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쩍임
빛남
섬광
미광
d라이브러리
"
희미한 빛
"(으)로 총 159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환기되는 듯하다. 아마 이 물체가 모락모락
희미한
김이라도 피워 올리고 있었다면 나는 환각 ... 그리고, 그러나 숲은 아름답다. 온통 초록
빛
으로 번쩍이고 녹음을 밤의 줄무늬처럼 드리우며 ... 어디 있을까? 죽음은 본디 그림자처럼 삶의
빛
바로 옆에 있는 게 아니었던가? 죽어있는 것은 누굴까? 나?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응시했다. 그 순간 2억2000만 년을 여행해온
빛
이 눈동자에 와 닿았다. 여리고
희미한
빛
을 내는 은하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바로 이곳이 여러 개의 초은하단을 아우르고 있는, 라니아케아 초은하단의 중심 지역이다. 우리은하가 속해 있는 처녀자리 초은하단도 이곳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마침내 ... ...
양띠 독자가 나섰다! 양의 비밀을 밝혀낼 거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4호
이들의 털은 대부분 갈색과 흰색이지만,
빛
의 산란 때문에 각도에 따라 회색에 가까운
희미한
푸른
빛
이 나타난답니다. 이런 털 색 때문에 바위가 많은 산에서 몸을 잘 감출 수 있지요. 양털의 비밀은 탄성과 기름기양털은 인류가 최초로 사용한 섬유예요. 만약 양털이 없었다면 인류는 추위로 ... ...
세상에서 가장 까만 검은색!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흡수하고 거의 반사하지 않지요. 밴타블랙은
빛
을 거의 다 흡수할 만큼 까맣기 때문에 마치 ...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또 망원경의 효율을 높여
희미한
빛
을 내는 별도 관찰할 수 있다고 기대했지요 ... ...
[fun] 다른 곳에는 없는 독특한 과학책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기자에게 제일 먼저 보여준 책도 ‘영화 속에 과학이 쏙쏙’이었다.
빛
, 힘, 유전 같은 과학 개념을 영화를 통해 설명한 이 책은 처음 나온 200 ... 보냈는데 얼마나 팔렸는지 소식조차 돌아오지 않았다. 저작권 개념이
희미한
것도 문제다.조 대표는 과거 우리나라 이야기를 했다. “예전에는 외국에서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사라지지 않았다는 게 우리의 잠정적 결론이 었다. 전 우주에 퍼져 있는
희미한
웜홀의 파동에 올라타서 눈을 열여덟 번 깜빡거리고 나면 은하 하나를 ... 영역에서 보자면 나는 검고 장식이 지나치게 많이 달려 있으며 가끔 붉은
빛
을 낸다. 이 또한 내가 속한 진화선의 특징이다. 크기는 이명의 옆에 ... ...
성스러운 생태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달보다 조금 더 큰 위성이 밤하늘에서 은은하게
빛
났고 외계의 풀벌레들이 밤의 신들을 위해 작고 ... 향해 달려오고 있지만, 정보와 달리 물질은 아직
빛
의 속도 아래에 묶여 있기 때문에 이 행성에 대한 ... 안개 혹은 구름 속에서 신들은 마치 그림자처럼
희미한
형체로 번져 나왔다. 그 모습은 ... ...
별
빛
이 폭포수가 되어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국립공원에서 8월의 밤하늘을 담았다.원제
빛
너머 하늘 | 툰츠 테즐 | 터키‘식인 은하’의 식사 현장세밀한 나선팔의 모습과 그 끝에 있는
희미한
빛
의 꼬리에 주목해 보자. 거대한 은하의 중력 때문에 갈갈이 찢기고 있는 작은 은하의 모습이 보인다. 동료의 몸에 빨대를 꽂아 빨아먹는 식인 은하의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신 체면이 말이 아니다!실제로 큰 망원경은
희미한
전파도 포착할 수 있다. 이런 걱정으로 밤잠이 안 ... 탄생 38만 년 뒤 우주 공간에 쏟아져 나온 최초의
빛
, 즉 우주배경복사다).
빛
알갱이가 이것밖에 없다니, 생각보다 적다. 하지만 이 광자는 사실상 우주에 존재하는 거의 대부분의 광자다. 별에서 ... ...
1000m 심해에서 사냥하는 코끼리바다표범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있을 때는 사냥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485nm의
빛
은 남방코끼리바다표범이 즐겨 먹는 심해어인 바늘치의 발광기관이 내는
희미한
빛
의 파장과 같다. 남방코끼리바다표범의 눈이 낮에는 앞을 잘 보지 못하는 대신 485nm 파장대의
빛
에 가장 예민했던 이유가 밝혀진 것이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