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우주
피창조물
생물
천연
산수
산림
뉴스
"
만물
"(으)로 총 57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
2019.07.25
정리하고 있다. 실험실에서 자연에 없는 원소들도 인공적으로 종종 만들어내기도 하니까
만물
의 아르케가 서로 바뀔 수 있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연금술이 전혀 틀린 말이 아니기는 하다. 물론 금이나 백금을 만드는 일은 지금도 쉽지는 않다. 지난 2017년 과학자들은 우주의 중성자별이 합쳐지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철학의 아버지’라는 위대한 호칭
2019.07.12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들로 대단히 많은 자연현상을 설명해 왔다는 점이다.
만물
의 아르케를 추구하는 작업은 21세기에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탈레스는 철학책을 쓴 러셀이 불만스럽게 “철학자보다는 오히려 과학자로서 존경해야 할 것이다.”라고 쓴 것은 ... ...
대안중력이론은 왜 일반상대성이론을 무너뜨리지 못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5.29
이론으로 불리는 끈이론이나 고리양자중력 이론이 대표적이다. 끈이론은 우주의
만물
을 구성하는 입자를 0차원의 점이 아닌 1차원의 진동하는 가느다란 끈으로 본다. 이후 시간 1차원과 공간 10차원의 세계로 가정해 수학적으로 검증했다. 중력을 양자화시킬 수 있어 양자역학과 일반상대성이론을 ... ...
타계 1년 지났지만...‘호킹 영향력’은 계속
동아사이언스
l
2019.03.15
해답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후대 과학자들은 우주
만물
을 설명하는 단 하나의 공식인 ‘
만물
이론’을 찾으려 노력 중이다. 영국왕립조폐국에서 스티븐 호킹 1주기를 기념해 발매한 주화. 그의 대표 업적인 블랙홀을 형상화했다. 사진 제공 영국왕립조폐국 지난해 4월에도 그의 사후 논문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깨달음 세계 만다라 닮은 그래핀 준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18.08.25
密敎)에서 발달한 상징의 형식을 그림으로 나타낸 불화 형식을 뜻한다. 우주의 진리,
만물
이치를 도형화한 것을 일컫는다.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마름모와 사각형, 삼각형 등 3가지 도형으로만 평면을 빈틈없이 메운 모습이 담겼다. 이는 투과전자현미경(TEM)으로 본 ‘그래핀 준결정’의 ... ...
방탄소년단의 세계에는 수학이 꼭 필요해
수학동아
l
2018.07.28
있다”고 전했다. (*수비학: 수와 인간, 문화, 사물 사이의 연관성을 공부하는 학문. 우주
만물
을 수로 표현하려 노력했던 피타고라스를 수비학의 아버지라 부른다.) ●DNA : ‘우리 만남은 수학의 공식’이란 가사가 나온다. 서로 만난 것이 수학의 공식처럼 당연한 운명이란 노래. ●24/7=heaven : 하루 2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게으른 천재라는 착각
2018.05.27
문화가 있습니다. 모든 부정적 결과에 대해 노력 부족을 탓하는 풍토를 비꼬는 말이죠. ‘
만물
노력설’이라고도 합니다. 사회나 제도의 개선보다, 개인의 노력만을 강조하는 세태를 재치있게 반박하는 것이죠. 고속 성장의 시대가 끝나면서 사회적 성공은 점점 얻기 어려운 귀중품이 되어가고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나오지 않은 상태다. 후대 과학자들이 그의 뒤를 이어 현대물리학의 양 축을 결합한 ‘
만물
의 이론(The Theory of Everything)’을 찾아 나가는 중이다. 호킹은 치열한 연구 경쟁 속에서도 특유의 유머를 잃지 않았다. 우주론 가설의 결론을 두고 내기를 하는가 하면 2013년 자서전을 통해서는 이렇게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진화심리학 삼국지
2018.02.11
-사냥을 하는 새(부엉이)-가장 높은 새(독수리)’순서로 달라집니다. 이런 식으로 세상
만물
의 계급을 모두 나누는데, 인간도 예외가 아닙니다. 인간은 동물적 본능과 고귀한 신성의 비율에 따라서 평민-귀족-왕자-왕과 같은 식으로 계급이 올라갑니다. 따라서 ‘더 높은’ 새가 ‘더 낮은’ 지렁이를 ... ...
[그것을 알려줄개 ③] 본능과 이성 사이, 개는 억울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그 전에 해결하는 것이 좋다는 겁니다. 사람 사이에 내려오는 격언이지만 세상 사는 모든
만물
에게 적용되는 말이기도 합니다. 동물 다큐멘터리 보면 흔히 나오지 않습니까? 동물조차 결정적인 순간 – 지켜야하는 새끼가 있거나 생존이 걸린 영역 싸움 – 이 아니면 슬슬 피하기 마련입니다. 개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