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trap
구덩이
함정
건널판자
트렙
Trap
뉴스
"
트랩
"(으)로 총 78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쬐어 뇌 기능, 행동과 감정까지 조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2.01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창준 IBS 인지및사회성연구단장은 “옵토-브이
트랩
은 뇌세포뿐 아니라 다양한 세포에 이용할 수 있어서 활용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며 “향후 뇌 기능 회로 지도 완성 및 뇌전증 치료 등 신경과학 분야는 물론, 근육 경련이나 피부 근육 팽창 기술에도 ... ...
[화보+]미생 과학자들의 ‘망한 실험’
과학동아
l
2021.11.27
서울대 생명과학부 대학원 자치회 제공 ●그 많던 소똥풍뎅이는 누가 먹어치웠을까
트랩
을 습격한 포식자가 앞가슴등판만 남겨놓고 소똥풍뎅이를 먹어치웠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대학원 자치회 제공 ●한강 다리 DNA 시퀀싱 결과가 군데군데 비어 화려한 한강 다리를 만들었다. A, T, G, C로 지은 ... ...
실리콘 태양전지에 한층 가까운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1.10.17
표면의 납과 요오드 계열의 결함 등이 광흡수를 통해 만들어낸 광전하들을 가두는
트랩
으로 작용해 광전변환 효율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신 교수 공동연구팀은 광전변환 효율이 다소 떨어지는 2차원 구조의 페로브스카이트와 광흡수층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밴드갭을 갖고 있는 3차원 ... ...
마이크로LED 제작시간·장비투자 10분의 1 줄인 공정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5.25
접합 공정을 하나로 합쳤다. 먼저 세기가 균일한 면 레이저를 마이크로 LED가 접착된 사이
트랩
필름에 수초 동안 쏜 뒤 전사와 접합이 동시에 구현되는 핵심 공정을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된 공정의 핵심은 균일하게 레이저를 넓은 면적에 쏴도 붙이고자 하는 곳만 선택적으로 가열해 마이크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페닝
트랩
·레이저 냉각기술로 반물질 비밀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3
있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을 포함해 전 세계 연구실에서 사용되고 있다. 페닝
트랩
은 1960년대 독일 물리학자인 한스 데멜트가 개발했다. 그는 이 포획기술로 1989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이 기술과 함께 1980년대 개발된 ‘레이저 냉각’ 기술은 원자 물리학에 큰 발전을 가져왔다. 레이저 냉각 ... ...
중증 코로나19의 혈전 증가, 자기항체가 깊숙이 관여한다
연합뉴스
l
2020.11.03
걸 알게 됐다. 이 연구팀은 지난 4월 코로나19 입원 환자의 혈중 NETs(세포 외 호중구
트랩
) 수치가 정상인보다 훨씬 높다는 걸 학계에 처음 보고했다. NETs는 활성 호중구가 압출 방식으로 생성하는 독성 DNA의 그물망 구조로, 혈소판을 자극해 폐의 혈전 생성을 자극하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했다. ... ...
'표준모형' 확장할 새 힘 발견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0.10.12
전기적 성질을 지닌 입자(이온)로 만들어 전기장에 하나씩 가두는 기술인 ‘이온덫(이온
트랩
)’ 기술을 연구하던 물리학자로, 2017년 MIT의 또다른 연구팀이 제안한 연구에 자신들의 실험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발견에 성공했다. 당시 이웃 MIT 연구팀은 입자의 빛 특성(스펙트럼)을 측정해 원자핵 ... ...
아이온큐 창업자 김정상 교수 "초능력 가까운 양자컴퓨터가 진화한 AI 만들 것 "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시일 내에 현재 컴퓨터를 넘어서리라고 예측했다. 아이온큐는 원자를 포획하는 이온
트랩
방식을 활용해 2cm 길이 칩에 80개 큐비트를 넣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김 교수는 “아직은 전통 컴퓨터 성능에 도전장을 낼 만큼은 아니다”면서도 “앞으로 2년에서 5년 사이 기존 컴퓨터가 경쟁할 ... ...
[사이언스N사피엔스]파스퇴르와 백신의 등장
2020.09.03
늘여 S자 모양으로 구부려 백조목과 비슷하게 만들면 공기는 잘 통하는 대신 휘어진 목의
트랩
부분에 외부의 미생물이 포함돼 있을지도 모를 먼지 등이 쌓이게 되니까 바로 이런 조건을 만들 수 있다. 푸셰와 파스퇴르의 격돌은 파스퇴르의 일방적이고도 싱거운 승리로 끝났다. 미생물은 썩은 ... ...
목성 '갈릴레이 위성' 1㎜ 얼음 알갱이서 태동
연합뉴스
l
2020.05.19
섞여 밖으로 빠져나가는 힘이 완전히 균형을 이루는 곳이 있으며, 이런 곳이 거대한 먼지
트랩
처럼 작용하며 위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1㎜ 얼음 먼지 알갱이가 뭉쳐 규모가 커지면 자체 무게로 붕괴하며 약 100㎞크기의 소행성같은 '미(微)위성'(satellitesimals) 수천개가 만들어지고 이런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