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만곡부
굽이
만곡
뉴스
"
굴곡
"(으)로 총 103건 검색되었습니다.
뛰는 것 빼곤 다 된다…국내 첫 무릎형 로봇 의족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15
많이 달리고 무거워진다”며 “모터를 하나만 쓰는 대신 와이어를 이용해 손가락 마디의
굴곡
을 자유롭게 움직이는 구조로 설계했다”고 설명했다. 로봇 의수를 차고 팔뚝에 근전도 센서를 붙이면 근전도 센서가 근육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읽어 로봇 의수에 전달한다. 김 선임연구원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일반상대성이론의 성립
2021.05.13
시간과 공간이 더욱 복잡하게 변할 것이다. 아주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4차원 시공간에
굴곡
이 생겨 휘어질 것이다. 이 결론을 추론의 출발점과 연결하면, 중력이란 결국 시공간의 휘어짐이라는 놀라운 결과에 이른다. 중력장 방정식은 이 결론을 수학적으로 정리한 것에 불과하다. 아인슈타인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 에렉투스, 사건의 재구성
2021.04.27
호두과자가 나오는 것과 같은 이치다. 실제 두개골 보존상태가 좋으면 안쪽 면의
굴곡
에서 뇌의 표면 형태는 물론 혈관까지 볼 수 있다. 다만 두개골 화석 대다수는 조각나 있거나 화석화하는 과정에서 변형되거나 손상됐기 때문에 디지털 복원기법을 동원해 원형을 재구성한 뒤 안에 담겨있었을 ... ...
도로 상태에 따라 모양 바꾸고 1t 무게도 견디는 '변신 바퀴'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8
고 말했다. 조규진 교수는 "배달용 로봇은 계단을 올라가야 하는 상황이나 길에
굴곡
이 심할 때 바퀴의 형태를 변화시켜 이를 극복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며 "이 연구는 가변형 바퀴 기술에 대한 가능성을 증명한 것으로 향후 일반 모빌리티에 적용하기에는 추가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고 ... ...
우주 보는 가장 큰 눈 ‘거대마젤란망원경’ 6번째 반사경 제작 착수…2029년 관측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되도록 한다. 서서히 냉각시킨 유리는 연마 과정을 거치는데 완성된 반사경 표면의
굴곡
오차는 사람 머리카락 두께의 1000분의 1보다 작다. 완성된 반사경들은 칠레 아타카마 사막의 라스 캄프나스 천문대에 있는 GMT 부지로 옮겨 설치된다. 라스 캄파나스 천문대는 선명하고 어두운 하늘과 ... ...
유전자가위로 만든 네안데르탈인 뇌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21.03.08
뇌 오가노이드와 차이를 보였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았고 세포 표면의 주름이
굴곡
졌으며 자라는 속도가 더뎠다. 유전적으로도 달랐다. 현생인류 뇌 오가노이드와 다른 113개의 ‘선택적 스플라이싱’이 일어났고, 277개 유전자의 발현이 달라졌다. 선택적 스플라이싱은 하나의 유전자가 여러 ... ...
무거운 짐 장시간 단단히 쥐는 로봇 장갑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7
개발했다. 그간 근육 중심부의 근전도 신호가 주로 사용된 것과 달리 연구진은 천지
굴곡
근의 힘줄과 근육의 접합부에서 나오는 근전도 신호를 포착했다. 그 결과 여러 개의 센서 대신 손목 부위에 센서 하나만 달아도 악력을 낼 수 있는 로봇 장갑을 개발했다. 시험 결과 센서 5개가 달린 기존의 로봇 ... ...
[인간 행동의 진화]왕이 될 상은 따로 있을까
2020.11.08
물려받는다. 하지만 성장과 발달의 단계를 거치면서 얼굴은 조금씩 변한다. 삶의
굴곡
이다. 각각 다른 집으로 입양된 일란성 쌍둥이. 제법 생김새가 다르다. 유전자는 똑같다. 그러나 개인의 삶이 얼굴에 새겨지면서 서로 다른 얼굴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맨날 인상을 북북 쓰고 다니면 양미간에 ... ...
[프리미엄 리포트] 슬기롭고 과학적인 전통킥보드 생활
과학동아
l
2020.10.24
특히 전동 킥보드는 주행 중 무게중심이 많이 흔들렸다. 하 사무국장은 “작은 돌출이나
굴곡
에도 시속 5~8km 이하로 감속하고 횡단보도는 반드시 내려서 끌고 건너야 한다”며 “안전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하고, 브레이크와 등화장치(전조등, 방향지시등 등)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도 ... ...
UST 박사과정생이 만든 지반지지 공법 韓美日서 특허 받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9
수행하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장 선임연구원은 지반을 뚫은 후 기둥면에 압력을 가해
굴곡
을 주는 공법을 개발했다. 이후 시멘트를 부으면 마이크로파일 중간중간이 볼록 튀어나오는 ‘전단키’가 만들어진다. 전단키가 지반에 걸려 위아래로 움직이기 어려워져 지반에 하중을 더 많이 전달할 수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