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
호른
촉각
녹용
뉴스
"
뿔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색맹 치료 유전자 요법 개발
연합뉴스
l
2020.05.04
정상 유전자로 대체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CNGA3 유전자는 망막의
뿔
처럼 생긴 원추세포에 있으며 빛을 감지해 색감을 구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유전자 중 하나다. 새로 개발된 유전자 치료법은 온전한 CNGA3 유전자를 무해한 아데노바이러스에 실어 망막에 주입하는 것으로 대체된 ... ...
[과학촌평] 학문 다양성 지탱하는 '두뇌한국'을 기대하며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학과를 다 그러모은 정체불명의 분류인 셈이다. ‘마이너’ 취급에 해당 학과들은 ‘
뿔
이 났다.’ 무시당해서만이 아니다. 12개 기타중점 분야에서 12개 교육연구단이 선정되지만, 신청 학과가 적을 경우에는 다른 분야와 묶어서 경쟁할 가능성 때문에 최악의 경우 전국에서 한 개의 교육연구단도 ... ...
"신종 코로나, 고의적으로 만들었나" 의사SNS 달군 印논문 …전문가들 "가능성 희박"
2020.02.03
코로나바이러스는 왕관(corona)의 모습을 닮아 '코로나'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왕관의
뿔
'에 해당하는 스파이크단백질은 인간 세포 표면에 나 있는 수용체(ACE2)에 결합해, 바이러스가 세포를 침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지금까지 확인된 결과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특히 사스 ... ...
[주말 고고학산책]강인한 전사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버렸나
2020.01.18
박장규 바이킹이라고 하면 보통은
뿔
달린 모자를 쓴 약탈자의 모습을 떠올립니다. 물론 바이킹은 강인한 전사였지만, 동시에 탁월한 항해가이자 모험가, 상인이기도 했습니다. 982년 유럽 사람 중 최초로 그린란드를 발견하고 정착지를 건설한 사람도 바이킹이었습니다. 하지만 15세기 초가 되면 ... ...
가장 우아한 닭
팝뉴스
l
2019.12.24
기아나파울 guineafowl이고 한국명으로는
뿔
닭의 일종이고, 더 정확히는 벼슬이 있으므로 볏
뿔
닭(crested guineafowl)이라 불린다. 전체 길이는 50cm이며 최대 1.5kg까지 자라는 이 닭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에 산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 ...
[주말 고고학산책] 최초로 닭을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
2019.12.21
소 등 겨우 20여 종에 불과합니다. 가축이 된 동물들은 겉모습이 달라집니다. 소의
뿔
이나 돼지의 어금니처럼, 야생에서 살 때 중요하게 쓰이던 기관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고고학자들은 유적 주변에서 발견되는 동물 뼈에서 이런 흔적을 찾아내 가축의 기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인간과 ... ...
하마와 코
뿔
소의 격렬한 대결 ‘화제’
팝뉴스
l
2019.11.28
최근 네티즌들의 주목을 받으며 큰 화제가 되었다. 많은 네티즌들은 코
뿔
소의
뿔
이 잘려 있었기 때문에 아주 불공정한 싸움이었다고 평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우주 성간구름 채운
뿔
달린 축구공 모양 탄소 분자 확인
연합뉴스
l
2019.11.26
가장 복잡한 것 중의 하나로 분류된다. 양성화한 C60은 원래의 축구공 구조에 양성자가
뿔
처럼 더 붙은 것으로 양성화하는 순간 완벽한 대칭성은 무너진다. 연구팀은 C60H+가 정상 C60보다 훨씬 더 많은 색을 흡수해 비록 적외선 스펙트럼 결과이지만 C60H+의 색깔이 C60과 비교해 큰 차이가 있다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쇠똥구리 가슴
뿔
과 날개는 기원이 같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22일 머리와 어깨에 멋들어진 커다란
뿔
을 단 쇠똥구리 한 마리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사이언스는 이번 ... 곤충들이 비슷한 과정을 거쳐
뿔
을 갖게 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진화적인 관점에서 이런
뿔
이 어떠한 이점을 주는지 추가 연구를 할 계획이다 ... ...
"전세계 척추동물 5종 중 1종 상품처럼 거래"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동물들은 대부분 애완용으로 팔려가거나 죽여서 식용 또는 약재로 쓰인다. 상아나
뿔
등이 거래되는 사례도 많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야생동물 거래는 기후변화와 더불어 생태계 종의 다양성에 있어 아주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이런 거래가 생물학적 다양성에 미치는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