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nasa"(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넘쳐 흐르는 바닷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뜨거워지고 극지방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높아지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NASA의 설명처럼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는 데는 두 가지 요인이 작용합니다. 하나는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그린란드나 남극의 빙하가 녹고 있기 때문이에요. 해수면이 오르는 데 빙하보다 영향을 미치는 건 ... ...
- 우리나라 ‘빨간불’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조양기 교수팀과 공동으로 우리나라 해수면의 전망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NASA 등이 발표하는 전 세계 해수면 자료로는 우리나라의 해수면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워요. 그래서 국립해양조사원은 우리나라에 적합한 모델을 만들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제6차 보고서에 실린 ... ...
- [이달의 과학사] 보이저 1호 태양계 밖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곳이지요. 이제는 보이저 1호가 보낸 자료를 지구에서 받는 데만 20시간이 넘게 걸려요. NASA는 “보이저 1호의 동력이 모두 떨어지면 각종 관측 장비의 보온 장치를 작동 중단할 것”이라며 “오는 2030년이면 보이저 1호와 지구와의 교신은 끝난다”고 내다봤습니다 ... ...
- [특집] 상대성 이론 시간 여행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내용이지요. 상대성 이론은 실험을 통해 입증되고 있어요. 1976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중력이 클수록 시간이 느려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지구 1만km 상공에 위치한 위성과 지구의 시계를 비교했어요. 지구에서 멀어진 위성 속 시계가 지구의 시계보다 중력의 영향을 덜 받는다는 점을 이용한 거죠. ... ...
- [특집] 웜홀, 상대성 이론이 남긴 숙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통해 과거로도 이동할 수 있다고 주장했지요. ’아기 웜홀’ 만든 과학자들 2019년, NASA는 상대성 이론이 예측한 블랙홀의 사진을 찍는 데 성공했어요. 블랙홀을 두 눈으로 들여다본 것과 마찬가지죠. 킵 손 교수를 비롯해 웜홀의 존재를 믿는 과학자들은 관측 장비와 기술이 지금보다 훨씬 발전한 먼 ... ...
- 아마존강 도전장을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아마존강이 6992km로 나일강보다 140km 더 길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랜드샛 인공위성이 관측한 이미지를 활용해 두 강의 경로를 표시한 뒤 수원에서부터 하구까지의 길이를 계산했어요. 하지만 바로 다음 해인 2009년, 중국과학원 리우 샤오창 박사팀은 정반대의 연구 결과를 ... ...
- 과학동아 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6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관찰한 토성과 위성의 모습. 입체적이고 선명한 고리가 인상적이다. 고리는 A, B, C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A 고리와 B 고리 사이에는 ‘카시니 틈’이라는 거대한 틈도 있다. 미국과 유럽의 공동 토성 탐사선 카시니호가 2010년 1월 2일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 탐험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안녕? 우린 우주인이 되기 위해 특수훈련을 마친 옥톡과 달냥이야. 어느 날, 우주 저 멀리에 있는 외계인으로부터 신호가 왔어. 당장 그들을 만나러 갈 거야! 우린 우주를 떠돌아다니는 여러 탐사선에서 부품을 모아 우주에서 최고로 멋진 우주선을 만들기로 했어. 보이저 1호1977년 미국에서 발사 ... ...
- [찰칵! 전시회] 알아두면 쓸데 있는 분수 사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백열전구★의 탄생 확률은 1/3000 미국의 발명가 토머스 에디슨은 ‘백열전구’를 발명했어요. 에디슨은 백열전구에 들어가는 전기 필라멘트★를 만들기 위해 약 3000개의 이론을 세우고 실험하길 반복했지요. 에디슨이 백열전구 발명에 성공할 가능성을 분수로 나타내면 약 0.000333...%, 백분율로 ...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구성된 화산재 기둥이 약 58km 높이까지 치솟는 것을 확인했어요.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는 당시 11시간가량 지속된 화산 폭발로 1억 4600만 톤(t)에 달하는 막대한 양의 수증기가 대기 중으로 흩어져, 수년간 지구의 기온을 올리는 온난화에 영향을 줄 거라는 전망도 내놓은 바 있습니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