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껍질
찌꺼기
공허
사치품
뉴스
"
무용지물
"(으)로 총 11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제 쪼개기,코로나 데이터 관리는 방만, 재난엔 깜깜이 위성…과방위 국감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영상이 오지 않더라고 한다”며 “국민 세금을 쓰고도 재해재난에 전혀 활용되지 않는
무용지물
”이라고 말했다. 조명희 의원은 “과기정통부가 20년째 위성활용 주무부처를 맡고 2014년부터 활용계획을 수립하고 있는데 이를 전혀 시행하고 있지 않다”며 “재해재난이 나도 영상촬영을 못하는데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수두파티, 그리고 코흐
2020.09.17
결국 그 모든 것을 언제 어떻게 움직일 것인지를 결정하는 거버넌스가 무너지면 모두가
무용지물
임을 일본의 사례가 똑똑히 보여주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오는 2024년부터 인물과 도안을 바꾼 새 화폐를 발행할 예정이다. 새 일왕이 들어서고 연호도 ‘레이와(令和)’로 바뀐 때문이라고 한다. ... ...
한숨 돌린 정부, 코로나19 대응 집중…전공의 반발 변수 남아
연합뉴스
l
2020.09.04
정부, 수도권 확산세 통제·추석 연휴 방역대응 준비에 역량 쏟을 듯 전공의들 '정책 철회' 입장 고수…업무복귀 여부 주목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반대 ... 수련병원에서 근무하는 전공의들이 업무에 복귀하지 않으면 이번 의협과 정부의 합의문은
무용지물
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 ...
[인간·공감·AI] ⑤ AI로 코로나19 백신 다양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하지만 문제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변이다. 변이의 정도에 따라 개발 중인 백신이
무용지물
이 되거나 백신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바이러스는 핵산물질로 DNA에 비해 불안정한 RNA이기 때문에 변이가 잦은 편이다. 이달 10일 해외에서 들어온 국내 코로나19 환자에게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마련해 뒀다. 바로 에탄올 발효 경로를 켜는 것이다. 산소가 없어 미토콘드리아가
무용지물
이 돼 피루브산 농도가 올라가면 이를 아세트알데히드로 바꿔주는 효소와 아세트알데히드를 에탄올로 바꿔주는 효소가 늘어난다. 이 과정에는 산소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발효라고 부른다. 식물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소부장2.0 성공을 기원하며
2020.07.15
한다. 어느 것 하나 쉬운 일이 아니다. 충분한 품질과 가격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면
무용지물
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 소부장 산업의 특징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적 협력관계가 중요한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고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육성을 책임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 ...
코로나19 상황은 장기화하는 데 계속해서 바뀌는 ‘거리두기’ 기준 문제 없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하지만 생활 속 거리두기 시행 두 달 반이 지난 시점에서 초기에 언급한 기준은 사실상
무용지물
이 됐다.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기준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발표 당시 상황을 봐가며라는 단서 조항을 제시했지만 극히 예외적인 상황을 감안해도 한 두번도 아니고 목표를 엄격하게 지키지 않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되살아나는 항균‧살균 열기
2020.06.10
있어야만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었다. 비누·샴푸·치약도 살균·항균 기능이 없으면
무용지물
이었다. 심지어 항균 기능을 자랑하는 내의와 양복도 있었다. 그런 사회 환경에서 성장한 세대는 지금도 살균·항균·소독에 대한 지나친 관심을 포기하지 못하고 있다. 과도한 살균·항균 광풍은 대부분 ... ...
"코로나19 풍토병될 가능성 크다" 확산 6개월 동안 우리가 알게 된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6.02
바이러스 변이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심하게 변이될 경우 현재 개발중인 일부 백신이
무용지물
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 2월 전문가들은 대유행하는 시기 동안 변이에 대한 걱정을 할 필요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감염된 세포가 새로운 바이러스를 생산할 때 때때로 바이러스 ... ...
트럼프 탈퇴 엄포 놓은 WHO, 코로나19 대응 지켜본 국내 전문가들 평가는
동아사이언스
l
2020.05.20
발발하면 WHO에 24시간 내 보고해야 한다. 하지만 IHR은 강제성이 없는 국제법이다보니
무용지물
이 되기 십상이다. 이날 포럼에서 발제자를 맡은 이종구 서울대 의대 교수(전 질병관리본부장)은 “IHR에 따르면 국경폐쇄는 국제법 위반이지만 제재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국경폐쇄를 하고 있다”며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