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전
어린이과학동아
"
온전
"(으)로 총 4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지식을 쌓아 보자! – ‘무한발상! 무한도전!’ 초등학생 과학발명캠프
기사
l
20171217
않고
온전
한 형태를 유지하며 가장 높은 탑을 쌓는 것입니다. 시험은 구조물 진동판을 작동시켰을 때 1분 이상 쓰러지지 않고
온전
한 상태를 유지하는 조건이었습니다. 구조물의 높이가 같은 경우에는 면진과 제진 원리를 잘 적용하고 더 창의적으로 제작한 구조물이 높은 점수를 받았지요. 안타깝게도 저희 조의 구조물은 132cm의 높이에 10 ...
스파링 데이
포스팅
l
20170401
어제 주짓수 학원에서 관장님이 일본 가셔서 스파링 데이 제대로 했어요 ㅗ치님 끼리 막 스파링 하는것도 구경 하고 관장님 없어서
온전
개판ㅋㅋㅋㅋㅋ 코치님이 막 몇배 시키고 겁나 힘들어요. ...
'오지다'와 병신은 표준어다?!
기사
l
20170223
이라는 단어를 찾아 보면 이와 같이 모자라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신체의 어느 부분이
온전
하지 못한 기형이거나 그 기능을 잃어버린 상태라고 합니다. 하지만 친구들과 대화할 때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은 단어지요. 여러분! 여러분도 '오지다'와 '병신'을 욕으로 생각하고 비속어처럼 사용하고 있지 않으 ...
유명한 여러 음식이 만들어진 사연들
기사
l
20170207
만든 초콜릿은 40~50도 정도의 중탕으로 녹여야 하는데, 오븐처럼 높은 온도에서 녹이려고 하면 녹지 않거나 타기 때문에 초콜릿이
온전
했던 거랍니다. 저도 조사한 내용으로 더 많은 정보를 알게 되었네요. 지금까지는 먹기만 했는데, 이 사실을 기억하면서 앞으로는 관찰력과 호기심을 중요시해야겠어요. 여기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즐거운 하루 ...
낙동강의 흰수염난쟁이~
탐사기록
l
20161110
월동을 합니다.그러나 4대강 사업으로 낙동강 본류는 모래채취와 보 건설, 녹조현상 등등 서식지가 많이 위태로웠고 아무리 지류가
온전
해도 본류의 산란장이 훼손되어 멸종을 걱정했었습니다.그렇기에 채집했던 장소는 이날이 처음 간 곳이라 혹시나 못보면 어쩌나 걱정했습니다. 채집이 시작된 20분 동안 우리는 모래 여울에서 어떠한 고기를 확인하지 ...
제3차 화석 탐사: 태백산 직운산층에서 만난 삼엽충과 완족류 5억년 전 태백의 기억을 더듬다
기사
l
20160421
녀석입니다. 보이시나요? 꽤 큰 편이죠? 조개일까요? 아닙니다. 그것은 바로 바로....^^ 이번 화석 탐사에서 발견한 가장
온전
한 형태의 바실리엘라 티피칼리스(Basiliella typicalis)의 모습이다. 무심코 떨어져 있는 셰일 암석을 워 주변 바위에 대고 툭하고 내리쳤는데 저렇게 정확히 반으로 갈라지면서 멋진 바실리 ...
제2차 화석 발굴 여행: 포항 신생대 마이오세 퇴적층 다양한 화석의 보고
기사
l
20160419
아니지만 나름 120% 활용했다. 찾던 생물 화석은 아니지만 그래도 나뭇잎 화석이라도 만나니 반가웠다. 3시간 만에 처음 본 화석이다.
온전
한 화석은 아니지만 꽤 선명한 편이라 좋았다. 포항의 죽천리 해변도로 곁에 위치한 나대지에서 발견한 참나무(떡갈나무) 잎 화석이다. 신생대 마이오세 중 후반기인 1600만 년에서 1100만 년 전에 쌓인 퇴 ...
말벌집을 채집하다 Vespae Nidus: 자연의 페니실린
기사
l
20160216
봅니다. 그래도 원형이 파손되지 않을만큼 탄력적입니다.이렇게 내부에는 죽은 말벌과 애벌레들이 널부러져 있었어요.이 녀석은 꽤
온전
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었어요. 표본용으로 사용할 생각입니다.얼마나 정밀하게 만들어졌는지 실제로 가까이서 보니 그저 감탄스러웠습니다.여름에 다시 돌아올 생각은 아니었겠지? 어차피 그렇다고 해도 1년 뒤에 내가 다닐 학교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2회 양주 온릉을 다녀오다 비정한 아버지의 선택 그리고 단경왕후 이야기
기사
l
20151210
흔적이겠죠? 전투가 얼마나 격렬했는지 알 수 있는데요 그나마 '조선국단경왕후온릉' 가운데 '후'자만 손상되었을 뿐 나머지 글씨는
온전
하니 얼마나 다행입니까. 불행중 다행한 일이에요. 왜 하필이면 왕릉에서 총을 쏘았을까? 임진왜란이나 병자호란이라면 몰라도 같은 민족끼리 싸우면서 어찌 이토록 외면했을까요? 그래도 교묘하게 글씨만은 피했으니 다행입니 ...
백제역사지구,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1/2) 백제역사유적지구에 대해 알아보자!
기사
l
20150719
형태를 보여줍니다.네 번째 유적은 공주 송산리 고분군입니다. 백제 웅진 시기(475~538)의 왕릉 군입니다. 무령왕릉은 도굴되지 않은
온전
한 상태로 발굴되었고, 주인공과 축조 시기(525)가 확인된 매우 드문 사례입니다.저는 이 기사에 쓴 4개의 유적을 모두 가보고 싶습니다.이상 홍지우 기자였습니다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