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이러스
d라이브러리
"
virus
"(으)로 총 6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스 정체 둘러싼 미스터리 3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바 있다.메타뉴모바이러스는 사람에게 볼거리를 일으키는 파라믹소바이러스(paramyxo
virus
)과에 속한 바이러스로 2001년 네덜란드의 어린이들에게서 처음 발견됐다. 닭, 꿩, 메추리 등의 동물에서 소화기, 호흡기 및 신경이상을 일으키며 감염시 100% 폐사를 유발하는 뉴캐슬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 ...
각양각색의 바이러스 목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Win32/Bugbear.worm. 50688' 'Win32/BR2002.worm. 53248' '‘Win32/Appix.worm Win-Trojan/Qzup.20480' 'West Nile
Virus
Hoax’' 찾을 수 있었다.이 중 'Win32/Bugbear.worm. 50688'가 버그베어 바이러스의 공식 명칭. 이 바이러스의 번식 규 ...
자연과학계의 이단자 바이로메드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하나인 '바이로메드' 직원이기도 하다.바이로메드는 영어로 바이러스를 뜻하는 '
virus
'와 의학을 의미하는 'medicine'을 결합ㅂ해 만든 용어다.그런데 바이러스는 각종 난치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다.그렇다면 이 회사의 주요 목표는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일일까.그렇지 않다.생소하게 들리겠지만 오히려 ... ...
① 신종 괴질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등장했다는 보도가 잇따랐다. 이 사건들의 공통점은 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바이러스(
virus
)라는 점이다. 일단 몸에 침투했다 하면 벗어날 방법이 좀처럼 발견되지 않는다. 그래서 ‘예방이 최선’이란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병원체다. 더욱이 (사건 1)에서처럼 감염된지 불과 48시간 내에 사망에 ... ...
1999년 컴퓨터 바이러스 경보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증가한다. 바이러스 상주 후 감염파일을 오전 7시 이전에 실행시키면 화면 중간에 ‘Ebola
Virus
’라는 문자가 나타나고 시스템이 다운된다.③ 백오리피스바이러스가 아닌 트로이 목마 프로그램이다. 트로이 목마 프로그램은 트로이 신화에 나오는 목마처럼 일단 시스템에 잠입시킨 후 다른 곳에서 이 ... ...
과학자로 다시 돌아온 우주영웅 글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효과가 큰 인슐린 구조를 연구하는 일, 샤가스병과 호흡기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의 연구가 그것이다. 전세계적으로 2천만명의 환자를 둔 샤가스병은 근육을 무력하게 만드는 병이다. 비글호를 타고 남미를 방문했던 찰스 다윈도 이 병에 걸려 평생을 고생했다고 한다. 기도와 폐에 감염되는 ... ...
철통같은 방어진 구축한 인체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일종의 백혈구인데, 이 두 면역세포를 공격하는 대표적인 것이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 즉 사람의 면역을 무너뜨리는 에이즈 바이러스다.아직도 HIV에 대한 예방접종인 백신(항체)도 만들지 못하고 있다. 마지막 방어체계가 무너져서 속수무책으로 지금까지 4천여만명이 죽었다하니 이 두 세포가 ... ...
1. 1993년부터 인간복제 시작됐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이곳에 분할소구를 집어 넣은 뒤 미수정란에 잘 융합할 수 있도록 바이러스(Sendi
virus
)를 처리하거나 순간적으로 고압 미세전류를 흘린다. 이때 분할소구의 세포핵이 무핵 미수정란의 세포질 안에서 안정되게 자리를 잡는다. 이 새로운 접합자는 실험실의 배양기나 동물의 수란관에서 5-6일 간 ... ...
바이러스와의 영원한 전쟁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통해 천연두를 지구 위에서 몰아내었던 과학의 위력을 다시금 기대해 본다. 바이러스(
Virus
) : 살아있는 동식물 혹은 미생물 세포를 숙주세포로 삼아 그 안에서만 증식할 수 있는 크기가 작고 성분이 간단한 감염성 병원체. 바이러스는 살아있는 세포의 외부에서는 휴면입자로 존재하나 적당한 숙주 ... ...
대책없는 광우병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TSE에 노출된 뒤 발병하기까지 잠복기가 길었기 때문에 원인 물질을 슬로우 바이러스(slow
virus
)라고 불렀다. 그런데 이 물질의 생명력은 대단하다. 끓여도 전염력을 잃지 않을 뿐더러 모든 생명체가 갖고 있는 유전물질은 핵산을 파괴하는 전리방사선, 가열 소독, 포르말린 등의 처리에도 여전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