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학계"(으)로 총 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쥬라기 월드-4] 내 이름은 억울해사우루스! 오비랍토르기사 l20211112
- 발견된 프로토케라톱스라고 생각하고 붙여진 이름입니다. 프로토케라톱스 역시나 각룡류이죠. 그렇게 오비랍토르라는 동물이 1924년, 학계에 보고되었습니다. 약 70년 뒤인 1995년, 가까운 지역에서 오비랍토르처럼 생긴 공룡, 키티파티가 발견되었습니다. 그런데, 키티파티는 둥지 위에서 알을 품고 있는 듯한 자세로 있었습니다. 오비랍토르도 사실 같은 ...
- 재미있는 공룡 이름의 유래기사 l20211031
- '공룡' 의 보고였습니다. 또, 다음 해인 1825년, 이구아노돈이라는 학명의 동물이 또다시 학계에 보고되었습니다. 그 뒤, 5마리의 공룡이 학계에 보고되었을 때, 이 동물들을 모두 한 그룹이 아닐까 추측하는 인물이 나타났습니다. 바로 '리처드 오언' 이죠. 이 5마리의 동물(메갈로사우루스, 이구아노돈, 힐라에오사우루스 등)을 먼 ...
- 메갈로돈은 왜 멸종했을까?기사 l20211030
- hubbelli 소형고래류는 카르카르돈 후벨리가 먹어치웠기 때문에 먹이 부족으로 멸종했다는 가설인데요. 이 가설은 현재 고생물학계의 정설로 받아드려지고 있습니다. 메갈로돈에 대한 이야기,어떠셨나요? 다음 기사도 기대해 주세요. 이상,홍준택 기자 입니다 ... ...
- 스테고사우루스의 골판의 용도는?기사 l20211029
- 선명하게 보이는데, 제임스 팔로우 박사는 스테고사우루스가 골판에 피를 보내 체온을 조절했다는 가설인데요. 이 가설은 현재 공룡학계의 정설입니다. 스테고사우루스에 대한 이야기,어떠셨나요? 다음 기사도 기대해 주세요 ... ...
- [다이노 월드-7] 스피노사우루스과 공룡들기사 l20211027
- 있습니다. 1996년 브라질 동부에서 80cm의 두개골이 발견되었는데, 이를 처음 발견한 사람이 가치를 높이기 위해 두개골을 개조해서 학계에 보고를 한 것입니다! 나중에 이가 들통나자 원래 모양의 두개골로 되돌리는데 굉장히 힘들었다고 하니, 이름이 이렇게 되어도 이유는 충분하겠네요. 하지만 발견된 화석이 두개골뿐이라 다른 스피노사우루스과 공룡들 ...
- 트리케라톱스기사 l20211025
- 못하는데요. 학자들은 종 구별용 가설을 냈는데요. 프릴과 프릴 주변에 있는 장식으로 종을 구별했다는 가설인데요. 이 가설은 공룡학계에서 가장 많이 받아드린 가설입니다. 트리케라톱스에 대한이야기,어떠셨나요? 이상 홍준택 기자 입니다 ... ...
- [다이노 월드-6]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공룡들기사 l20211025
- 점에서도 주목받았으며, 케찰코아틀루스와 비교해본 결과 날개 폭이 11m는 거뜬히 되었을 것이라는 점도 주목받았습니다. 학계에서는 케찰코아틀루스와 같은 종류의 익룡 발자국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해남이크누스가 발자국의 학명이 아니라 아예 이 익룡의 학명이 된 것 같습니다. 부경고사우루스와 함께 '한반도의 공룡' 이라는 영화에 유일한 익룡으 ...
- 티라노사우루스기사 l20211024
- 잎으로 쏠리기 때문에 티라노사우루스의 앞발이 짧은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런데,티라노사우루스가 시체청소부이였다는 가설이 학계에 들어섰는데요. 티라노사우루스의 작은 눈과 짧은 앞발,느린 움직임,뼈를 씹어 먹는 습성,뛰어난 후각 때문에 이 가설이 등장했는데요. 하지만 티라노사우루스는 작은 눈을 지니고 있지 않았고,오히려 사람보다 13배나 뛰어 ...
- [다이노 월드-2]가장 큰 공룡기사 l20211018
- 높은 나무 위에 있는 나뭇잎과 열매를 즐겨 먹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인도에도 이런 거대 공룡이 살았음이 밝혀지자 이는 고생물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제 인도도 공룡 연구가 한창 진행되고 있는 중이랍니다. [ 가장 큰 육식공룡 ] 1. 스피노사우루스 출처: https://www.wallpapertip.com/ko/TRowJJ/ ...
- 비가 올때 나는 냄새는 무엇일까??기사 l20210704
- 그럼 한 번 알아볼까요? 출처:네이버 이미지 우선,우리가 비 냄새라고 느끼는 이 냄새는 '페트리코'라고 해요.페트리코는 학계에서 불리는 이름인데요.어원을 살펴보면 바위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Petra'+ 신의 피를 뜻하는 'ichor'의 합성어라고 해요.그래서 그 두 글자가 합쳐져서 '페트리코'가 되는 것이지요. 우리가 비 냄새라고 느끼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