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석
스펙트럼
뉴스
"
스펙트럼분석
"(으)로 총 219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신성 80개 새롭게 발견…"우주 팽창 연구 큰 자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이 2022년 포착한 초신성 폭발. 미국항공우주국(NASA) 제공 별이 진화의 마지막 단계에서 밝은 빛을 내며 산화하는 초신성 폭발은 우주에서도 가장 강렬한 현상 중 하나다. 평소의 수억 배에 이르는 밝기로 빛나는 별의 모습은 단순히 우주의 경이로움을 보여주는 것에서 나아 ... ...
한국인 '자폐 스펙트럼 장애' 관련 유전자 변이, AI로 밝혀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안준용 고려대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교수(왼쪽)와 유희정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고려대 제공 국내 연구팀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일부 사람들에게서 자주 나타나는 유전자 변이를 밝혀냈다. 자폐 진단·치료법과 자폐의 다양성 규명에 도움이 될 ... ...
中 "창어 6호, 세계 첫 달 뒷면 샘플 채취 성공…지구 귀환 준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4일 베이징 항공우주 관제센터(BACC)에서 달의 뒷면에서 수집한 샘플을 싣고 달 표면에서 이륙하는 중국의 창어 6호를 촬영한 사진이다. 신화통신/연합공 세계 최초로 달 뒷면 샘플 채취를 목적으로 발사된 중국 달 탐사선 '창어 6호'가 채취 임무를 마치고 귀환을 준비 중이다. 중국 관영 중국중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폐, 양극성 장애 비밀 품은 세포·유전자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6
사이언스 제공 자폐 스펙트럼 장애나 양극성 장애 등 정신 질환의 유전적 원인을 해독하는 것은 인간 뇌 구조의 복잡성 때문에 어려운 일이다. 2015년에 설립돼 다수의 연구기관이 참여한 국제 컨소시엄인 '싸이켄코드(PsychENCODE)'는 정신 질환의 세포·유전자 단위 메커니즘을 밝히는 연구성과를 내 ... ...
빛을 들여다 보면 별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5.1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저는 천문 현상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계산하는 이론천문학자입니다. 하늘을 직접 바라보는 일보다 컴퓨터와 칠판으로 작업하는 일이 훨씬 많지만 늘 그런 것은 아닙니다. 요즘 제 연구실에는 여러 대의 카메라가 자리 잡았어요. ● 빛 하나에 무지개 가득 2021년 제가 다 ... ...
자폐아가 일상의 작은 자극에도 괴로운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자폐스펙트럼장애(ASD) 환자가 일상의 작은 자극에도 비정상적으로 과민하게 반응하는 이유가 대뇌피질의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신경전달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Rost-9D/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자폐스펙트럼장애(ASD) 환자가 일상의 작은 자극에도 비정상적으로 과민하게 반응하는 이유가 대뇌피질에 ... ...
장내 미생물 종류, 자폐스펙트럼장애 중증도 가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7
장내 미생물 종류가 사회적 의사소통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ikovit44/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장에 사는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 균종의 차이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중증도 차이로 이어진다는 점이 확인됐다.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의 임상 양상을 예측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 ... ...
암흑에너지 규명 위해 1년간 데이터 모아보니 "기존 우주론 맞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은하보다 밝은 '퀘이사'의 빛을 관측하는 상상도. DESI 제공 국제공동연구팀이 사상 최대 규모의 3차원(3D) 우주 지도를 공개하고 기존 우주론에 의문을 제기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이 암흑에너지분광장비(DESI) 프로젝트 첫 성과로 사상 최대 규모의 3D 우주 지도를 공개했다. ... ...
"아이들 인지 발달, 장내 미생물과 연관 있어"
연합뉴스
l
2024.01.03
연합뉴스 제공 장내 특정 미생물이 아이들의 인지 발달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웰즐리(Wellesley) 대학의 반야 클레팍-세라이 생명과학 교수 연구팀이 '환경이 아동 건강에 미치는 영향'(ECHO)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된 동일집단 연구(RESONANCE) 대상 아동 381명(생후 18개월~10세)의 자 ... ...
얇은 필름 쌓은 '풍선 실험실'로, 우주 감마선 정밀 포착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12.27
얇은 필름을 여러장 쌓아 중성자별이 방출하는 감마선을 정확히 포착했다. 일본고베대 제공 사진 필름을 '팬케이크'처럼 층층이 쌓아 중성자별이 내뿜는 감마선을 1000만 분의 1밀리리터(ml)의 정확도로 잡아냈다. 아오키 시게키 일본 고베대 천체물리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감마선 관측용 '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