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넘이
석양
낙조
해질때
해질녘
저녁놀
저녁볕
뉴스
"
일몰
"(으)로 총 120건 검색되었습니다.
2021년 첫 해 독도서 7시 26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충남 당진 왜목마을 해돋이. 연합뉴스 제공 2021년 신축년(辛丑年) 첫 해는 오전 7시 26분 독도에서 떠오른다. 한국천문연구원은 17일 신 ... 영상을 실시간 촬영해 유튜브를 통해 중계할 예정이다. *지역별 연말과 연초 일출·
일몰
시각을 볼 수 있는 홈페이지 http://astro.kasi.re.kr/life/pageView/ ... ...
보현산천문대에서 포착된 '니오와이스' 혜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낮아 관측이 어렵다. 천문연은 “
일몰
뒤 고도가 10도 남짓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만큼
일몰
뒤가 육안 관측에 유리하다”고 말했다. 15일 저녁9시 43분 보현산천문대에서 니오와이즈 혜성의 모습을 전경과 함께 담았다. 고도가 10도 남짓으로 매우 낮아 거의 지평선 바로 위에서 보인다. 천문연 ... ...
머스크의 지구인터넷 '스타링크' 위성 천체 관측 방해 국내서도 현실화
동아사이언스
l
2020.06.29
촬영한 이미지 중 최대 50%까지 타격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스타링크는 일출과
일몰
전후 지구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기 전까지 약 2시간 동안 태양 빛을 반사하며 빛을 낸다. 낮이 가장 긴 하지 다음날 진행된 이번 관측에선 저녁 9시를 넘어선 시간임에도 다수의 스타링크 위성이 밝게 관측됐다. ... ...
화성탐사 로버에 희미한 점으로만 포착된 지구
연합뉴스
l
2020.06.17
목적으로 진행됐다. 화성에서는 이때쯤 대기 중 먼지가 많아지면서 태양 빛을 반사해
일몰
뒤에도 어느 정도 밝기가 유지된다. 큐리오시티호에 탑재된 마스트캠(Mastcam)을 담당하고 있는 우주과학연구소의 마크 레먼 연구원은 "지구에서도 대형 화산이 폭발한 뒤에는 황혼 녘이 평소보다 밝다 ... ...
의학바이오·디지털 비대면 산업 R&D 투자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07
만들어 나간다는 방침이다.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 및 고용 안정화에 직접 연계되는
일몰
사업의 경우 투자공백 방지를 위한 투자 유연성 확보도 추진할 계회이다. 이번에 의결된 투자방향 수정안은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보건복지부 등 연구개발 사업 수행 22개 부·처·청에 전달돼 ... ...
“소재·부품·장비, 극일에서 멈추지 않고 제조혁신 기술·정책 중추 역할 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있다. 중소중견기업의 역할이 더욱 커졌다. 반면 지난해 정부 연구개발 과제가 한꺼번에
일몰
되면서 경영이 어려워지고, 연구과제중심제도(PBS) 비중이 타 출연연보다 높아 기관 역할과 책임(R&R)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지는 측면도 있다. PBS 부담을 줄여 중소중견기업의 기술 혁신 지원을 강화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전염병은 왜 계절을 탈까?
2020.03.31
위도가 높아질수록 편차가 심하다. 북위 35° 내외인 우리나라는 하지의 낮(일출
일몰
기준)이 밤보다 5시간 이상 길고 동지에는 5시간 정도 짧다. 안팎으로 10시간 이상 차이가 나는 셈이다. 유럽 인구 대다수가 사는 북위 40° 이상 지역은 차이가 더 심하다. 반면 적도에 가까운 저위도 지역은 동지나 ... ...
[영상+]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를 37년간 매료시킨 천문학 연구 '황도광'
동아사이언스
l
2020.01.18
1mm급의 먼지 입자들이 존재한다. 황도광은 이 먼지 입자들이 반사하는 태양빛을 뜻한다.
일몰
후의 서쪽 하늘이나 일출 천의 동쪽 하늘 지평선에서 원뿔 모양으로 퍼져보이는 황도광을 볼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서쪽 하늘의 황도광은 12월에서 3월 사이, 동쪽 하늘의 황도광은 9월에서 12월 사이 잘 ... ...
노도영 IBS 원장 기자간담회 일문일답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새로운 연구단 계획도 이와 맞물려 세워질 예정이다. 설립 초기에는 연구단 10년
일몰
제 논의도 있었던 것으로 안다. 논의 끝에 5년차에 1차 평가하고 8년차에는 지속 여부를 평가하기로 했다. 다만 연구단의 연구성과가 우수해도 종료될 수 있다. 기초과학보다는 응용으로 넘어가야 하는 분야나 IBS ... ...
기해년 마지막 해 오후 5시40분 지고 경자년 첫 해 7시26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1
분까지 낙조를 볼 수 있다. 육지에서는 전남 진도 세방낙조에서 5시 35분까지 올해 마지막
일몰
이 펼쳐진다. 해넘이 명소인 충남 태안 만리포는 5시 29분, 전남 해남 땅끝마을은 5시 34분에 해가 진다. 서울은 5시 23분, 부산은 5시 21분에 마지막 해를 볼 수 있다. 기상청은 31일 전국이 맑고 대부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