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실
띠
끄나풀
리본
밧줄
라인
뉴스
"
끈
"(으)로 총 1,2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
2023.10.18
유전자에 변이가 생겨 꽃이 늦게 피자 뿌리가 계속 자라 굵어지면서 사람들의 주의를
끈
것으로 보인다. 그 뒤 재배 과정에서 뿌리가 더 굵은 쪽으로 선별했을 것이다. 여기에 결정적인 기여한 유전자는 CHE, TCP23, TCP7으로 작물 게놈 대다수가 변이형이다. 대략 6~10세기에 이런 변이를 지닌 개체가 ... ...
팬데믹에 급증한 일회용마스크, 이차전지 소재로 '새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3.10.18
성능을 연구한 것은 플라스틱 업사이클링의 좋은 개발 사례"라고 말했다. 연구를 이
끈
안 교수는 "해당 공정에 대한 스케일 확장 및 산업적 구현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경제성 및 환경성 평가를 수행할 계획이다"라고 후속 연구 계획을 밝혔다. 안광진 교수, 남언우 연구원(왼쪽부터). UNIST 제공 ... ...
[주말N수학] 두달간 휴가가도 문제되지 않는 '이곳'...수학의 도시 '프린스턴'
수학동아
l
2023.10.07
제공 ○ DAY1.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프린스턴대 수학과 수학을 소재로 큰 인기를
끈
영화 ‘뷰티풀 마인드’는 수학자 존 내시의 실화를 바탕으로 합니다. 내시는 다른 사람과의 경쟁에서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방법을 찾는 ‘게임 이론’을 발전시켜 노벨 경제학상과 아벨상을 모두 받은 ... ...
추석 성묘·등산시 뱀에 물린 부위 "너무 꽉 묶지 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3.09.28
묶는 것이다. 양희범 의정부을지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물린 부위 5~10㎝ 윗부위를
끈
이나 수건 등을 이용해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로 여유있게 묶은 후 심장보다 낮게 물린 부위를 유지한 상태로 절대 뛰지 말고 가까운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실제 응급실을 찾는 환자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포자를 대포알처럼 발사하는 공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7.29
나간 소피자는
끈
적하고 긴
끈
과 함께 날아가는데 근처에 있는 식물이나 나뭇가지에
끈
을 휘감으며 안착하지요. 나뭇가지와 같은 먹이에 안착한 소피자는 나무와 공생하며 다음 세대를 이어나갈 준비를 한답니다. 새둥지버섯. 주로 침엽수의 고사목에서 발견 할 수 있는 새둥지버섯. 버섯의 ... ...
뇌-척수 소통 회복시켰더니...사지마비 환자 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26
받아 신경재활치료를 꾸준히 진행한 이 환자는 관찰 기간 후반에는 장치의 전원을
끈
상태에서도 목발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걷게 됐다. 연구팀은 “BCI를 이식한 이 40대 환자는 친구들과 서서 맥주를 즐길 정도로 움직임이 자유롭게 됐다”고 말했다. 후속 연구에서는 여러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 ...
영장류 세계에도 ‘공짜 배움’은 없다
과학동아
l
2023.02.11
생겼는지
끈
등이 빙빙 돌아서 마침내 엄마가 있는 나무에 도착했다. 쿨한 엄마를 둔
끈
등은 먹이 행동을 학습하기 위해 엄마에게만 의존하지는 않았다. 난이도가 높은 먹이를 먹을 때 엄마뿐만 아니라 작은 형 꼬멩과 아빠의 곁에서 행동을 관찰하는 모습을 보였다. S 가족은 관찰한 세 가족 중 ... ...
커지는 우주쓰레기 위협...지구로 떨어지기 전 청소하는 기술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3
금속제
끈
에 전기를 흐르게 한 뒤 우주쓰레기가 달라붙도록 하는 방식이다. 금속제
끈
으로 우주쓰레기의 속도가 느려지면 대기권으로 떨어지며 타 버리게 된다. 미국 퍼듀대 연구팀이 개발한 드래그돛. 우주 공간에서 돛을 펼쳐 우주쓰레기를 포획한다. 퍼듀대 제공 우주 공간에서 돛을 펼쳐 ... ...
[우주탐사 시대 활짝] 다누리, 8월 발사 후 달 궤도 진입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로켓에서 분리됐으며 발사 60분 뒤 첫 교신에 성공했다. 발사에 성공한 뒤에도 긴장의
끈
을 놓을 수 없었다. 태양의 중력을 이용해 달 궤도에 진입시키는 ‘탄도형 달 전이방식(BLT)’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하기 때문이다. 당시 항공우주연구원 연구진은 최대 9번의 궤적 ... ...
[주말N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놀랐다...정수론 난제 해결한 고3
수학동아
l
2022.12.03
생활고에 시달리던 무명의 수학자 장이탕 교수가 어려움 속에서도 수학 연구의
끈
을 놓지 않고 연구해 2013년 4월 ‘쌍둥이 소수 추측’에 관한 성과를 내며 이를 1년 뒤 수학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인 에 발표해 단숨에 정수론 중요 인물로 급부상하게 되는 인생 대역전극을 담고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