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결
너울
웨이브
파랑
바다
wave
파동
뉴스
"
파도
"(으)로 총 37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2050년 홍수 위험에 처하는 미국 도시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9
이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바다와 아주 가까운 곳에서 살고 있다. 모래 사장으로 밀려오는
파도
가 곧 집에 닿을 듯한 모습이다. 2050년에는 미국의 해안 도시 32곳이 홍수의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레너드 오헨 미국 버지니아공대 교수 연구팀은 가까운 미래 육지의 고도 변화와 ... ...
북극곰 어쩌나…10년 내 '빙하 없는 북극'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훼손할 수 있다. 해안 지역에 사는 사람들도 위협을 받을 수 있다. 빙하는 해안가의
파도
영향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얀 교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낮게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북극 빙하는 회복력이 있기 때문에 배출량이 줄어들면 빠르게 상태를 회복할 수 있을 ... ...
물 표면 뛰어다니는 소금쟁이, 차세대 수중로봇 개발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5
기계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시했다. 이를 활용하면 잔잔한 수면은 물론 험한
파도
가 몰아치는 해양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수중로봇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는 물에서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소금쟁이과와 딱정벌레과 곤충의 ... ...
일본 강진에 동해안 ‘출렁’…최대 67㎝ 지진해일
동아사이언스
l
2024.01.02
때문에 실제 물결의 높이는 더욱 높아질 수 있다. 한편 국내에 50㎝ 이상 높이의
파도
가 발생한 것은 1993년 7월 이후 31년 만의 일이다. 당시에는 일본 오쿠시리 해역에서 7.8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면서 국내에 지진해일 특보가 발표됐다 ... ...
나무로 만든 세계 첫 풍력 발전 터빈…에너지 생산에 탄소 흡수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1.01
나무는 물이나 불에 취약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해상에서 거센 바닷바람과
파도
를 견뎌야하는 해상풍력발전에 목재가 과연 적합하겠느냐는 의문이 제기되는 이유다. 모드디온은 습도에 내구성이 생길 수 있게 목재 터빈 타워 외벽에 두꺼운 페인트를 고팅했다. 코팅용 페인트가 나무 벽층 ... ...
아무도 없는데 들리는 속삭임은 '환청'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0.19
이번 실험에선 참가자들에게 '분홍색 소음'도 들려줬다. 분홍색 소음은 해변에서
파도
가 부딪히는 소리, 낙엽소리, 빗소리처럼 백색소음보다 좀 더 부드러운 소음을 말한다. 녹음본엔 참가자들이 사전에 녹음한 자기자신의 목소리가 포함돼 있기도 했고 다른 참가자의 목소리가 일부 들어있기도 ... ...
사막에서 불어온 먼지가 온실가스 메테인 제거한다
과학동아
l
2023.10.01
10.1073/pnas.2303974120) 사막에서 날아온 먼지는 철이 함유된 ‘광물 먼지’다. 바다에서는
파도
가 치면서 바다 위 공기에 작은 액체 입자로 이뤄진 에어로졸이 생성된다. 이 에어로졸이 사막에서 온 광물 먼지와 만나면 ‘광물 먼지-바다 분무 에어로졸(MDSA)’이 된다. 연구팀은 북대서양 상공의 해양 ... ...
"건선, 관상동맥 질환과 관계있다"
연합뉴스
l
2023.09.21
가렵고 거친 붉은 반점들이 피부를 뒤덮는 자가 면역성 피부질환이다. 이탈리아
파도
바(Padova) 대학 의대 피부과 전문의 스테파노 피아세리코 교수 연구팀은 건선이 관상동맥 미세혈관 기능장애(CMD)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20일 ... ...
목포 홍수·사라지는 백사장…해수면 상승 위협 현실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9.16
다시 말해 파랑이 치면 해안가에 쌓여 있던 모래는 서서히 깎여 바다 쪽으로 흩어지다
파도
가 잔잔해지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옵니다. 하지만 해안을 개발하면 흩어진 모래가 제자리로 오지 못하고 오랜 기간 침식이 이어집니다. 특히 최근에는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수심이 깊어지고 파랑의 ... ...
"한국과 영국은 해안선 길어 해양에너지에 유리...협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3.09.15
그리브스 영국 플리머스대 교수. 영국 플리머스대 제공 “2050년이면
파도
와 조수 등을 활용한 해양에너지와 해상풍력 에너지가 영국 전력 생산량의 최대 20%를 차지할 것입니다.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로 세계 각국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이바지할 것입니다. 한국은 영국과 마찬가지로 해안선이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