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외
우연
예상밖
생각밖
예상외
뉴스
"
뜻밖
"(으)로 총 23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소식이 면역계에 미치는 영향
2022.02.22
수 있기 때문이다. 지속적으로 과식을 해도 이에 비례해 살이 찌지는 않는 현상은
뜻밖
에도 면역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즉 지방조직이 늘어나면서 각종 염증 유발 물질이 점점 많이 분비되고 그 결과 우리 몸은 만성 염증 상태가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칼로리가 꽤 소모된다고 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생활 제로 시대의 진화심리학
2022.01.25
통화의 생생함이 드라마를 볼 때처럼 시청자들의 이성 아니라 감정을 더 강하게 자극해
뜻밖
의 반응이 나온 게 아닐까. ○ 배우자를 훔친 여성에서 녹취를 들으며 시청자들은 '쥴리설'과 '동거설'에 대한 발언에서 가장 깊은 인상을 받았을 것이다. 김씨가 과거 유흥업소에서 쥴리라는 예명으로 ... ...
[기고] 글래스고 기후변화 총회가 남긴 숙제
2021.12.13
목표와 현실을 지혜롭게 고려한 균형 잡힌 문서라는데 동의하고 있다. 합의 채택 직전
뜻밖
의 위기에 몰리자 단상에서 순간적으로 울컥하며 눈물을 보인 알록 샤마 COP26 의장에게 각국 대표들이 우렁찬 박수를 보내며 지지를 보낸 것도 글래스고 합의가 금세기 말까지 지구평균온도 상승폭을 1.5도 ... ...
[이덕환의 과학세상]노벨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
2021.10.13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본 모양이다. 올해 노벨 과학상의 수상 업적은 여러 면에서
뜻밖
이다. 생리의학상은 촉각‧통증 수용체를 발견한 데이비드 줄리어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교수와 아뎀 파타푸티언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교수에게 돌아갔다. 줄리어스 교수는 고추의 매운맛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 감염이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킬까
2021.09.07
수도 있다. 낮에 갑자기 졸음에 빠져드는 질환인 기면증이 자가면역질환이라는 게
뜻밖
이겠지만, 면역계가 뇌 시상하부의 히포크레틴(분비)뉴런을 파괴한 결과다. 히포크레틴은 각성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다. 아직 자가항원을 밝히지는 못했지만,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 조각으로 만든) 백신에 ... ...
[사이언스N사피엔스] X선의 발견, 20세기 물리학의 시작
2021.08.05
주제로 다룰 것이다. 재미있게도 음극선의 정체가 밝혀지기 전 음극선을 이용한 연구는
뜻밖
의 놀라운 발견들로 이어져 20세기의 문을 활짝 열어젖혔다. 그 첫 번째가 바로 X선의 발견이다. 독일의 빌헬름 뢴트겐은 1895년 크룩스관으로 음극선을 연구하던 중 우연하게도 정체불명의 어떤 ‘선(ray)’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작물 게놈 2세대 녹색혁명 이끌까
2021.06.30
그런데 게놈 해독 비용이 떨어지며 여러 개체의 게놈을 상세히 분석할 수 있게 되면서
뜻밖
의 사실이 드러났다. 품종이 다를 경우 게놈도 상당히 달라 SNP 정도가 아니라 특정 유전자가 ‘있거나 없는 변이(presence and absence variation. 줄여서 PAV)’가 만연하고 이게 어떤 품종의 특징을 결정하는 주요 ... ...
[강석기의 과학카페]피부에 흉터 남기지 않고 나을 수 있을까
2021.06.22
기원을 추적했다. 그 결과 평소 진피에 분포하고 있던 ENF가 상처가 생기면 EPF로 바뀐다는
뜻밖
의 사실을 발견했다. 그렇다면 ENF는 상처의 어떤 신호를 감지해 성격이 바뀌는 걸까. 추가 연구 결과 신호의 실체는 물리적인 힘이었다. 상처로 인해 세포들끼리 서로 당기는 힘이 커지면 이를 감지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시와 보랏빛
2021.06.08
받지 못한 것이 주요한 요인으로 밝혀진 바 있다. 픽사베이 제공 최근 책을 읽다가
뜻밖
의 사실을 알았다. 노인들에게 살아오면서 후회하는 일이 무어냐고 물었더니 “젊었을 때 치아 관리를 제대로 한 안 것”이라고 답이 가장 많았다는 것이다. 매일 세 끼를 먹으면서 음식을 씹어야 하니 이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 시대에 꿈자리가 사나워진 이유
2021.06.01
높은 수준의 추상화(일반화) 모델을 구축하는 기법이다. 그런데 DNN을 연구하다보니
뜻밖
의 문제점이 발견됐다. 특정한 유형의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입력할 경우 오히려 일반화 기능이 떨어졌던 것이다. 이를 과적합(overfitting)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알파고가 기존의 기보를 학습할 경우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