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양"(으)로 총 58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식중독 악당 초고속 검거 완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인공항체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답니다. ●인터뷰김종호(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재료화학공학과 교수)“항생제 내성균 문제를 해결해요!” Q식중독 질환을 치료할 인공항체를 개발한 계기가 무엇인가요?식중독균에 감염되어 병원에 가면 원인균이 무엇인지 알기도 ... ...
- [특집] 무한의 비밀을 밝혀라! 인피니티 워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안녕하시오. 무한 세계를 여행하는 수학자, 닥터 칸토어요. 무한 세계를 누구보다 가장 오래 살펴봤고, 잘 알고 있어서 자칭 무한 세계의 최고 수학자라고 하지요. 그런데 이런 내가 무한 세계를 휘어잡지 못하게 막는 악당이 하나 있소. 그 녀석만 해치우면 무한 세계의 비밀을 모두 풀 수 있을 것 ... ...
- [특집] 알쏭달쏭 무한 세계수학동아 l2021년 11호
- 크기의 공간에는 유한한 수의 입자만 들어갈 수 있다’고 가정하기 때문이에요. 김항배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는 “시공간에 양자역학의 원리가 적용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만약 그렇다면 무한의 개념이 없다고 볼 수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 ...
- [특집] 땅에 묻혀있던 하늘이 드러나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전체가 수도인 한양의 시간을 따르도록 했습니다. 이를 위해 자동 물시계인 자격루를 한양에 놓았고 조선의 표준시*를 알려주는 '표준시계'로 삼았습니다. 하지만 자격루는 외부환경에 따라 물의 높이가 달라지는 등 매일 최대 15분의 오차가 생겼죠. 이 문제는 일성정시의를 이용해 해결할 수 ... ...
- [특집] CBDC가 살아남기 위한 두 가지 조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거래정보를 완벽하게 숨기면서 필요할 때는 열어볼 수 있는 기술도 필요하다. 오현옥 한양대학교 정보시스템학과 교수는 “일반적인 개인의 거래정보는 노출될 필요가 없지만, 불법적인 사용이 의심될 때는 한국은행처럼 자격을 갖춘 참여자는 거래정보를 열어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며 ... ...
- [한페이지 뉴스] 숨만 쉬어도 비말 2.2m 날아가…, 마스크 쓰면 0.7m로 뚝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약화돼 와류 형성이 억제됐고, 비말은 단 0.72m까지만 확산됐다. doi: 10.1063/5.0054204강석구 한양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기존보다 100배 이상 높은 정밀도로 실내 공간 전체의 공기흐름을 분석했다”며 “에어로졸 발생량이 적은 호흡도 그 영향이 누적되면 2m 이상 전파되지만, ... ...
- [특집] 새로운 화폐, CBDC의 등장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시도해 입력값을 알아내면 해시함수를 바탕으로 한 블록을 풀 수 있게 된다. 오현옥 한양대학교 정보시스템학과 교수는 “모든 거래 참여자의 51% 이상이 갖고 있는 블록을 동시에 해킹해야 정보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도난 위험으로부터 매우 안전하다”고 말했다. 현재는 비트코인에 들어간 ... ...
- [특집] 암호학이 쌓아 올린 신개념 머니,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모바일 캐시부터 지방자치단체에서 만든 지역 화폐까지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화폐가 등장했다. 그중 비트코인처럼 암호학을 바탕으로 개발된 암호화폐가 디지털 금융의 생태계를 뒤흔들고 있다. 바로 이때 각 나라의 중앙은행이 디지털 금융 세계를 평정할 새로운 암호화폐를 연구하기 시작했 ... ...
- [수담수담] 수학과 문학의 수상한 만남-함기석 작가수학동아 l2021년 06호
-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비롯한 천재들은 예술가면서 동시에 수학자, 물리학자였는데요. 한양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하고 시인으로 변신해 2009년 박인환문학상부터 2020년 이상시문학상까지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한 함기석 작가. 그에게서 수학과 예술 사이의 수상한 만남에 대해 들어봤습니다 ... ...
- [인터뷰] “인류 보편적 진화 과정 통해 역사 살펴야”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좋겠습니다.”2월 3일 오후 서울 서초구 연구실에서 만난 배기동 전 국립중앙박물관장(한양대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은 고고학과 역사를 주로 다루던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인류 진화라는 과학적인 주제로 특별전을 기획한 계기를 묻는 질문에 ‘인류의 보편성’이라는 화두를 꺼냈다. 배 전 관장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