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리
뉴스
"
고치기
"(으)로 총 53건 검색되었습니다.
파격 생물학회 ‘매드사이언스 페스티벌’에는 3가지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1.22
회 매드사이언스 페스티벌’에서 자신의 연구주제를 요즘 시국에 빗대 표현했다. 질병을
고치기
위해 세포에 ‘몰래 줄을 대고 있는’ 핵심부위를 찾아내 리스트를 만든다는 뜻이었다. 일반적인 학회라면 상상하기 힘든 자기소개였다. 21일 오후 서울 강남구 형지비전센터에서는 독특한 형태의 ... ...
새해결심 벌써 실패한 당신을 위한 3가지 과학적 변명
2017.01.06
북적하던 인파는 늘 그렇듯 사라질 것이다. - 동아일보DB 제공 한 번 몸에 밴 습관은
고치기
힘들다. 뇌가 과거 경험에 의존해 행동하기 때문이다. 기름진 음식, 흡연, 음주의 즐거움을 뇌는 잊지 못한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진은 지난해 2월 뇌는 스스로 과거의 보상을 떠올리며 나쁜 습관을 ... ...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
수학동아
l
2016.10.01
누군가 잘못된 정보를 올려도 곧바로 이 분야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보고 내용을 옳게
고치기
때문이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지식을 나눠 만든 결과를 ‘집단지성’이라고 부른다. 경영학과 사회학은 물론, 생물학과 물리학 등 다방면에서 집단지성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막상 주변을 보면 ‘정제된 당류, 정제된 지방과 기름, 육류’의 과잉에 절어있는 습관을
고치기
가 쉽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 ...
두번째 ‘지카’에도 스마트 검역 시스템 작동 안해
동아일보
l
2016.04.29
않아 스마트 검역망이 작동하지 않았던 점에 비춰 보면 보건당국의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식 대처가 나아지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A 씨가 지카 바이러스 감염 의심 증세로 병원을 찾은 지 나흘 만에 검사 결과가 나온 경위도 논란이 되고 있다. 상계백병원은 A 씨가 발진 증세로 내원한 23일 ... ...
우리 집 애완견, 왜 이러는 걸까요?
2016.04.12
이곳 저곳 돌아다닌 것일지도 모릅니다. 개의 이런 (사람 관점에서의) 문제 행동을
고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요? 요즘은 개를 단순히 애완동물이 아닌 인생을 함께 하는 반려동물로서 대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런 문제 행동들에 대해서 이전과는 달리 ... ...
소금처럼 설탕도 이젠 NO! 식탁위 또 다른 ‘백색 전쟁’
동아일보
l
2016.03.28
매우 어렵다”며 “어렸을 때 중독성이 강한 단맛에 길들여지면 나중에 식습관을
고치기
힘든 것도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문 교수는 “가공식품에 들어가는 당은 몸에 흡수돼 행복감을 느끼게 해주는 속도가 매우 빠른데 이 속도가 중독성을 키운다”고 지적했다. 이정은 기자 lightee@donga.com ... ...
[꿀잠 잡시다!]햇빛 많이 쬘수록 숙면에 도움된다
동아일보
l
2016.03.07
기자(30)의 평소 잘못된 수면습관이다. 최근 전신피로감을 느낀 기자는 수면습관을
고치기
위해 4일 오후 9시 서울 강남구 ‘코슬립수면의원’을 찾았다. 기자를 진찰한 이 병원 수면전문의 신홍범 원장은 무엇보다 평일 6시간보다 적은 수면시간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신 원장은 “적절한 ... ...
세 살 버릇 여든 가는 이유는? ‘뇌 신경’ 때문
2016.01.27
달이 채 되기도 전에 다시 예전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다. 몸에 밴 습관을 쉽게
고치기
어려운 이유를 규명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니콜 카라코스 미국 듀크대 신경생물학부 교수팀은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진행한 결과 습관이 뇌의 기저핵에 변화를 가져온다는 사실 밝혀내고 신경학 ... ...
이광수가 연기한 ‘(음성) 틱 장애’ 원인 찾았다
2016.01.21
해석했다. 틱 반응을 할 때 뇌에서 이를 보상해주는 반응이 생겼기 때문에 지속적이고
고치기
어려운 틱 장애가 발생한다는 뜻이다. 맥케이언 연구원은 “뇌 속 세 부위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을 약화시키면 틱 장애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며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약물과 뇌 심부 자극술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