] 기후변화, 인류에겐 새로운 기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9월 유엔 기후변화 정상회담에 맞춰 조직된 대규모 시민 행진 직전에 발간됐고, 논쟁을 촉발시켰다. 당시영미권 진보언론의 호평을 받고 뉴욕타임스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저자가 파악한 현실은 기대(?)보다 참담하다. ‘하필 이런 때(1부)’공공 부문의 민영화가 진행되면서 탄소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아니, 그래도 똥을 먹다니.#2“아뇨, 그렇지 않습니다. 모든 것은 언어와 관습에 의해 촉발된 반작용에 지나지 않아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보이는 반응은 선입견에 물든 감각에 의해 잘못 연동된 결과일 뿐입니다. 보세요. 저는 아무렇지도 않아요.”그런데 보는 저는 아무렇지도 않지 않아요. 그럴 ... ...
- [News & Issue]울산 1만 명 게놈 프로젝트 시작!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울산시와 UNIST, 울산대와 울산대병원등 4개 기관이 2015년 11월 25일 ‘울산 1만 명 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프로젝트는 앞으로 3년 동안 울산 시민1만 ... 이끄는 박종화UNIST 게놈연구소장은 “이번 프로젝트가 생명과학 분야의 신산업을 촉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