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확실
불안
부정
뉴스
"
불확정
"(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는 우리 몸의 주인일까
2015.05.10
중력은 사실 모두를 똑같이 끌어당기고 있음을 강조한다. 그런가 하면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
성 원리를 설명하는 대목에서는 이성(異性)에게 관심을 자극하는 방법에 대해서 언급한다. 즉 관심을 얻고 싶으면 전자(電子)처럼 신비로운 행동을 보여줘 상대방에게 ‘미스터리’를 키우라고 ... ...
“대기 중 오존농도, 지금까지 2% 낮게 측정됐다”
2015.03.30
조사한 뒤 오존량을 측정할 수 있는 물리적 규칙을 새롭게 규정하고 불확도(측정값의
불확정
한 정도) 2.2%를 0.86%까지 크게 줄이는 데 성공했다. 또 이 기준에 따라 다시 대기 중 오존을 측정한 결과 실제 오존 농도 값이 약 2% 더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물리적 기준을 변경하면 정밀한 측정이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이들의 실재성 역시 알파 센타우리에서의 관측결과에 의존한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불확정
성원리에 의하면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알 수 없다. 위치나 운동량을 측정하는 행위가 서로를 교란하기 때문이다. 이 둘은 실재가 아닌 것이다. 하지만 지구에서 위치와 운동량의 실재성 여부는 알파 ... ...
양자를 훔친 악동들
2015.02.15
이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바로 ‘보어의 상보성 원리’와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
성 원리’였다. 슈뢰딩거의 파동방정식은 1925년 발표된 루이 드브로이(1929년 노벨물리학상)의 이론에 기반을 뒀다. 드브로이는 프랑스의 제5대 브로이 공작인 빅토르 드브로이의 둘째 아들이었다. 제1차 ... ...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2015.02.08
운동량을 동시에 아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
성원리 때문이다.
불확정
성원리에 따르면 위치와 운동량의 부정확도의 곱이 플랑크상수(h)보다 커야 한다. 양자역학에서는 플랑크상수의 크기까지만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그런데 프랙탈은 무한히 확대될 수 있다는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2015.01.25
불완전성정리와 함께 과학과 수학의 한계를 보여주는 예로 언급되기도 한다. 하지만
불확정
성원리는 양자역학을 이끌어내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가정이며, 이렇게 얻어진 양자역학은 인간이 만든 그 어떤 이론보다 정밀한 결과를 준다.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부산대 물리교육과 김상욱 교수의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
2015.01.18
公理)가 된다. 지금도 신은 주사위를 던지고 있다는 말이다. 그것도 아주 자주! 하지만
불확정
성 원리에는 하이젠베르크도 생각지 못한 미묘한 부분이 있었으니, 다음 호를 기대하시라.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부산대 물리교육과 김상욱 교수의 ‘양자역학 좀 아는 척’을 매주 월요일 ... ...
우주의 역사, 어디까지 밝혀졌나
과학동아
l
2014.03.21
10-43초가 지난 뒤부터다. 10-43초 이전까지의 시간은 일반인에게도 익숙한 용어인 ‘
불확정
성’의 지배를 받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우주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4가지 힘인 전자기력과 중력, 약한 상호작용과 강한 상호작용이 모두 하나로 통일된 이른바 ‘대통일의 시대’를 겪은 뒤 급팽창하기 ... ...
닐스 보어는 어떻게 양자역학의 전설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입자성이 동시에 존재할 수 없다는 것과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히 알 수 없다는
불확정
성의 원리의 바탕이 되는 철학이라고 볼 수 있다. ‘코펜하겐 해석’이라고 불리는 보어와 하이젠베르크의 양자역학 해석에 대해 양자론의 창시자인 막스 플랑크를 비롯해 광전효과를 발견해 큰 기여를 한 ... ...
지금 당신의 장 속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09
이상인 원자의 구조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1927년 발표된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
성원리에 따르면, 전자가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는 특정한 궤도가 있는 것이 아니라 존재할 확률이 크다고 보는 것이 옳다는게 당시 과학계의 의견이었다. 이에 전자의 위치가 정해진 것이 아니라, ... ...
이전
1
2
3
4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