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불
광
빛
라이트
광선
light
불
뉴스
"
불빛
"(으)로 총 164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형 망원경 새 명당자리 '지구의 지붕' 티베트 고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0
선호된다. 해발 고도가 높아 천체에 좀더 가깝고 주변에 우주 관측에 방해가 되는
불빛
이 없어야 하는 것도 중요한 조건이다. 온도와 기압이 높고 바람이 불규칙적으로 불면 공기의 굴절률이 바뀌어 망원경 초점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 최근에는 대형 천문대 시설을 반대하는 주민 시위가 늘면서 ... ...
12일 밤 올 여름 최대 우주쇼 펼쳐진다...페르세우스 유성우 쏟아져
동아사이언스
l
2021.08.09
순간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기 때문에 하늘이 어두울수록 더 쉽게 볼 수 있다. 주변에
불빛
이 없고 시야가 탁 트인 곳이 관측에 유리하다. 또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페르세우스 자리 주변 사방으로 떨어져 맨눈으로 넓은 하늘을 오랫동안 관측하는 게 좋다. 국립과천과학관은 강원도 양구군 ... ...
[카드뉴스] 귀신의 재구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8.03
실험으로 어두운 곳에서 움직이는 도깨비불을 증명해보일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
불빛
이 움직인 것은 아니라 안구의 불규칙한 운동 때문에 생긴 현상이죠. “왼쪽 원만 돌고 오른쪽 원은 멈춘 것 같지 않나요?”라고 물으면 상대방은 처음에는 모든 원이 다른 방향으로 도는 것처럼 보였다고 ... ...
랜턴을 켜고 낮은 포복으로 탐험하는 '백룡동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7.31
모습을 볼 수 없지만 동굴 속 물웅덩이에서 생명의 흔적을 찾을 수 있었다. 물웅덩이에
불빛
을 비추자 희끗희끗 하얗고 작은 생명체가 물속에서 톡톡거린다. 최 박사는 '아시아동굴옆새우'라고 했다. 그렇게 다시 들어온 길을 따라 아름다운 동굴 구조와 생성물을 감상하며 어느덧 동굴 입구에 ... ...
건물
불빛
에 이끌려 부딪히는 철새들...조명 반만 꺼도 충돌 11분의 1로 줄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6.09
미국 시카고 매코믹 플레이스에 부딪혀 죽은 새들이다. 필드박물관 제공 미국은 봄과 가을이 철새가 이동하는 계절이다. 그러나 수천 마리의 새가 매일 밤 건물에 부딪혀 죽는다. 이를 막기 위해 건물의 조명을 반만 줄여도 충돌횟수를 11분의 1로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벤자민 반 도렌 미 ... ...
[강석기의 과학카페]이명과 환청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2021.04.06
들려줬을 때 환청을 들은 경우가 듣지 않은 경우보다 직전 도파민 수치가 더 높았다.
불빛
이 반짝하면 소리를 기다리는 생쥐의 선조체에서 도파민 수치가 올라가는데 이게 어느 선을 넘으면 잡음만 들려줘도 환청이 들리게 되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도파민 수용체에 달라붙어 도파민 신호를 ... ...
[소재의 미래_마지막 이야기]"소재 혁명은 학문의 경계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할 곳에 맺히지 못하고 엉뚱한 곳에 맺히는 '고스트 현상'이 일어난다. 사진을 찍었을 때
불빛
의 잔상이 여기저기 보이는 이유가 바로 고스트 현상 때문이다. 유기물로 만든 필터는 플라스틱과 비슷해 가볍고 휘어지면서도 빛을 반사하지 않아 잔상이 맺히지 않는다. ○ 필터색소 전문 벤처도 ... ...
크리스마스트리를 처음 본 고양이
팝뉴스
l
2020.12.19
바라보고 있는데 크리스마스트는 고양이의 눈 속으로 들어왔다. 반짝 반짝 빛난
불빛
이 아름답고도 신기하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 ...
미, 화이자 백신 실제 접종까지 남은 절차는…정상화는 언제
연합뉴스
l
2020.12.11
시벨리어스 전 보건복지부 장관은 코로나19 백신이 "터널의 끝에 있는 진정으로 중요한
불빛
"이라고 말했다. 화이자-바이오엔테크의 코로나19 백신.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 코로나 확산세·일상생활 변화 없을 듯…파우치 "정상화, 내년 말쯤 돼야" 그러나 백신 ... ...
13~14일 밤하늘 소행성이 남긴 별똥별 쏟아진다
2020.12.11
떨어질지 모르기 때문에 망원경보다는 넓은 시야를 확보하는 게 관건이다. 가급적
불빛
이 없는 교외에서 평상이나 돗자리를 펴놓고 누워 밤하늘 전체를 바라보는 게 좋다. 유성우가 길게 떨어지는 모습을 보려면 별똥별이 쏟아지는 지점 대신 주변 하늘을 보는 것이 좋다. 서서 올려다보는 것보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