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사
기울기
사면
경사로
언덕길
비탈길
비탈면
뉴스
"
비탈
"(으)로 총 44건 검색되었습니다.
즐거움을 만드는 과학!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5.13
비탈
길에서 구슬이 굴러 내려갈 때
비탈
길의 경사가 가파를수록 빨리 내려가지요?
비탈
의 기울기가 달라지면 구슬이 아래 방향으로 받는 중력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이에요. 기울기 센서는 이와 마찬가지로 센서가 기울어질 때 센서가 받는 중력의 방향과 크기를 측정해 기울기를 계산해요. 그에 ... ...
[토요판 커버스토리]가상화폐 어떤 게 있나
동아일보
l
2016.04.23
최근 가격 폭등으로 새로 주목을 받고 있는 이더리움은 러시아 이민자 출신의 캐나다인
비탈
리크 부테린(21)이 2014년 개발한 가상화폐다.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블록이 모여 정보의 사슬을 이룬다는 뜻의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비트코인보다 기술적으로 진보한 ... ...
터널 공사 중 붕괴 위험, 실시간으로 확인
2015.12.28
데이터 무선 송수신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터널 공사나
비탈
면 공사에서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흥인이엔씨와 공동으로 공사 중이나 시설물 관리 중에 발생한 이상 ... ...
[CAR] 거침없이 부릉! 오프로드 들어서자 진가 발휘
동아일보
l
2015.10.23
확연히 드러났다. 운전석 옆에 있는 4륜구동 스위치를 켜자 흙먼지가 잔뜩 날리는 산
비탈
길을 오르는 데 거침이 없었다. 돌이 많아 차체의 흔들림이 강했음에도 앞으로 나아가는 힘은 여전했다. 산에서 다시 내려올 때에는 HDC(Hill Descent Control) 기능이 유용했다. 경사로에서 작동하는 자동 ... ...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더 높이 날아가는데, 높이 올라가기 위해 스스로 날갯짓을 하지 않는다. 바다 위나 산
비탈
에 생기는 따뜻한 상승 기류를 타고 적당한 높이에 올라간 뒤 서서히 하강 비행하고, 또 다시 상승 기류를 타고 위로 올라가는 식이다. 이와 달리 몸무게가 100원짜리 동전 1개 무게(6g)인 노랑눈썹솔새는 땅 ... ...
[광화문에서] 아직도 아득한 구제역 방역
2015.03.17
도살 처분된 수천 마리의 돼지가 근처에 묻혀 있었다. 임시 매몰지로 선택된 농가 옆 산
비탈
에서는 비릿하고 눅진한 냄새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을 기세로 떠돌고 있었다. 고개를 돌리고 싶었지만, 돌린들 피할 수는 없을 터였다. 당시 구제역은 다양한 사회 문제를 낳으며 전국을 들쑤셨다. 가장 많은 ... ...
한파에 폭설까지, 빙판길 미끄러지지 않는 방법
2015.02.09
접촉하는 면적이 적어 약간의 수막만 생겨도 쉽게 미끄러진다. 큰 도로로 나가는
비탈
길. 더러워 보이는 것은 사실이지만 기온이 내려가는 밤에는 흰눈보다 검은 눈이 안전하다. 오염물질이 섞인 눈은 깨끗한 눈보다 어는점이 내려가 흰눈보다 낮은 온도에서 얼기 때문이다. 그래서 밤에도 ... ...
보습력 높고 잘 뭉치는 ‘명품’ 흙으로 산사태 복원
2014.08.25
복원하고 안정시키는 ‘생태복원 녹화기술’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흙이 드러난
비탈
면을 안정시키고 빠르게 녹지를 조성해 더 이상의 침식을 막는 기술이다. 기존에도 유사한 복원기술은 있었지만 이 기술은 토양 복원이 빠르고 국내 토종 식물로 복원 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다. 훼손된 ... ...
수성 지름이 7km나 작아졌어요!
과학동아
l
2014.03.28
도는 대기록을 세운다. 연구진은 메신저가 촬영한 수성 표면 사진을 분석해 급격한
비탈
이나 주름진 능선 등 수성 표면이 수축하면서 남긴 흔적을 찾았다. 이들이 이렇게 찾아낸 지형은 모두 5934개. 이 결과는 행성의 열역학 모델에서 후기운석대충돌기인 약 38억 년 전 이후 수성이 5~10km ... ...
화산 폭발시 가장 위험한 것은 용암? 아니 ‘잿빛 폭풍’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큰 위협은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1984년 필리핀 마욘 화산이 폭발하는 장면. 산
비탈
을 타고 흘러내리는 잿빛의 화쇄류는 화산 폭발의 가장 큰 위협이다. ●백두산 분화 예측 시스템 구축하라 화산 재해 소식을 해외 뉴스로만 접하던 국내에서 최근 백두산의 분화에 대비하는 움직임이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