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양
생김새
건초
마른 풀
마초
사료
형식
뉴스
"
꼴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밤눈 어두워졌다면 서서히 시력 잃는 ‘망막색소변성증’ 의심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망막의 기능이 소실되는 유전성 희귀난치성질환이다. 전세계적으로 5000명 당 1명
꼴
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윤준명 인천성모병원 안과 교수에게 망막색소변성증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초기 증상은 야맹증…가족력 없지만 발병하기도 망막색소변성증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 ...
유전자가위로 선천성 망막질환 치료 가능성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3.03.17
이르는 난치성 질환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약 4000~5000명 중 한 명
꼴
로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유전자 돌연변이만 100가지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각세포 내 빛을 전기신호로 전환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 결함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연구팀은 크리스퍼(CRISPR) ... ...
[주말N수학] 허수 i는 필요한 이유
수학동아
l
2023.03.04
수식 중 하나 예요. 이 식에는 e와 π에 허수 i까지 3개의 주요 수가 나와요. 세 수를 eiπ
꼴
로 나타냈더니 -1이라는 굉장히 단순한 수가 나오는 경이로운 식이지요." Q(인문학자). 오일러 항등식은 물론이고, 오늘날 현대 과학을 보면 허수가 하는 역할이 상당하잖아요. 연구원님의 생각은 어떤가요? ... ...
척수 전기 자극으로 뇌졸중 환자 팔과 손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1
'네이처 메디신'에 게재했다. 뇌졸중은 전세계적으로 25세 이상 성인 4명 중 1명
꼴
로 발생하며 이 중 75%는 팔과 손의 운동 능력을 잃어 일상 생활을 하기 힘들어진다. 현재까지 뇌졸중 발생 약 6개월 후 시작되는 이른바 만성 뇌졸중 단계의 마비를 치료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딱히 없는 ... ...
"개량백신 맞으면 치명률·중증화율 6분의 1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3.02.06
분석한 결과다. 코로나19 유행 이후 전체 감염자 중 중증화율은 0.16%다. 1만명당 16명
꼴
이다. 80세 이상은 기본 접종을 완료한 경우 중증화율은 4%로 급증, 100명당 4명이 중환자실에 입원했다. 개량 백신을 맞은 80세 이상의 경우 중증화율이 0.72%로 감소했다. 80세 이상이 개량 백신을 접종하면 100명 ... ...
제임스웹보다 강력한 차세대 우주망원경...지구 닮은
꼴
행성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인류 역사상 가장 크고 강력한 성능의 우주망원경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의 뒤을 잇는 차세대 우주망원경 ‘거주가능한 세상 천문대(HWO)’의 청사진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2040년 지구에서 약 150만km 떨어진 우주 공간을 향해 떠나 지구를 닮은 외계행성에서 생명 ... ...
음성확인서 제출한 중국발 입국자 8명 중 1명 코로나 확진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277명으로, 이중 35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양성률은 12.6%로 8명 중 1명
꼴
이다. 홍정익 방대본 방역지원단장은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잠복기 상태에서 검사를 받으면 결과가 음성으로 나오더라도 잠복기 이후 양성으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며 "검사에 과학적 한계가 있다"고 ... ...
2022년 6일마다 1회 로켓 발사 스페이스X...올해 100번 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3
싣고 우주로 올라간 이 발사체는 지난해만 총 61회 발사됐다. 엿새에 한대
꼴
로 발사한 것으로 옛소련의 R-7 로켓이 1980년대 세운 한해 최다 발사 기록과 42년 만에 같은 기록을 낸 것이다. 12월 한달로 보면 총 7번 발사했는데 이 역시 신기록이다. 스페이스X가 우주 발사체 발사의 신기원을 열고 있다. ... ...
"지구에 개미 2경 마리 서식…1인당 250만 마리
꼴
"
연합뉴스
l
2022.09.20
세계적 학술지 PNAS 게재 논문, 개체수 추정치 제시 지구에 서식하는 개미 수가 2경 마리에 달한다는 추정치가 과학자들에 의해 제시됐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세계적인 학술지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를 통해 이날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지구상의 개미는 총 2경 마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국내선 변질된 유엔 ‘세계 기초과학의 해’ 지정 의미
2022.08.31
공학·의학을 포함한 모든 응용학문의 ‘기초연구’라고 우기는 것과 판박이로 닮은
꼴
이다. 떡은 나눌수록 커진다는 것이 교육부와 과기부 관료들의 확고부동한 신념인 모양이다. 기초과학을 ‘대학’에서의 학술활동으로 한정시켜버린 것도 아쉽다. 실제로 교육부의 관심은 대학의 연구기반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