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삽화
여담
뒷얘기
에피소우드
episode
에피쏘드
일러스트레이션
뉴스
"
에피소드
"(으)로 총 158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스페이스&뉴디펜스]미우주군은 왜 스타트업과 손을 잡았나
2020.05.26
신설 우주군을 맡은 4성 장군이 어쩔 수 없이 괴짜 과학자들과 함께 일하며 겪는
에피소드
를 그린다. 이달 27일에는 미국의 민간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역사상 최초의 민간 유인 우주선 발사를 시도한다. 발사에 성공하면 미국항공우주국(NASA)가 지난 2011년 우주왕복선 사업을 중단한 이후 9년만에 ... ...
막힘 없는 변기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9
치운 뒤에야 화장실 밖으로 나올 수 있었다. 그의 저서 ‘사소한 것들의 과학’에 나오는
에피소드
다. 화장실이나 하수처리장 등이 이물질에 막히는 원인은 펌프에 있다. 구조상 물이 통과하는 유로의 폭이 좁아 조금만 큰 이물질이 들어가도 막힌다. 국내 연구기관과 중소기업이 이 문제를 해결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
2020.04.16
신임하는 절대 권력이 커버해주는 스토리가 우리에게 전혀 낯설지 않다. 비슷한
에피소드
를 《허준》 같은 드라마에서 본 것도 같다. 성지순례까지는 무사했던 모양인데 불행히도 돌아오는 길에 배가 난파돼 베살리우스는 실종되고 말았다. ※참고자료 마이클 모건, 《잃어버린 역사 이슬람》 ... ...
정부, 진단키트 정확성 논란에 "오해로 인한 해프닝" 거듭 강조
연합뉴스
l
2020.03.16
국내 진단키트 신뢰성 논란에 대한 질문을 받고 "검사장비 자체에 대한 오해로부터 생긴
에피소드
라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국내 진단키트 신뢰성 논란은 공화당 소속 마크 그린 하원의원(테네시주)이 11일 정부감독개혁위원회 청문회에서 발언한 것이 전날 국내에 알려지면서 불거졌다. 그는 ... ...
"우리와 다를 바 없는 과학자의 삶, 연극에 담았죠"
동아사이언스
l
2020.02.04
실제로 로잘린드 프랭클린을 연구한 이빛나 배우는 과학자들도 잘 모르는 구석진
에피소드
를 발굴해 이날 연습에서 소품과 함께 연기했다. 주인공 중 한 명인 생물학자 바버라 매클린톡을 연기한 김하진 배우는 “과학자들은 맞는지 틀리는지도 모른 상태에서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 존재”라며 ... ...
美 우주군 첫 군복은 '얼룩무늬' 군복
동아사이언스
l
2020.01.22
연기한 스타워즈 속 인물인 한 솔로의 복장이 더 나았다며 1983년 개봉한 ‘스타워즈
에피소드
6’ 속 한 솔로의 사진을 트위터에 올렸다. 우주군 공식 트위터는 위장이 우주에선 필요하지 않다고 인정하면서도 우주군 대다수가 지상에서 일하는 것을 고려했다고 해명했다. 우주군 공식 트위터는 ... ...
'아이언맨' 로다주가 만든 AI 다큐시리즈 유튜브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유튜브 캡처 '아이언맨'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구글과 유튜브의 지원을 받아 제작한 8부작 다큐멘터리 시리즈를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에 공개했 ... ▶유튜브 오리지널스 채널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qVDpXKLmKeBU_yyt_QkItQ ▶첫 번째
에피소드
https://www.youtube.com/watch?v=UwsrzCVZAb8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혁명의 시작
2019.10.03
있는 조그만 광장이다. 동상을 떠받치고 있는 사각기둥의 네 면에는 브루노와 관련된
에피소드
가 부조로 새겨져 있다. 그 한 면에는 화형에 불타는 브루노의 최후의 모습도 있다. 미국의 폭스 TV가 지난 2014년에 리메이크한 유명 과학다큐 '코스모스' 1편에도 브루노가 등장한다. 원작 '코스모스'는 ... ...
[프리미엄리포트]"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맞춤법 틀려도 해석이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9.08.10
단어가 있다고 하자. 이 글자를 봤을 때 우리는 거울의 발음, 의미, 거울에 관한 개인적인
에피소드
, ‘저울’ ‘거물’ 등의 오타 가능성까지 여러 가지를 무의식적으로 떠올린다. 다양한 정보가 심성어휘집에 병렬적으로 저장돼있는 것이다. 오타를 정상적인 단어로 인식할 수 있는 것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2019.08.06
지각에 대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결론부터 말하면 분석화학 교수님이 들려준 짜장면
에피소드
는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 침에는 녹말을 소화하는 효소인 아밀라아제가 들어있는데 사람에 따라 농도 차이가 크다고 한다. 여기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있다. 먼저 아말라아제 유전자(AMY1)의 복제수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