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지난"(으)로 총 2,148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냥 갑자기 여러분의 눈을 썩게 만들고 싶어진포스팅 l20250407
- 또 두가닥밖에 없어요(?) 대가리가 뒤틀리고, 아니 또 할말이 없어요.. 마음껏 디스해주세요.. 근데 저게 초3때 그림이거든요?3년이 지난 지금은, 흐음.. 어릴때 그림 보다 지금 제그림 보니까 괜찮네요.. 죄송합니다.. 안구공격 받아서 많이 힘드셨죠? 잠시 정화하세요~ (병주고 약주고(?) 사진 출처는 모두 나무위키 입니다! 호시노 아이 ...
- 제가 만든 유행 다 지난 코하쿠토..포스팅 l20250407
- 네! 처참하게 망했습니다! ...
- 은지님 팝플러 100문단 해보깅!포스팅 l20250406
- 48.몇시에 자?1시인가 2시쯤에 잠들걸요? 50.너의 이름 뜻이 뭐야?몰라여. 51.축하해! 이제 반 지났어흐에에에에엥 겨우 반 지난거라니유ㅠㅠㅠㅠ.. 52.무슨 포즈가 가장 귀엽다고 생각해?몸 움츠리고 있는거.. 53.너의 자캐는 강하니, 약하니?스포일러 약간포함인데 로크버스에는 크리처와 악신들이 좀 많답니당~?평범하게 약한 인간과 인외들 ...
- 지사탐 양서류 현장교육에 가다기사 l20250330
- 안녕하세요. 지난 3월 29일 토요일 소래산에서 있었던 지사탐 양서류 현장 교육을 다녀온 김민솔 기자 입니다. 쌀쌀한 날씨임에도 불구하고 500대1의 경쟁률을 뚫고 참여한 탐사대원들과 이원재 연구원님의 열의가 뜨거웠던 현장이였습니다. 이원재 연구원님은 중학생시절부터 지사탐에서 활동을 시작하고 이화여대 동물소통 연구실에서 연구중이며 IUCN SS ...
- [새로운 주제][나들이] 최근에 갔던 나들이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포스팅 l20250327
- [공부] 말머리를 포함한 제목으로 게시글을 작성하면 참여 완료!! ---------------------------------------------------------------------------------------- 지난 코니와 토크토크 주제인 [꽃]에서는 벚꽃과 무궁화를 좋아하는 친구들이 가장 많았어요! 선정된 답변은 4월 1일 자 ...
- NHV 휴재 공지포스팅 l20250323
- 잡아버려서 지금 마감하느라 죽어가고 있습니다.....게다가 곧 시험이라구요 ㅎㅎ그래서 약 한 달간 휴재기간을 가지기로 했습니다.지난 에피소드 '진상'을 마지막으로 당분간 NHV를 연재하지 않습니다. 다른 작품이나 그림은 종종 올릴 예정입니다!휴재가 끝나면 파블슈뢰 단독 에피소드를 진행합니다. 그때까지 NHV 잊지 말고 기대해주세요ㅎㅎ항상 감사드 ...
- 로스웰 UFO 추락사건, 그 진실은?기사 l20250315
- 위한 고고도 감시 기구를 개발하는 프로젝트였어요. 하지만 UFO 신봉자들은 정부가 진실을 숨기고 있다고 주장해요.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로스웰 사건은 명확히 해결되지 않은 미스터리로 남아 있어요. 미국 정부는 여러 차례 공식 발표를 통해 "외계인은 존재하지 않으며, 로스웰 사건은 단순한 오해"라고 해명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정부가 진 ...
- [새로운 주제][공부] 친구들에게 공유하고 싶은 나만의 공부 비법은 무엇인가요?포스팅 l20250313
- [공부] 말머리를 포함한 제목으로 게시글을 작성하면 참여 완료!! ---------------------------------------------------------------------------------------- 지난 코니와 토크토크 주제인 [새친구]에서는 친구를 사귀는 방법으로친구에게 먼저 다가가기, 친구의 관심사로 이야기 나누기 ...
- (제목 못 정했습니다)포스팅 l20250309
- 지난 48시간 동안 도파민의 노예(?)로서 정신을 차리지 못 하고 놀았던 것을 깊게 반성하며 다시 한 번 잠수를 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아 가기 전에 읽을 책 추천 받습니다. 딱히 취향은 없는데 학교 독서록 내기에 부적절하거나 너무 수위가 쎈 작품은 걸러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너무 추상적이고 은유적이거나 어려운 책도 피해서 추천해주시면 ...
- 별은 어떻게 태어나고, 어떻게 죽을까?기사 l20250308
- 질량으로 일생이 좌우됩니다. 질량이 클수록 소모되는 에너지가 많기 때문이지요. 별 중 가장 큰 종류는 온도가 높은 별들입니다. 지난 번에 별빛을 온도에 따라 나눈 '애니 캐넌의 분류법', O, B, A, F, G, K, M 방법으로 정리하면 O형 항성은 무겁고, M형 항성은 가벼운 것입니다. 사진 - 위키미디어 (가장 무겁고 큰 별 R136a1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