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잔존
존속
뉴스
"
살아남기
"(으)로 총 1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지질박물관 2022 과학의 달 온라인 강연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지구 진화의 역사를 설명한다. 윤 에디터는 ‘변덕과 변동의 기후변화, 그 안에서
살아남기
’를 주제의 강연을 통해, 자연의 변덕과 변동 속에서 인류가 유발한 기후변화에 어떻게 대응할지 알려준다.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29일 '바이오산업 국가성장동력? 현실과 미래'를 주제로 '과총 ... ...
'스텔스 오미크론' 감염력 강해도 치명률 높지 않아…WHO "승리 선언은 시기상조"
동아사이언스
l
2022.02.02
○ 점점 약한 변이 나오고 있지만 대유행 종식은 시기상조 바이러스는 흔히 장기적으로
살아남기
위해 오히려 숙주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감염력을 유지하면서 독성이 떨어지는 풍토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오미크론 변이와 스텔스 오미크론 변이 등 최근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생활 제로 시대의 진화심리학
2022.01.25
기고문이 실렸다. 사생활 불일치는 진화적 불일치의 하나다. 진화적 불일치란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 진화시킨 행동이 현대 사회에서는 오히려 생존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현상이다. 대표적인 예가 비만과 당뇨 같은 만성질환의 만연이다. 달고 기름진 음식에 탐닉하는 성향은 먹을거리가 ... ...
"대전환 시대, 과학기술 중심의 국정운영과 미래 선도자로 변모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22.01.11
회장은 개회사에서 “우리 사회와 지구촌의 여러 난제를 해결하고, 기술패권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과학기술 중심의 국정운영과 미래 선도자로서의 탈바꿈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노준형 ICT대연합 회장은 “디지털 뉴딜 3년 차인 만큼 디지털 전환 속도를 높이고 강대국들의 기술패권 경쟁 ... ...
[랩큐멘터리] 쓰다버린 물, 지구 살리는 에너지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0
재이용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영화 '마션'에서는 주인공이 화성에서 고립된 후
살아남기
위해 농사를 짓고 분뇨를 비료로 쓰는 모습이 나온다. 수소를 촉매로 활용해 산소와 반응시켜 물을 만들고 감자를 키운다. 조 교수는 “스케일을 전 지구로 확대해 생각하면 같은 원리”라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늘 할 일의 70%라도 해냈다면 성공했다고 기뻐하자
2021.10.09
처리해도 성공했다"고 생각하고 나면 짓눌리는 느낌이 훨씬 덜한 것이 사실이다. 물론
살아남기
위해 70% 이상을 처리해야만 하는 날들도 있겠지만 분명 그렇지 않은 날들이 더 많을 것임을 상기하자. 일의 가지 수를 줄일 수 없다면 '질'을 조정하는 것은 가능하다. 꼭 필요한 몇 가지를 열심히 하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대학에서 실패한 과학자, 세상을 구하다
2021.09.09
이유가 연구자로서의 카리코의 능력 때문이 아니라, 그가 현재의 왜곡된 과학생태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연구 이외의 기술에 능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즉, 현재의 과학 생태계는 연구자에게 연구 이외의 다양한 능력을 지나치게 많이 요구하고 있다는 뜻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 ...
항암치료 방해하는 암세포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1.09.06
암이 다른 기관에 전이되거나 재발하는 고통을 겪는다. 암 줄기세포가 항암제 공격에도
살아남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환자마다 수술 전에 항암 방사선 치료를 하는 것이 훨씬 유리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바이오마커를 찾아왔다. 남 교수팀이 주목한 CD45는 지금까지 학계에서 면역세포 ... ...
[인터뷰]"시민이 행복하지 않은 도시는 사라진다" 뇌 공학자가 그린 도시의 미래
과학동아
l
2021.08.28
갖춘 도시가 좋은 도시다. 물리학적으로 말하자면 ‘복잡계’로서의 도시다. 생명은
살아남기
위해 자체의 복잡성을 늘리면서 복잡하게 바뀌는 환경을 감당한다. 도시를 설계할 때에도 이런 접근이 필요하다. Q. 다양성과 복잡성을 도시계획에 어떻게 현실화시킬 수 있나. 사람의 이동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mRNA 백신과 진화
2021.08.12
놓은 ‘미친 과학자’의 이미지는 갈수록 어려워지는 논문 무한경쟁의 생태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치는 과학자의 현실과 지나치게 멀다. 아이러니는 영화와 현실의 괴리에서가 아니라, 현실이 영화를 따라가는 우스꽝스러움 속에서 발생한다. 논문 한 편을 출판하기 위해 동료들과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