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넘이
석양
낙조
해질때
해질녘
저녁놀
저녁볕
뉴스
"
일몰
"(으)로 총 118건 검색되었습니다.
머스크의 지구인터넷 '스타링크' 위성 천체 관측 방해 국내서도 현실화
동아사이언스
l
2020.06.29
촬영한 이미지 중 최대 50%까지 타격을 받을 것으로 분석됐다. 스타링크는 일출과
일몰
전후 지구 그림자 속으로 들어가기 전까지 약 2시간 동안 태양 빛을 반사하며 빛을 낸다. 낮이 가장 긴 하지 다음날 진행된 이번 관측에선 저녁 9시를 넘어선 시간임에도 다수의 스타링크 위성이 밝게 관측됐다. ... ...
화성탐사 로버에 희미한 점으로만 포착된 지구
연합뉴스
l
2020.06.17
목적으로 진행됐다. 화성에서는 이때쯤 대기 중 먼지가 많아지면서 태양 빛을 반사해
일몰
뒤에도 어느 정도 밝기가 유지된다. 큐리오시티호에 탑재된 마스트캠(Mastcam)을 담당하고 있는 우주과학연구소의 마크 레먼 연구원은 "지구에서도 대형 화산이 폭발한 뒤에는 황혼 녘이 평소보다 밝다 ... ...
의학바이오·디지털 비대면 산업 R&D 투자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07
만들어 나간다는 방침이다.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 및 고용 안정화에 직접 연계되는
일몰
사업의 경우 투자공백 방지를 위한 투자 유연성 확보도 추진할 계회이다. 이번에 의결된 투자방향 수정안은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 보건복지부 등 연구개발 사업 수행 22개 부·처·청에 전달돼 ... ...
“소재·부품·장비, 극일에서 멈추지 않고 제조혁신 기술·정책 중추 역할 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있다. 중소중견기업의 역할이 더욱 커졌다. 반면 지난해 정부 연구개발 과제가 한꺼번에
일몰
되면서 경영이 어려워지고, 연구과제중심제도(PBS) 비중이 타 출연연보다 높아 기관 역할과 책임(R&R)에 대한 집중도가 떨어지는 측면도 있다. PBS 부담을 줄여 중소중견기업의 기술 혁신 지원을 강화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전염병은 왜 계절을 탈까?
2020.03.31
위도가 높아질수록 편차가 심하다. 북위 35° 내외인 우리나라는 하지의 낮(일출
일몰
기준)이 밤보다 5시간 이상 길고 동지에는 5시간 정도 짧다. 안팎으로 10시간 이상 차이가 나는 셈이다. 유럽 인구 대다수가 사는 북위 40° 이상 지역은 차이가 더 심하다. 반면 적도에 가까운 저위도 지역은 동지나 ... ...
[영상+]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를 37년간 매료시킨 천문학 연구 '황도광'
동아사이언스
l
2020.01.18
1mm급의 먼지 입자들이 존재한다. 황도광은 이 먼지 입자들이 반사하는 태양빛을 뜻한다.
일몰
후의 서쪽 하늘이나 일출 천의 동쪽 하늘 지평선에서 원뿔 모양으로 퍼져보이는 황도광을 볼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서쪽 하늘의 황도광은 12월에서 3월 사이, 동쪽 하늘의 황도광은 9월에서 12월 사이 잘 ... ...
노도영 IBS 원장 기자간담회 일문일답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새로운 연구단 계획도 이와 맞물려 세워질 예정이다. 설립 초기에는 연구단 10년
일몰
제 논의도 있었던 것으로 안다. 논의 끝에 5년차에 1차 평가하고 8년차에는 지속 여부를 평가하기로 했다. 다만 연구단의 연구성과가 우수해도 종료될 수 있다. 기초과학보다는 응용으로 넘어가야 하는 분야나 IBS ... ...
기해년 마지막 해 오후 5시40분 지고 경자년 첫 해 7시26분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1
분까지 낙조를 볼 수 있다. 육지에서는 전남 진도 세방낙조에서 5시 35분까지 올해 마지막
일몰
이 펼쳐진다. 해넘이 명소인 충남 태안 만리포는 5시 29분, 전남 해남 땅끝마을은 5시 34분에 해가 진다. 서울은 5시 23분, 부산은 5시 21분에 마지막 해를 볼 수 있다. 기상청은 31일 전국이 맑고 대부분 ... ...
새해 초 밤하늘 수놓는 유성우쇼 펼쳐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12월 21일 목성과 토성의 대결합이 벌어진다.
일몰
시각인 오후 5시 17분 후 서쪽에서 목성과 토성이 0.1도로 근접한다. 이 둘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 마치 붙어있는 것처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정도의 대결합은 근 20년만이다. 내년 가장 큰 보름달은 4월 8일 ... ...
내년 과학난제 해결 도전 융합연구에 321억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시작품 성능 시험 등이 포함된다. 기존 융합연구 사업인 ‘스팀(STEAM)’ 사업은
일몰
된다. 과기정통부는 후속 사업으로 학제간 장벽을 초월한 인문사회와 과학기술 융합연구를 통해 인간 중심 미래사회 변화 선도 융합시스템을 개발하는 ‘융합선도연구개발사업’을 기획, 추진할 계획이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