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앞면신경
신경
안면
뉴스
"
안면신경
"(으)로 총 73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신 맞고 알레르기 생기고 뼈마디 쑤셔요" 코로나19 백신 잇따른 부작용 보고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대상자에서 배제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임상시험에서
안면신경
마비 등 과민성 부작용을 경험한 사람은 0.63%(137명)로 위약을 투약 받은 사람(0.51%·111명)보다 약간 비율이 높았다. 알레르기 이력을 가진 사람을 제외한 결과라 관련 정보가 부족한 상태다. 알레르기를 가진 ... ...
코로나19 백신 효과 인구 40% 이상 접종시 나타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화이자 연구원이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하고 있다. 화이자 트위터 캡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영국과 캐나다에 이어 미국에서도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집단면역 형성 등 의미있는 변화가 언제 나타날지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14일 ... ...
코로나19 백신 믿고 맞아도 괜찮을까…알레르기 반응은 아직 임상데이터 부족해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대상자에서 배제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임상시험에서
안면신경
마비 등 과민성 부작용을 경험한 사람은 0.63%(137명)로 위약을 투약 받은 사람(0.51%·111명)보다 약간 비율이 높았다. 알레르기 이력을 가진 사람을 제외한 결과라 관련 정보가 부족한 상태다. 스티븐 에반스 ... ...
[인간 행동의 진화]왕이 될 상은 따로 있을까
2020.11.08
영화 '관상'의 주요장면 캡쳐. 주피터필름 "내가 왕이 될 상인가?" 영화 《관상》의 한 대사다. 얼굴을 보기만 해도 그 사람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정확하게 맞춘다는 관상가의 이야기다. 사실 계유정난은 성공하기 어려운 ‘역모’였다. 영화에서 수양대군은 과감하게 단종을 보위하는 김종 ... ...
[인사] 연세대 의대·치대·간호대·보건대학원·간호대학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8.28
◇연세대 의대 △교무부학장 임종백 △교육부학장 김경식 △학생부학장 박인철 △교학부학장 김창오 △연구부학장 김철훈 △강남부학장 석정호 △용인부학장 김은경 △교무부장 김성헌 △학생부장 최용선 △교학부장 심효섭 △의예과부장 최진영 △교육부장 양은배 △용인부장 이상엽 △임상 ... ...
4대 의료정책 뭐기에…국민건강 볼모 욕먹으며 의사들 파업 왜?
연합뉴스
l
2020.08.21
◇ 한방 첩약 급여화…"제대로 검증해야" vs "이미 안전" 정부는 오는 10월부터
안면신경
마비, 월경통 질환, 뇌혈관질환 후유증 등 3개 질환에 대한 한방 첩약에도 건강보험을 적용한다. 첩약은 여러 한약재를 섞어 탕약으로 만든 형태를 뜻하며, 한 번 먹는 양을 보통 1첩(봉지)으로 한다. ... ...
각막신경 손상으로 생긴 안구건조증 레이저로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이번 연구의 전체 모식도. (a)는 유전자변형동물로부터 체외배양한 삼차신경절세포를 보여준다. 그림 (b)는 레이저를 조사한 실험군과 대조군 및 연속파와 펄스파 레이저의 형태. 그림 (c)는 대조군과 실험군의 삼차신경절세포현미경 이미지 및 정량 분석(Sholl analysis)을 적용하여 형태학적 분석 이미 ... ...
미국 첫 얼굴 전체 이식 여성 12년만에 사망
연합뉴스
l
2020.08.03
안면 이식 환자 중 가장 오래 생존 이식과 무관한 감염 합병증이 원인 미국에서 처음으로 안면 대부분을 이식받았던 여성이 12년만에 사망했다. 지난 2008년 미국 클리블랜드 병원에서 안면 이식 수술을 받았던 57세의 코니 컬프가 수술과는 무관한 감염증과 그에 따른 합병증으로 사망했다고 CNN ... ...
[의학게시판] 전북대병원 연구팀, 대한소아청소년정형외과학회 최우수학술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04
‘전공의 우수연제상’을 수상했다고 3일 밝혔다. 민 전공의는 말초신경 중 하나인
안면신경
의 손상과 재생 과정에도 톨-유사수용체의 발현에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한 연구성과를 인정받았다. ■분당서울대병원은 홍성규 비뇨의학과 교수가 3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202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표정을 보면 감정을 읽을 수 있을까
2020.03.18
눈둘레근까지 움직이는 뒤센 미소의 극단적인 예인 눈웃음은 보는 사람도 즐겁게 한다. 웃는 사람의 진심이 ‘확실하게’ 느껴지기 때문 아닐까. 그러나 몇몇 연구결과에 따르면 뒤센 미소가 꼭 진짜 미소인 것은 아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좋아하는 거야?" “우는 거 아니에요 지금?” 얼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