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갈라진 틈
뉴스
"
돌파구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대폭 향상…20.4%→24.0%
동아사이언스
l
2024.10.31
가진 기계적-화학적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 광학적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새로운
돌파구
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에 지난달 30일 온라인 게재됐다. - doi.org/10.1002/adma.202411015 페로브스카이트/유기 하이브리드 소자 구조와 ... ...
DNA 종이접기 기술, 과학자들이 열광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10.26
기술로 만들기 어려울 뿐더러 만들더라도 원하는 기능을 부여하기 어렵습니다. 여기서
돌파구
가 될 수 있는 게 DNA입니다. 유전물질인 DNA를 사용하는 것이 이상하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DNA는 여러모로 나노 구조체를 만드는 데 적합한 소재입니다. 먼저 DNA의 반지름은 1nm이기 때문에 나노 크기의 ... ...
메조다공성 활용, 신개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25
성능의 90%를 유지했다. 박 교수는 "기존 전자 수송층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돌파구
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65-024-01799- ... ...
미리 무작위 정보 학습하면, AI 학습 효율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10.23
사전 정보를 인공신경망에 미리 학습시키는 이번 기술은 차세대 AI 개발에 있어 중요한
돌파구
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백세범 뇌인지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AI 학습의 오랜 난제인 가중치 수송 문제를 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가중치 수송 문제는 생물의 뇌와 인공신경망을 구분 짓는 가장 ... ...
[현실이 된 영화 속 과학] ④인간 장기 대체품 만든다…'아일랜드(2005)'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않았다. 연구팀은 서로 다른 종류의 오가노이드를 이어 붙인 어셈블로이드로 연구의
돌파구
를 열었다. 기존 뇌 오가노이드는 생물의 발달 초기 단계에서 배(胚)가 형성될 때 가장 바깥 쪽을 덮는 외배엽으로 분화를 유도하는 인자를 줄기세포에 투여해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중배엽에서 ... ...
"고지혈증 치료제, 심부전 치료 효과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사실을 입증했다. 기존 약물과 다른 작용 기전을 통해 향후 심부전 치료에 중요한
돌파구
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16일 오창명 의생명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페노피브레이트의 비만·당뇨로 인한 심부전에 대한 예방 효과와 심장 보호 가능성을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심장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단백질 구조 예측 넘어 '새 단백질' 설계까지
2024.10.13
전환점이 됐다. ● 단백질 디자인의 무궁무진한 응용 가능성 인공지능이 마련해준
돌파구
덕분에 대부분의 단백질 구조를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게 됐고,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노벨위원회는 이러한 성과를 인류의 이익을 위한 ... ...
중국 '재사용 가능 테스트 위성' 첫 회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스젠-19호를 성공적으로 회수하면서 전문가들은 중국이 재사용 위성 분야에 기술적
돌파구
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단 스젠-19호는 재사용 위성의 테스트용으로 정식 발사는 아직 하지 않았다. 스젠-19호는 중국 당국이 선별한 식물 종자가 탑재돼 우주공간에서 식물 육종 실험에 ... ...
[노벨상 2024] 생명현상의 기본 '단백질' 설계·구조 예측 AI 개발 과학자들 화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모양이 달라진다. 수많은 변수가 관여하는 셈이다. 50년 된 난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돌파구
를 제시한 인물이 허사비스와 점퍼 연구원이다. 이들이 이끄는 연구팀은 2018년 AI를 이용해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알파폴드, 2020년 알파폴드2를 발표했다. 아미노산 서열로부터 단백질의 3차원(3D) ... ...
[기고] 달에 가려면 로켓맨의 맥(脈)을 살려야
2024.10.04
기술력이 부족한 우리 입장에서는 상투적 기교로 ‘공동개발’이라는 우산을 쓰고
돌파구
를 찾을 수밖에 없었다. 2004년 러시아와 나로호 공동개발 계약이 체결되고 양국 국회의 비준 동의를 받고서야 본격적인 연구개발을 진행하였다. 일각에서는 러시아와의 협력에 대해 미국 같은 우방이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