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론
주의
견해
의견
원리
설
론
뉴스
"
학설
"(으)로 총 128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난치병 원인 '단백질 수명' 결정하는 신호를 탐색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성과를 냈다. 김상윤 포스텍 생명과학과 박사과정생 2018년에는 기존의 분자생물학
학설
을 뒤짚는 연구도 내놨다. 진핵생물의 세포질에서도 박테리아처럼 포밀 메티오닌이라는 특정 아미노산이 단백질 합성을 시작할 수 있으며 동시에 포밀 메티오닌이 단백질 분해신호로 작용하는 새로운 단백질 ... ...
코로나19 '백신 효과'로 낮아진 치명률, 변이 확산으로 다시 상승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7.05
미국 워싱턴DC의 내셔널몰 워싱턴기념비에서 한 여성이 코로나19 사망자를 추모하기 위해 미국 국기를 꽂고 있다. EPA/연합뉴스 제공 전 세계 신종 코로나바이러 ... 높이기 위해 숙주를 건강하게 두도록 변이하게 때문에 치명률이 점차 떨어진다는
학설
이 존재하는 등 논란이 있는 상황이다 ... ...
"공룡, 추운 북극권서도 번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북극에서도 사계절 내내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며 새끼를 낳고 살았을 것이란 최근
학설
에 힘이 실릴 것으로 보고 있다. 패트릭 드럭큰밀러 미국 알래스카대 박물관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25일 미국 알래스카 북부 콜빌강 유역의 절벽에서 7종에 이르는 새끼공룡 뼈를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 ...
자동차에서 나오는 이산화질소 파킨슨병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8
배출량이 최대 2배 가까이 높다. 이산화질소 등 대기오염이 뇌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학설
이 최근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하는 한국인 100만명에 대한 질병자료를 활용했다. 100만명중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간 서울에 거주하며 파킨슨병 발병 이력이 없는 40세 ... ...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과학동아
l
2021.05.08
많지 않다”며 “많은 화석이 발견된 것도 오로린 투게넨시스가 최초의 호미닌이라는
학설
을 지지하는 가장 강력한 이유”라고 말했다. *분류학적 용어로서 유인원은 인류를 포함합니다. 하지만 종종 영장류 중 인류를 제외한 집단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해당 기사에서 유인원은 인류를 제외한 ... ...
티라노사우루스는 외롭지 않았다?…집단사냥설 뒷받침 연구나와
연합뉴스
l
2021.04.20
점을 근거로 들었다. 그러나 많은 과학자는 티라노사우루스가 집단으로 사냥했다는
학설
에 의문을 제기한다고 AP가 전했다. 티라노사우루스가 복잡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할 수준의 지적 능력을 갖추지 못했을 것이라는 점에서다. 미국 매컬레스터대 생물학 교수인 크리스티 커리 로저스는 ... ...
지구에 생명 불어넣은 항구적 산소 증가 22억2천만년 전 시작
연합뉴스
l
2021.03.30
시작 뒤 2억년간 불안정기 거쳐…기존
학설
보다 1억년 이상 늦어 [EPA=연합뉴스] 대기 중 산소가 급증해 지구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곳으로 바꾸는 출발점이 된 '대산화사건'(Great Oxidation Event)이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적어도 약 1억년 이상 늦은 22억2천만 년 전에야 항구적 산소 증가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만년 전 매머드 게놈 해독해보니
2021.03.16
스텝매머드만 존재했고 그 뒤 털매머드와 컬럼비아매머드가 진화했다는 게 유력한
학설
이었다. 매머드를 묘사한 상상도다. Centre for Palaeogenetics (Beth Zaiken)제공 지구에 살았던 많은 동식물이 멸종했지만, 그 가운데서도 가장 아쉬운 걸 꼽으라면 공룡 다음으로 매머드가 아닐까. 그런데 공룡이야 ... ...
어린이나 어른이나 기억 조절 핵심은 ‘별아교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1.05
늘어났다. 이는 미세아교세포가 시냅스를 제거하는 주된 세포일 것이라는 기존
학설
을 뒤집은 결과다. 그간 치매나 조현병 환자에게서 미세아교세포가 시냅스를 제거하는 현상이 확인된 만큼 뇌과학자들은 미세아교세포가 시냅스 제거에서 주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해왔다. 이번 ... ...
왜 동아시아인은 코로나 덜 걸리나…비슷한 바이러스 경험 덕분?
연합뉴스
l
2020.12.06
미즈타니는 밝혔다. 동아시아인과 다른 지역 사람들 사이의 유전적 차이가 있다는
학설
도 제기된다. WSJ에 따르면 호주와 미국의 공동 연구진은 중국, 일본, 베트남 사람의 유전자에서 코로나바이러스 대응과 관련된 특징을 발견했다며, 동아시아인이 2만5천년 전부터 코로나바이러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