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지
감각
인식
분별
지반
관찰
주시
뉴스
"
지각
"(으)로 총 580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리튬 광상 첫 종합 조사…"개발은 불확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리튬 광상 분포도. 울진 보암광상과 단양 단양광상에서
지각
평균보다 높은 리튬 함량이 확인됐다. KIGAM 제공 정밀조사 결과 울진 광상의 평균 리튬 품위는 산화리튬(Li2O) 기준 0.3~1.5%로 나타났다. 단양 광상의 평균 품위는 0.01~0.5%였다. 리튬 광산 개발을 위한 최저 ... ...
"석유 나올 것"…'젊은 땅' 포항·영일만에 눈독 들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황 연구원에 따르면 1200만 년 전 포항 전체에 규조가 분포했다. 벤토나이트는
지각
변동으로 2200만 년 전 일본과 한국이 갈라질 때 마그마가 올라오면서 물속에서 터지며 생겨났다. 벤토나이트는 이때 발생한 화산재 퇴적층의 하나로 몬모릴나이트라는 광물로 구성된 점토덩어리다. 포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얻을 수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인공지능(AI) 로봇에 적용하면 사람에 좀 더 가까운 시
지각
을 지닐 수 있을 것이다. 의대 정원이 50%나 늘어나면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의대 진학을 위한 선행 학습 열기가 뜨겁다고 한다. 흥미롭게도 시각뿐 아니라 청각과 촉각 등 다른 감각은 물론 여러 ... ...
단층 미확인 전북 내륙서 최강 지진…"언제·어디든 판 내 지진 가능성"
2024.06.12
인접한 다른 판의 응력을 받게 되면서
지각
판 내에 약한 부분이 부서져 발생하는 것이다.
지각
내부에 사람이 파악하지 못한 단층이 많아 한반도에 어떤 단층이 판 내 지진을 일으킬지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다. 조 연구관은 "'경주 지진', '포항 지진' 사례를 비롯해 한반도에서는 내륙, 해역 ... ...
명왕성에 선명한 하트무늬 생긴 이유 찾았다
과학동아
l
2024.06.01
떨어져나온 얼음들이 크레이터에 쌓인다. 충돌체의 핵은 명왕성의 핵 쪽으로 합쳐지며
지각
아래 밀도가 높은 물질이 집중된 부분인 '마스콘'을 형성한다. 연구팀은 자전하는 명왕성에서 스푸트니크 평원이 적도 부근에 위치할 수 있던 이유가 바로 마스콘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마스콘이 형성되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회공포증'과 '자기중심적 시각'의 악순환
2024.06.01
", "이상한 말을 해서 비웃음을 사면?" 같이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확실성을 더 크게
지각
하는 편이다. 따라서 불확실성을 나름 극복(?)하기 위해 알 수 없는 타인의 경험보다는 자신이 확실히 알고 있는 자신의 경험에 더 큰 가중치를 두고 주변 사람들을 바라보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 ...
자율주행차 돌발사고 줄일까…과학자들 '하이브리드 시각 시스템' 내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모양으로 배치했다. 네이처 제공 다비드 스카라무자 스위스 취리히대 로봇공학 및
지각
그룹 교수팀은 두 종류의 카메라를 인공지능(AI)으로 통합해 차량 주변 장애물을 더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자율주행 등 운전 보조 시스템에 사용되는 카메라는 대부분 색상이 모두 ... ...
경도인지장애 조기 진단 위한 바이오마커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3
검사는 인지장애의 최종결과만을 평가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지만 ERP측정은 ‘감각-
지각
-주의-집중-인지-기억-재인’ 등 뇌인지 전체 과정에 대한 정밀 평가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ERP 측정으로 더 체계적이고 정밀한 치매 조기선별 모델 개발이 목표”라며 “간단한 밴드형 뇌파 장비를 ... ...
동물 행동과 움직임 정확히 분석하는 AI 도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벡터의 모음으로 바꾼 데이터다. 복잡한 데이터를 보다 간결하게 표현하고 인간이
지각
하는 이미지나 자연어를 컴퓨터에 입력해 인식하게 한다. 또 개발 과정에서 행동 데이터를 평가하는 지표인 TPI(Temporal Proximity Index)를 활용했다. 이 지표는 각각의 클러스터가 동일한 행동 상태를 포함하고 ... ...
빛의 파동을 '색채'로 인식하는 뇌 회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6
며 "색 인식의 신경 회로 원리를 밝힌 우리의 새로운 발견이 소리, 맛 등 모든 종류의
지각
을 뇌가 어떻게 만들어내는지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