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확실
불안
부정
뉴스
"
불확정
"(으)로 총 41건 검색되었습니다.
걸그룹 브아걸 입에서 나온 말이 '힉스' '웜홀' '프랙탈'?
2015.11.06
중성자 같은 미세한 입자의 위치와 속도를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
불확정
성의 원리’가 적용된다. 조 프로듀서는 “측정과 실재에 대해 고민하면서 대중과 이런 고민을 공유하고 싶었다”며 “‘주사위놀이’ ‘Light(빛)’ ‘wave(파동)’ 같은 노래가 그 결과물”이라고 말했다. ... ...
뇌는 우리 몸의 주인일까
2015.05.10
중력은 사실 모두를 똑같이 끌어당기고 있음을 강조한다. 그런가 하면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
성 원리를 설명하는 대목에서는 이성(異性)에게 관심을 자극하는 방법에 대해서 언급한다. 즉 관심을 얻고 싶으면 전자(電子)처럼 신비로운 행동을 보여줘 상대방에게 ‘미스터리’를 키우라고 ... ...
“대기 중 오존농도, 지금까지 2% 낮게 측정됐다”
2015.03.30
조사한 뒤 오존량을 측정할 수 있는 물리적 규칙을 새롭게 규정하고 불확도(측정값의
불확정
한 정도) 2.2%를 0.86%까지 크게 줄이는 데 성공했다. 또 이 기준에 따라 다시 대기 중 오존을 측정한 결과 실제 오존 농도 값이 약 2% 더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물리적 기준을 변경하면 정밀한 측정이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이들의 실재성 역시 알파 센타우리에서의 관측결과에 의존한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불확정
성원리에 의하면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알 수 없다. 위치나 운동량을 측정하는 행위가 서로를 교란하기 때문이다. 이 둘은 실재가 아닌 것이다. 하지만 지구에서 위치와 운동량의 실재성 여부는 알파 ... ...
양자를 훔친 악동들
2015.02.15
이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것이 바로 ‘보어의 상보성 원리’와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
성 원리’였다. 슈뢰딩거의 파동방정식은 1925년 발표된 루이 드브로이(1929년 노벨물리학상)의 이론에 기반을 뒀다. 드브로이는 프랑스의 제5대 브로이 공작인 빅토르 드브로이의 둘째 아들이었다. 제1차 ... ...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2015.02.08
운동량을 동시에 아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
성원리 때문이다.
불확정
성원리에 따르면 위치와 운동량의 부정확도의 곱이 플랑크상수(h)보다 커야 한다. 양자역학에서는 플랑크상수의 크기까지만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그런데 프랙탈은 무한히 확대될 수 있다는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2015.01.25
불완전성정리와 함께 과학과 수학의 한계를 보여주는 예로 언급되기도 한다. 하지만
불확정
성원리는 양자역학을 이끌어내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가정이며, 이렇게 얻어진 양자역학은 인간이 만든 그 어떤 이론보다 정밀한 결과를 준다.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부산대 물리교육과 김상욱 교수의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
2015.01.18
公理)가 된다. 지금도 신은 주사위를 던지고 있다는 말이다. 그것도 아주 자주! 하지만
불확정
성 원리에는 하이젠베르크도 생각지 못한 미묘한 부분이 있었으니, 다음 호를 기대하시라.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부산대 물리교육과 김상욱 교수의 ‘양자역학 좀 아는 척’을 매주 월요일 ... ...
우주의 역사, 어디까지 밝혀졌나
과학동아
l
2014.03.21
10-43초가 지난 뒤부터다. 10-43초 이전까지의 시간은 일반인에게도 익숙한 용어인 ‘
불확정
성’의 지배를 받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우주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4가지 힘인 전자기력과 중력, 약한 상호작용과 강한 상호작용이 모두 하나로 통일된 이른바 ‘대통일의 시대’를 겪은 뒤 급팽창하기 ... ...
닐스 보어는 어떻게 양자역학의 전설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입자성이 동시에 존재할 수 없다는 것과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히 알 수 없다는
불확정
성의 원리의 바탕이 되는 철학이라고 볼 수 있다. ‘코펜하겐 해석’이라고 불리는 보어와 하이젠베르크의 양자역학 해석에 대해 양자론의 창시자인 막스 플랑크를 비롯해 광전효과를 발견해 큰 기여를 한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